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의 자녀/유·초등 회원이 대학을 갈 때, 취업을 할 때, 중국의 위상은 어떻게 변화될까요?
세계 경제 속에서 향후 중국의 위치를 예측해 보고 중국어 학습의 필요성을 강조해 보세요.
1. 2050년 세계 경제 순위 1위 - 중국
2022년 12월 6일 골드만삭스가 발표한 '2075년으로 가는 길(The Path to 2075)'에서 앞으로의 세계의 경제 순위 변화를 예측했습니다.
중국이 2050년 세계 경제 1위 경제 대국으로 우뚝 솟아 오를 전망입니다. 세계 경제의 중심은 여전히 중국과 인도를 기반으로 성장할 것으로 예측하고 있습니다. '2050년 글로벌 경제전망 보고서'에서도 '구매력평가(PPP)'를 기준으로 중국이 글로벌 최대 경제국이 될 것이며, 중국의 GDP는 전 세계에서 차지하는 비중의 20%에 달할 것이라고 내다봤습니다.
2. 페트로 위안(오일 위안) 도전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2022년 12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열린 중국·아랍국가 정상회의에서 석유와 가스 수입대금을 중국 위안화로 결제하자고 제안했습니다.
오일 머니, 즉 석유 대금은 현재 미국 달러로만 결제 할 수 있습니다. 이를 현재 페트로 달러 Petrodollar 라고 부르고 있습니다. 그러나 중국이 페트로 위안 Petroyuan에 공을 들이고 있습니다. 2020년 7월 영국 브리티시페트롤리엄(BP)은 중국 통화인 '위안화'로 원유 300만 배럴을 인도받은 첫 사례가 있습니다.
원유시장의 결제 화폐가 '기축통화(국제간의 결제나 금융거래의 기본이 되는 통화)'의 첫 관문이기 때문에 중국은 페트로 위안을 중시하고 있습니다. 세계의 주요 기업이 원유를 위안화로 거래하면 위안화 수요를 창출할 수 있습니다.
2008년 세계 금융위기 이후 40여 개국의 중앙은행과 위안화 스왑 계약을 하고, 위안화 국제 결제 시스템을 구축하는 등 위안의 세계화를 위해 노력해오고 있습니다. 현재 중국의 중동 석유 최대 소비국으로 올라섰으며, 사우디아라비아와 중국은 '전략적 동반자 협정'을 체결하여 페트로 위안화에 다가서고 있습니다.
[관련 뉴스기사 모음]
세계에서 가장 많이 사용되는 10대 언어
[출처] https://www.visualcapitalist.com/the-worlds-top-10-most-spoken-languages/
영어 : 11억 3천
중국어 : 11억 1천
인도어 : 6억 1천
스페인어 : 5억 3천
프랑스어 : 2억 8천
아랍어 : 2억 7천
벵골어 : 2억 6천
러시아어 : 2억 5천
포르투갈어 : 2억 3천
인도네시아어 : 1억 9천
우리 아이의 미래에 경제 영향력을 더 발휘하게 될 중국
세계인의 언어인 만큼, 중국어 학습은 미리 시작해보세요!
2023학년도 서울대학교 합격자 인터뷰
차이홍 안산 교육국 진홍화 팀장님의 자녀 위민 학생이 서울대학교 인문학부에 수시 합격했습니다.
'지역균형전형'으로 수시를 준비했는데요. 어떻게 전형을 준비하고 공부했는지 또 중국어 학습 전략은 어떠했는지 살펴보겠습니다.
Q. '인문학부'라는 전공을 소개해 주세요.
학생 : 저는 학생부종합전형 중 지역균형전형으로 인문계열에 입학했습니다. 인문대학은 총 14개 학과가 있습니다. 1학년은 랜덤으로 학과가 아닌 반으로 지정되고, 2학년 때부터 자신이 원하는 학과를 지정할 수 있습니다. 아직은 어떤 학과를 선택할지 결정하지 않았고 진로의 방향만 결정했어요.
Q. 진로는 무엇으로 정했나요?
학생 : 인문학적 지식을 쓸 수 있는 PD가 되고 싶습니다. 시사/교양 혹은 정보를 전달 할 수 있는 쪽의 프로그램을 기획해보고 싶어요. 사람들에게 의미 있는 정보를 전달하고 싶은 마음이 들었습니다. 그래서 교내 활동도 이와 관련된 활동을 많이 했어요.
Q. 수시 전형을 준비하기 위해서 어떤 것들을 했나요?
학생 : 지역균형전형은 생기부(생활기록부)가 좋아야 해서 수상이나 활동 사항이 모두 중요해요. 수상 경력은 교내 수상으로 학기당 1개, 3학년 1학기까지 총 5개만 반영이 돼요. 글쓰기 대회나 영어 스피치 대회 같은 거 도전했습니다. 그리고 활동 사항도 필요한데요. 교지제작부 동아리 활동을 했습니다. 사회 문제 관련한 신문 스크랩도 하고 친구들과 토론도 하며, 관련된 건의 사항을 만들어서 시청에 민원을 올리기도 했습니다.
자기소개서는 여름방학 때 두 달 정도 시간이 걸렸어요. 첨삭은 학교 선생님께서 많이 도와주셨습니다. 27번 정도 수정을 계속했던 거 같아요. 제가 주도적으로 쓰고 선생님께서 문법적 오류 등을 많이 봐주셨습니다.
Q. 평소 공부는 어떤 스타일로 했나요?
어머니 : 어릴 때부터 책을 많이 읽었어요. 집중해서 2시간 책을 읽기도 하고 도서관도 엄청 자주 다녔어요.
학생 : 책 많이 읽은 게 확실히 많이 도움이 되었어요. 요즘 '문해력'이라고 말도 많이 하는데요. 교과서 내용을 이해하거나 지문을 읽어 내려갈 때 좀 더 수월했다고 생각해요. 그리고 가장 자신 있는 과목도 '국어' 입니다.
고등학교 1~2학년 때는 스터디 플래너로 공부 계획을 세세하게 나눠서 했다면 3학년 때는 매일 공부를 해야 하니 '앉은 자리에서 다 해버려야지'라는 생각으로 공부했습니다. 계속 일정량을 공부하다 보니 하루 공부하는 양에 대한 감이 잡혔습니다.
Q. 사교육은 많이 했나요?
어머니 : 학원은 집 근처에 있는 학원으로 다니기로 민이가 결정했어요.
학생 : 국어, 영어, 수학 동네 학원으로 다녔는데 학원 수업을 따라간다기보다는 선생님들께 여러 자료를 받고 싶어서 다녔습니다.
Q. 입시 정보는 보통 어디에서 얻나요?
학생 : 고등학생이 되면 모두 가입하는 카페가 있어요. '수만휘'요. 거기에서 정보를 많이 찾아볼 때도 있고 주변 친구들과도 정보 교류를 많이 하는 편입니다. 또 학원에서도 소식을 많이 챙겨 듣습니다. 여러 곳에서 정보를 얻다 보면 중복되는 정보들이 있어서 거기서 정리하는 편이에요.
수만휘(수능날 만점시험지를 휘날리자) : https://cafe.naver.com/suhui
Q. 중국어 공부는 어느 정도까지 했나요?
어머니 : 아이들이 새로운 공부는 싫어한다고는 해도 중국에 인구가 제일 많은 나라잖아요. 그리고 지금 글로벌 시대 그러니까 중국어 하나는 더 배워놓으면 나중에 우리가 인생을 살면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거든요. 그래서 중국어 공부는 초등학생 때부터 시켰어요.
학생 : 초등학생 때부터 중학생까지 차이홍으로 중국어를 배웠어요. HSK 4급까지 배웠고 자격증을 땄습니다. 중학교에서도 내신 과목으로 중국어가 있었고, 고등학교도 2학년 때 중국어 과목이 있었어요. HSK 4급 실력이라 중고등학교 내신 대비는 어렵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서울대학교 지역균형전형은 제2외국어/한문 응시가 필수에요. 그래서 중국어를 선택했고, 기출문제 위주로 공부하고 시험을 쳤어요. 서울대학교 정시도 제2외국어/한문 영역은 필수 응시이고 3등급 이하면 감점으로 알고 있습니다.
Q. 앞으로의 중국어 학습 계획은 무엇인가요?
학생 : 대학을 들어가면 중국어는 계속 공부할 거예요.
서울대학교 인문대학은 영어를 두 학기 동안 필수로 이수해야 하고, 졸업할 때까지 외국어 과목을 3개를 들어야 합니다. 그중 2개 과목은 초급, 1개 과목은 중급을 이수해야 해요. 저는 이미 중국어를 배웠고 자신 있으니 중국어를 중급 과정으로 선택할 예정입니다. 초급, 중급이라고 해도 난이도가 조금 더 높다고 알고 있어요.
중국어 중급을 공부한다면 HSK 6급까지도 함께 도전할 생각이에요. 그렇게 꾸준하게 중국어를 공부할 예정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