염분 : 해수 1kg에 녹아 있는 염류의 총량을 g수로 표시한 것
염분 단위: PSU(Practical salinity unit, 실용염분단위), ‰ (퍼밀)
염류: 해수에 녹아있는 다양한 물질
<이미지 출처: 미래엔 중학교 교과서>
각 해양에서 염분은 서로 다르지만 해수에 녹아 있는 주요 원소들의 상대비는 모든 해양에 걸쳐 거의 일정하다.
<이미지 출처: 미래엔 중학교 교과서>
<이미지 출처: 미래엔 중학교 교과서>
<이미지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표층염분 분포는 대체로 (증발량-강수량) 분포와 일치하지만 극 해역에서는 빙하의 영향이 더 크게 작동하여 (증발량-강수량)과 일치하지 않는다.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인터넷 무료 이미지 사이트>
<이미지 출처: 미래엔 중학교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주로 수온과 염분에 따라 결정
해수의 밀도를 수온과 염분의 관계로 나타낸 그래프. 표층 밀도는 1.022 g/cm3 ~ 1.027 g/cm3를 나타낸다.
북극 부근에서는 육지에서 강물이 대량 유입되기 때문에 같은 위도의 남극에 비해 염분이 더 낮다. 북극 부근에서는 밀도가 수온과 반비례하지 않는다.
<이미지 출처: 천재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