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2 교과서>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동태평양과 서태평양 중 적도용승이 더 뚜렷하게 나타나는 해역은?
<이미지 출처: 교학사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열대 태평양 서태평양에서는 지상에 저기압이 발달하고, 동태평양에서는 지상에 고기압이 발달하여 동서 방향의 순환을 이룬다.
일반적인 대기 대순환은 남북 방향의 대기순환이다.
엘니뇨: 적도 부근의 남아메리카 연안으로부터 열대 태평양 중앙에 이르는 넓은 해역에 걸쳐 해수면의 온도가 평상시보다 0.5 ℃ 이상 높아지고 6개월이상 지속되는 현상
라니냐: 적도 부근의 남아메리카 연안으로부터 열대 태평양 중앙에 이르는 넓은 해역에 걸쳐 해수면의 온도가 평상시보다 0.5 ℃ 이상 낮아지고 6개월이상 지속되는 현상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천재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평년에 서태평양에서는 강한 상승 기류 때문에 저기압이 발달하 고, 수온이 낮은 동태평양에서는 하강 기류가 나타나 고기압이 발달한다 .
엘니뇨 시 기에는 열대 태평양의 중앙 또는 동쪽으로 치우친 지역에 저기압이 발달하고 서태평 양에 하강 기류가 발달하여 동 -서 순환의 형태가 달라진다.
반대로 라니냐 시기에는 서태평양의 기압이 평년보다 낮아지고, 동태평양의 기압은 높아진다.
열대 태평양의 동·서 기압은 한쪽에서 상승하면 다른 쪽에서 하강하는 양 상을 보이는데, 이렇게 시소처럼 진동하는 형태의 기압 변화를 남방 진동이라고 한다.
<이미지 출처: 천재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엘니뇨 남방 진동(El Niño– Southern Oscillation)의 첫 글자를 따서 붙인 것
엘니뇨와 라니냐 시기의 표층 수온 변동과 기압의 변동이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므로 해양과 대기의 현상 을 합쳐서 엘니뇨 남방 진동 또는 엔소(ENSO)라고 한다.
<이미지 출처: 천재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