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 6장의 이미지는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11~17쪽에서 캡쳐하였습니다.)
대륙이동설(베게너, 1912)
증거: 대서양 양쪽에 있는 남아메 리카 대륙과 아프리카 대륙의 해안선 모양이 비슷하고, 암석과 지질 구조가 연속적으로 이어진다. 그리고 멀리 떨어진 여러 대륙에서 같은 종의 화석이 발견된다. 여러 대륙에 남아 있는 빙하의 흔적과 이동 방향은 한곳에서 흩어져 나간 모양이다 .
단점: 대륙을 이동하게 하는 힘의 원동력을 설명하지 못하였다.
<이미지 출저: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12쪽 캡쳐>
맨틀 대류설(아서 홈스 , 영국, 1929년 )
대륙이 맨틀 대류 때문에 이동할 수도 있다고 생각하였다. 그 리고 맨틀 내 온도 차이로 맨틀에서 열대류가 발생한다는 맨틀 대류설을 주장. 맨틀에서 대류가 일어나기 위해서는 맨틀 내부에서 온도 차이가 발생해야 하는데, 홈즈는 그 이유를 지구의 중심부의 온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라고 설명했습니다.
홈스의 이런 주장은 대륙 이동의 원동력을 모두 설명하기에는 역부족이었고, 당시에 는 뒷받침할 만한 결정적인 증거가 없어 받아들여지지 않았다.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12쪽>
<이미지 출처: 에듀넷>
해저확장설(해리 H, 헤스, 1960 / 로버트 S. 디츠, 1961)
1920년대에 음파를 이용하여 해저 지형에 대한 조사가 활발하게 이루어지기 시작하면서 1947년에 대서양의 중앙에 있는 해저 산맥이 발견되었습니다. 또한 1953년에는 대서양 중앙에 있는 해저 산맥 중심부에 있는 열곡대가 발견되기도 했습니다. 이후 대양저 산맥이 지구 전체적으로 분포하고 있다는 것이 밝혀지면서 해저 확장설이 나오게 되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비상교육, 지구과학1 교과서 13쪽>
아래의 스프레스시트의 음파왕복시간을 변경하면 해저지형의 모양이 변합니다.
아래 스프레드시트 자료에 마우스를 올리거나 클릭하면 오른쪽 상단에 새탭에서 여는 아이콘이 나타납니다.
아이콘을 클릭하여 새탭으로 연 후, 왕복시간과 음파속도를 수정할 수 있습니다.
학생별 탐구활동은 사본을 구글드라이브에 다운 받아 활용합니다. (자료다운)
<이미지 출처: 구글어스>
고지자기: 암석이 생성될 때 자성을 띠는 광물은 그 당시의 지구 자기장 방향에 따라 배열된다. 지질 시대에 생성된 암석에 남아 있는 지구 자기를 고지자기라고 한다.
1950년대 자력계를 이용하여 대양지각의 고지정
1963 년 바인(Vine, F., 1939~)과 매슈 스(Matthews, D., 1931~1997)는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이 양쪽으로 이동 하여 이와 같은 지자기 줄무늬가 나타난다고 설명하였다 .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섭입대:
1968년 해양 시추선 글로머챌린저호가 해저 산맥을 가로지르며 해양 지각의 나이를 측정.
해양지각의 나이는 해령에서 멀어질수록 증가하며, 1억 8천만 년 이상인 암석이 거의 없었다.
해령에서 생성된 해양 지각이 양쪽으로 이동한 후 해구에서 침강하여 맨들로 들어간다는 해저 확장설로 설명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
<이미지 출처: 미래엔, 지구과학1 교과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