아래 사진들은 미세먼지와 공기청정기에 대해 실시한 설문조사의 답 중 일부이다.
가정에서 공기청정기를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한 물음에 '아니오'라는 답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그리고 가지고 다닐 수 있는 휴대용 공기청정기가 개발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별로 사용하고 싶지 않다.'는 반응이 응답자 중 30%를 넘었다. 이에 대한 이유도 조사했는데 사용하고 싶다고 대답한 쪽은 '편이성'이나 '현재 미세먼지로 인한 불편함'이 주된 이유였고, 사용하고 싶지 않다고 대답한 쪽은 '무거울 것 같다', '거추장스러울 것 같다.', 그리고 '불편할 것 같다.'라는 이유가 많았다.
공기청정기의 미래는 밝다고 대부분의 매체에서 말한다.
수요가 늘어날 것이고, 그로인해 공급 또한 늘어날 것이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맑은 공기를 위해 고민하고 연구하고 방법을 찾을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공기청정기의 미래에 대해 더욱더 깊이 생각해야 한다.
위에서 본 설문조사의 답으로 어느정도 이에 대한 이유를 유추할 수 있다. 먼저 가정에 공기청정기가 그다지 보급이 되지 않은 부분에서 공기청정기의 발전에 있어 '보편화'가 중요하다고 생각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가 필요하더라도 그 값 때문에 공기청정기를 사지 못 하는 경우가 많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공기청정기 렌탈'이 등장했으나 아직 그 효과가 미비하다. 비용저감 부분에서도 보편화를 위한 발판이 비용저감이기 때문에 나는 비용저감이 보편화를 위한 길이라고 생각한다.
웨어러블 공기청정기가 개발되었음에도 '별로 사용하고 싶지 않다.'라고 답한 이유는 아직 기술적인 측면에서 어색한 부분이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 때문에 두번째로 공기청정기의 발전에서 중요하다고 생각되는 부분은 '기술적인 측면'이다.
마지막으로 신뢰성은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과 관련있다. 가습기 살균제를 이용한 이들의 폐에서 섬유화 증세가 일어나 엄청난 사망자가 생긴 대한민국 역사상 최악의 화학 참사인 '가습기 살균제 사망사건'과 공기청정기의 신뢰성이 연관되는 이유는 공기청정기와 가습기가 공기와 관련되어 있기 때문이다. 공기를 통하는 기술이기 때문이다. 공기를 통해 수백명의 사망자가 나온 사건이 존재하는 이상 공기청정기는 발전에 있어서 신뢰성, 안전성을 중점으로 염두해어야 한다.
숨쉬지 않고 달려와 이룩한 경제성장은 놀랍도록 빠르고 거대해졌지만 그만큼 환경은 빠르게 오염되고 있습니다.
지난 세월 동안 오염된 환경을 되돌리기 위해 우리는 지나온 시간의 두배 이상의 시간을 들여야 할지도 모릅니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공기청정기술 개발과 연구를 열심히 해야 합니다.
이것이 바로 공기를 정화하는 공기청정기가 중요한 이유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