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 행성계 탐사 방법
식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중심 별의 시선 속도 변화를 이용하는 방법
미세 중력 렌즈 현상을 이용하는 방법
직접 촬영하는 방법
<이미지출처: 비상교육>
행성 크기에 따른 광도 변화 그래프 그리기 활동 (잼보드 활용)
(회원용- 잼보드 사용 후 프레임 지우기로 지워 주세요. 회원 동시 사용 시 아래 사본 만들기 활용)
행성 크기에 따른 광도 변화 그래프 그리기 활동 (잼보드 활용)
(비회원용-웹에서 잼보드 직접 실행 권한이 없는 분은 링크를 클릭하여 잼보드 사본을 만들어 활용하세요)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이미지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도플러 효과) 파장의 변화는 시선 속도의 크기에 비례한다. 파장의 변화량은 다가오면 짧아(청색편이)지고 멀어지면 길어(적색편이)진다.
시선 속도는 별이 별과 행성의 질량 중심에서 멀 수록 크다.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별은 질량 중심에서 멀어진다.
중심 별과 행성의 질량 중심 공전 활동(잼보드 활용)
(회원용- 회원 동시 사용 시 아래 사본 만들기 활용)
중심 별과 행성의 질량 중심 공전 활동(잼보드 활용)
(비회원용-웹에서 잼보드 직접 실행 권한이 없는 분은 링크를 클릭하여 잼보드 사본을 만들어 활용하세요)
쉬어가기 (아벨1689)...... 메이비의 A Letter From Abell 1689
<이미지 출처: NASA // 제임스웹우주망원경이 촬영한 은하단 'SMACS 0723'의 고해상도 이미지>
<이미지 출처: 한국천문연구원>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이미지 출처: 천재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행성의 영향에 의한 광도 변화 그리기 활동(잼보드 활용)
(회원용- 회원 동시 사용 시 아래 사본 만들기 활용)
행성의 영향에 의한 광도 변화 그리기 활동(잼보드 활용)
(비회원용-웹에서 잼보드 직접 실행 권한이 없는 분은 링크를 클릭하여 잼보드 사본을 만들어 활용하세요)
외계행성 이름 짓기 (한국천문연구원
한국천문연구원: https://www.kasi.re.kr/kor/education/pageView/361
국제 천문연맹: https://www.nameexoworlds.iau.org/
(그림 (가)는 연도별로 발견된 외계 행성의 질량을 나타낸 것이고, (나)는 외계 행성에서 중심 별까지의 거리와 외계 행성의 질량을 나타낸 것이다. )
(발견된 행성의 질량 분포를 보고 특징을 확인)
(외계행성 탐색 방법에 따른 행성의 질량과 거리의 특징을 확인)
(스스로 점검하기) 설문지를 활용한 형성평가 // 링크를 선택한 후 사본을 만들어 활용하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