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01] 2025 식품의약품안전처 미생물과 신규과제 선정 - 식품 중 독소형 식중독균의 독소단백질에 대한 안전성 평가 연구 (2025.02.01-2026.11.30)
[2025.01] 제 10-2757834호 특허 등록 - 황산수소나트륨 및 카바크롤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이를 이용한 항균방법 및 이를 포함한 항균제
[2024.12] 김선애 교수님께서 공동 연구자로 참여하신 논문 'Machine learning-enhanced assessment of potential probiotics from healthy calves for the treatment of neonatal calf diarrhea' 게재. Frontiers in Microbiology (Impact Factor 4.5/JCR Ranking Q1)
[2024.11] 2024 식품위생안전성학회 참여, 문영은·최소윤 학생 『우수 포스터상』 수상
[2024.09] 김여민 석사생의 논문 'Microbial profiling of oysters from a processing plant and retail products: Analysis based on culture-dependent methods and 16S rRNA gene sequencing' 게재. Food Research International (Impact Factor 7.0/JCR Ranking Q1)
[2024.09] 최은진 석사생의 논문 'Microbial consortia in commercial salmon products: A comparative study using cultivation-dependent and high-throughput sequencing approaches' 게재.Food Research International (Impact Factor 7.0/JCR Ranking Q1)
[2024.08] 졸업식 및 신입생 환영회
[2024.08] 2024 한국연구재단 글로벌 기초연구실(심화형) 신규과제 선정 - 다중오믹스 및 디지털 트윈 기반 농/축/수산물의 부패 변질의 조기검출, 예측 및 모델링 시스템 구축 (2024.08.01-2027.04.30)
[2024.08] 염정연 석사생의 논문 ‘Microbial dynamics of South Korean beef and surroundings along the supply chain based on high-throughput sequencing’ 게재. Meat Science (Impact Factor 7.1/JCR Ranking Q1)
[2024.07] 2024 한국식품과학회 참여
[2024.06] FHL 송별회 진행
[2024.05] 김선애 교수님 2024년 제23회 「식품안전의 날」 식품의약품안전처장 표창 수상
[2024.04] 김선애 교수님 2024학년도 공과대학 연구비 우수교원 표창 수상
[2024.02] 김예진 석사생의 학위논문 'Bacterial profile of pork from production to retail based on high-throughput sequencing’ ‘2023학년도 제2학기 일반대학원 『우수학위논문상』’ 선정
[2024.01] 2024 식품의약품안전처 미생물과 신규과제 선정 - 알가공품에서의 살모넬라 위해성평가 연구 (2024.02.01-2025.11.30)
[2024.01] 2024 식품의약품안전처 미생물과 신규과제 선정 - 주요 식중독 발생 위해요소 발굴 및 제어 연구 (2024.02.01-2025.11.30)
[2024.01] 제 10-2630869호 특허 등록 - 황산수소나트륨 및 중쇄지방산을 포함하는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한 항균제
[2024.01] 2024 농림축산검역본부 신규과제 선정 - 가축 병원성 세균 항생제 내성 조사 (2024.03.01-2028.11.15)
[2024.01] 김예진 석사생 논문 'Bacterial profile of pork from production to retail based on high-throughput sequencing' 게재. Food Research International (Impact Factor 8.1/JCR Ranking Q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