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4-11-24
"ESCML members Suwon Lee and Dayeon Choi Win Best Oral Awards at ENGE 2024"
At the ENGE 2024 conference held from November 24 to 27, 2024, ESCML memebers Suwon Lee and Dayeon Choi each received the Best Oral Award in the categories of Materials and Batteries & Energy Storage Systems, respectively.
'ENGE' i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co-friendly electronic materials and nanotechnology, first held in Jeju, South Korea, in 2010. It occurs biennially, showcasing the latest advancements in these fields.
Suwon Lee presented on "Local Structural Disorder of a Lithium Manganese Layered Cathode for Its Reversible Phase Transition to the Theoretical Capacity Limit," while Dayeon Choi presented on "Controlled Structural Disorder Activates Mn Redox to Enhance the Reversibility of Li/Mn-rich Layered Cathode."
24-11-24
"ESCML members Suwon Lee and Dayeon Choi Win Best Oral Awards at ENGE 2024"
At the ENGE 2024 conference held from November 24 to 27, 2024, ESCML memebers Suwon Lee and Dayeon Choi each received the Best Oral Award in the categories of Materials and Batteries & Energy Storage Systems, respectively.
'ENGE' is an international conference on eco-friendly electronic materials and nanotechnology, first held in Jeju, South Korea, in 2010. It occurs biennially, showcasing the latest advancements in these fields.
Suwon Lee presented on "Local Structural Disorder of a Lithium Manganese Layered Cathode for Its Reversible Phase Transition to the Theoretical Capacity Limit," while Dayeon Choi presented on "Controlled Structural Disorder Activates Mn Redox to Enhance the Reversibility of Li/Mn-rich Layered Cathode."
24-07-24
"ESCML devised a research strategy to optimize the electrochemical reaction of alkali-ion battery cathode materials through structural disorder and published paper titled 'Manipulating disorder within cathodes of alkali ion batteries' at Nature Review Chemistry."
한국연구재단은 강용묵 고려대 교수 연구팀이 구조 무질서(이상적인 결정구조에 벗어난 모든 구조)를 통해 알칼리 이온 배터리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 반응을 최적화하고, 배터리 성능을 높일 연구 전략을 제시했다고 24일 밝혔다.
최근 양극 소재의 합성 과정 및 전기화학 반응이 진행되는 동안 형성되는 다양한 구조 무질서가 배터리 성능을 좌우하는 전기화학 반응의 개선과 관련이 있다는 연구 결과들이 나오고 있다.
연구팀은 기존 연구 사례에서 도입된 구조 무질서 형태, 구조 무질서로 인해 향상된 전기화학 반응과 구조 무질서를 유발할 수 있는 6가지 화학적 원인을 정리했다.
이를 기반으로 구조 무질서가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 반응에 영향을 주는 메커니즘을 밝혀내고,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 반응을 최적화하는 방법론도 제안했다.
연구팀은 구조 무질서를 전기화학 반응을 최적화하기 위한 적극적인 설계 인자로 사용하면 새로운 연구 기조를 형성해 차세대 양극 소재 연구개발에 기여할 수 있으리라고 기대했다. 강용묵 교수는 “구조 무질서와 양극 소재의 전기화학특성 사이 상관관계를 고려하면 다양한 구조 무질서를 유형별로 분류하는 명확한 기준이 필요하다”며 “특정 구조에서 무질서를 얻기 위한 합성 방법과 분석법 개발이 선행돼야 한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화학분야 국제학술지 ‘네이쳐리뷰케미스트리(Nature Reviews Chemistry)’에 지난 2일자로 게재됐다.
- 논문명 : Manipulating disorder within cathodes of alkali ion batteries
Link - 이데일리
Link - 특허뉴스
Link - 산업종합저널
24-06-11
"ESCML developed a single crystal NCM cathode by controlling the exposed surface and published paper titled 'Optimal Facet Assembly of Multi-Transition Metals Layered Cathodes toward Superior Li-Ion Kinetics and Structural Stability' at Journal Energy & Environmental Science."
고려대 연구진이 이차전지 성능을 높이는 단결정 양극 소재를 개발했다.
고려대는 강용묵 신소재공학부 교수팀이 이러한 연구 성과를 거뒀다고 11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에너지 분야 저명 국제학술지(Energy & Environmental Science)에 게재됐다.
- 논문명 : Optimal Facet Assembly of Multi-Transition Metals Layerd Cathodes toward Superior Li-Ion Kinetics and Structural Stability
연구팀이 개발한 단결정 양극재는 우리나라의 주력 기술인 NCM(니켈·코발트·망간) 양극재에 적용하는 기술이다. NCM 양극재를 전기차에 활용할 경우 LFP(리튬·인산·철) 양극재 기반 전기차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고 충전 후 주행거리가 우수하다.
다만 기존의 다결정 기반 NCM 양극재의 경우 충전·방전 시 입자가 받는 스트레스로 인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고자 제시된 단결정 양극재는 충·방전 시 스트레스를 낮출 수 있어 다결정 대비 우수한 수명 특성을 보인다.
강 교수팀은 리튬염의 리튬 및 산소 화학 포텐셜을 조절해 단결정 양극재의 노출면을 제어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특히 노출면에 따른 전기화학적 특성 변화를 체계적으로 분석함으로써 NCM 양극재의 출력·수명 특성을 동시에 향상하는 방법을 제시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자사업 등의 지원을 받아 수행했으며, 연세대 이용민 교수팀이 연구진으로 침여했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는 단결정 양극 소재 특정 노출면 조절이 해당 소재의 여러 가지 전기화학적 특성을 동시에 최적화하기 위한 핵심 인자임을 증명한 것”이라며 “향후 여러 단결정 양극 소재 개발에 중요한 기술적 토대가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24-05-21
"Prof. Kang has been elected as an academician of APAM(Asia Pacific Academy of Materials)."
2024년 5월 21일, 온라인으로 APAM(Asia Pacific Academy of Materials)이사회 회의가 개최되었고, 엄격한 투표 절차를 통해 2023년 새로운 Academicians이 선출되었다.
이날, 39명의 새로운 APAM Academicians와 12명의 Associate Academicians이 선출되었다.
현재 APAM에는 500명의 Academicians이 활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