심장내과는 우리 몸에서 가장 중요하고 복잡한 장기인 심장을 다루는 과입니다.
심장은 복잡한 해부학적 구조를 가지고 있고 폐 및 다수의 혈관과 연결되어 있으며 저절로 박동하는 특징이 있습니다. 이와 관련된 다양한 심장질환이 발생하며 이를 조절하고 치료하는 것이 심장내과에서 하는 일입니다.
심장 뿐만 아니라 고혈압, 고지혈증 등 심혈관 질환의 위험인자부터 시작하여 대동맥, 말초혈관 등 다양한 혈관질환까지 영역을 넓혔기 때문에 순환기내과라고 하기도 합니다.
배장호 교수
권택근 교수
김기홍 교수
서영훈 교수
장채원 임상강사
김용균 임상강사
중재시술분야는 수술이 아닌 시술로 관상동맥질환, 판막질환, 선천성 심질환, 대동맥질환, 말초혈관질환 등을 치료합니다. 협심증, 심근경색 등에 대하여 관상동맥 중재술 (스텐트 삽입술)을 시행하며 대동맥류, 대동맥 박리에 대해 스텐트 그라프트 삽입술을 시행하고 말초혈관질환에 혈관 확장술을 시행합니다.
부정맥 분야는 서맥, 빈맥 등의 부정맥 및 실신, 급성 심장사 등을 평가하고 항부정맥 약물치료와 전기 생리학 검사, 전극도자 절제술, 인공 심박동기/삽입형 제세동기 삽입, 전기적 동율동 전환술 등을 시행합니다.
심장 영상 분야에서는 심초음파 (경흉부/경식도/운동부하/약물부하/조영/시술 중/수술 중) 및 경동맥 초음파 등의 검사를 시행합니다.
심장내과는 심초음파실, 심혈관조영실, 심전도실, 운동부하검사실 등 다양한 특수검사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심장질환의 병태 생리를 판단하고 능동적인 진단 및 치료 방침을 결정할 수 있고 필요한 시술을 시행할 수 있는 유능한 심장내과 의사를 양성함에 있다.
심장내과 의사의 기초지식을 습득한다.
입원환자 및 응급환자의 일차치료를 담당한다.
흉부 X 선 사진과 심전도 판독능력을 갖춘다.
심장내과 분야의 각종 특수검사에 참여하고 결과 판독을 습득한다.
시술 후 환자의 집중치료에 적극 참여한다.
인턴 및 1년차 레지던트를 지시·감독한다.
심장내과 중환자 치료 능력을 갖춘다.
시술 후 환자의 집중치료에 적극 참여한다.
심초음파 검사의 수기를 습득하고 판독능력을 갖춘다.
인턴 및 후배전공의를 감독, 지시하고 전문의를 보좌한다.
심장내과는 약물 뿐만 아니라 다양한 검사와 시술을 통하여 환자를 치료합니다. 환자군의 중증도가 높은 편이기 때문에 의사로서 자부심과 보람도 많이 느낄 수 있지만 그만큼 많은 공부와 노력도 필요합니다.
심장내과 질환은 흉통, 호흡곤란, 실신 등 일상생활에 큰 불편감을 주는 증상이 쉽게 동반되고 사망률이 높기 때문에 철저한 관리와 치료가 매우 중요합니다. 고혈압, 당뇨 등의 만성 질환 유병률이 올라가고 평균 수명은 길어지면서 심혈관 질환을 가진 환자들이 증가하고 있어 심장내과 의사의 수요는 계속 높아질 것으로 판단됩니다.
심혈관질환 및 위험인자에 대한 사회적, 국가적 관심은 계속 높아지고 있습니다. 국가에서 건강검진을 시행하는 중요한 이유 중 하나는 심혈관질환의 조기발견 및 예방이며 흡연, 고혈압, 심근경색 등은 국가에서 정책적으로 관리하고 지원하는 대상입니다. 심장내과는 필수적인 과이기에 장기적인 전망이 밝을 것으로 예상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