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에는 기상 자료를 공유하기 위해 기상전문을 이용함, 5자리의 숫자로 약속된 모든 정보를 표현)
AAXX 25001 47108 11759 72407 10131 20092 30022 40091 52028 62502 76566 879// 333 10202 20172 72802 ..........................................................
AAXX: 육상, 25001: 25일 00시 이며 단위는 m/s, 47108: 대한민국47 서울108, 11759: 강수있으며 유인관측소이고 운저는 1500-2000미터이며 시정은 9km , 72407: 운량은7 남서풍이 7m/s
10131: 기온이 영상 13.1도, 20092: 이슬점 영상 9.2, 30022: 관측소 기압 1002.2hpa, 40091: 해면기압 109.1pha,
52028:기압변화는 하강후 상승 2.8pha, 62502: 강수량 12시간동안 250mm, 76566: 현재날씨 약한비65 과거날씨 약한비66, 879//: 운량은 7 상층운권적운 중층운 하층운 없음
333 이후는 지역별 자료.......
1Pa = 1N/m^2
1[atm]=101325Pa = 1013.25hPa = 1.033227 kg/cm^2
< 이미지 출처: 2024 EBS수능특강>
< 이미지 출처: 2024 EBS수능특강>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북반구) 저기압: 시계 반대 방향 수렴 - 상승 - 단열 팽창 - 기온 하강(포화 수증기압 감소) - 포화 - 수증기 응결 - (물방을 형성)구름 형성 - 구름 상승 - 물방을 커짐 - 비
(분반구) 고기압: 하강 기류 - 단열 압축 - 기온 상승(포화 수증기압 증가) - 불포화 - (물방울 증발)구름 소멸 - 하강한 공기 시계방향으로 발산
정체성 고기압: 고기압의 중심부가 거의 이동하지 않고 한곳에 머무르는 고기압. 수축과 확장을 하면서 주위 지역에 영향. 예)시베리아 고기압, 북태편양 고기압, 오호츠크해 고기압
이동성 고기압: 정체성 고기압에서 떨어져 나와서 이동해 가는 규모가 작은 고기압. 이동성 고기압의 서쪽은 뒤따르는 저기압의 영향으로 날씨가 흐리다. 예)양쯔강 고기압 (시베리아 기단에서 일부가 떨어져 나오거나 양쯔강 기단에서 발달하는 비교적 규모가 작은 고기압)
고기압이 형성되는 지역은 기단의 발원지가 될 수 있다.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온난고기압: 고기압권 내의 기온이 주위보다 높은 고기압. '키 큰 고기압'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 여름철에 영향 미친다.
한랭고기압: 고기압권 내의 기온이 주위보다 낮은 고기압. '키 작은 고기압'이라고도 불린다. 우리나라 겨울철에 영향 미친다.
봄,가을철: 이동성 고기압과 저기압의 영향
여름철: 남고북저형 기압 배치
겨울철: 서고동저형 기압 배치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천재교육 지구과학1교과서>
<이미지 출처: 천재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