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건공간정보실습 M2073.003300 001 (3학점)
교과목 개요(국문)
보건학, 환경보건학 전공자들이 의학 보건학의 관점에서 지리정보체계(GIS)의 기본적인 개념과 간단한 분석 기술을 습득한다. 본 과정은 공간 정보 접근을 위한 최신 기술과 GIS 내에서 정보를 통합하는 방법에 초점을 맞춘다. 지역 사회와 국가 단위에서 의학-보건학적 정보의 지리공간 분석에 활용하여 연구자들과 실무자들이 습득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처리할 수 있도록 한다. (1) 공중보건연구 및 실습 활용에 적절한 공간 데이터 확인 (2) 공중보건연구 및 실습 활용을 위한 공간 데이터 수집, 작성을 위한 지침 설계 (3) 최신 기술 데이터를 GIS에 통합하여 공간 분석 수행
Course Description (English)
The goal of this course is to acquire the basic concepts and simple analysis skills of the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 from the perspective of medical health science. this course focuses on the advancing technologies for accessing spatial information and how to integrate that information within a GIS. Researchers and practitioners in public health and environmental health will be able to utilize medical and public health information through geospatial analysis at the community and national level.
시공간역학 및 실습 M2073.001500 001 (3학점)
교과목 개요(국문)
시간과 장소는 사람과 함께 역학의 3요소이지만 상대적으로 덜 주목받아왔다. 2000년부터 2010년까지 주요 역학저널 7종에 실린 논문 중 공간 요소를 제대로 분석한 논문은 약 1%에 지나지 않았다. 최근 지리정보시스템(GIS)의 발전과 소지역 건강정보 제공에 따라 관련 역학 연구가 늘어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QGIS 및 R과 같은 오픈소스 소프트웨어를 이용해 건강행동과 질병의 분포를 시각화하고, 시공간상관을 고려한 군집분석과 회귀분석을 수행하며, 지역사회개입의 효과를 평가해보고자 한다.
Course Description (English)
Time and place are the three elements of epidemiology together with humans, but they have been relatively less noticeable. Among the papers published in seven major epidemiological journals from 2000 to 2010, only about 1% of the papers correctly analyzed spatial factors. Recently, the development of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s (GIS) and the provision of small-area health information have increased the number of related epidemiological studies. In this course, we will use open source software such as QGIS and R to visualize the distribution of health behaviors and diseases, perform cluster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considering space-time correlation, and evaluate the effects of community intervention.
환경역학 900.516B.001 (3학점)
교과목 개요(국문)
공업화와 인구증가에 따른 환경오염은 자연생태계 뿐만 아니라 인간의 건강에도 큰 위협이 되고 있다. 환경역학은 이러한 환경오염물질이 인간의 건강에 미치는 위험도를 측정하는 여러 가지 방법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즉, 환경요인과 관련된 복합적인 보건문제에 대하여 적절한 역학적인 연구기법과 이론을 학습한다. 실습시간에는 국내외에서 연구된 여러 가지 자료를 고찰하고 토의함으로써 새로운 측정 및 연구방법 개발의 능력을 배양한다.
Course Description (English)
Despite the growing concern and increasing interest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nvironmental hazards and the health of human communities, there is a paucity of good and useful studies on the subject due to deficiencies in application of an adequate research methodology such as design, collection of valid data, analysis and interpretation. This course deals with methods useful in assessing risk of hazards affecting human health.
역학고전강독 M2073.001800.002 (3학점)
교과목 개요(국문)
눈부시게 발전하는 최신 역학 이론과 실제에 매몰되어 역학적 사고의 진화 과정과 역사를 잊게 되는 경우가 많다. 본 과목에서는 역학의 발전 과정에서 중요한 전환이 됐던 고전 논문을 함께 읽고 역사적 의미를 현대적 맥락에 맞게 재구성하는 시도를 수행해보고자 한다.
Course Description (English)
It is often buried in the latest dynamical theory and practice that develops brilliantly, leading to the forgetfulness of the evolutionary process and history of epidemiologic thinking. In this course, we will try to read the classical papers that have become an important transition in the development of epidemiology, and try to reconstruct historical meaning to the contemporary context.
법역학 M2073.001700.002 (3학점)
교과목 개요(국문)
최근 국민건강보험공단 담배소송과 가습기살균제폐렴소송 등 역학적 증거가 법률적 맥락에서 활용되는 사례가 증가하고 있다. 본 과목에서는 인과성에 대한 기본 과학철학적 접근을 바탕으로 실제 사례에서 역학적 인과성과 법률적 인과성을 비교 평가해보고자 한다. 이를 위해 과학철학 전공자, 법학 전공자와 공동으로 강의를 기획 구성하고, 보건학 전공 학생 이외에 과학사 및 과학철학 전공과 법학 전공 학생에게 공개하려고 한다.
Course Description (English)
In recent years, there has been an increase in the use of epidemiological evidence in the legal context of the National Health Insurance Corporation tobacco lawsuit, humidifier disinfectant pneumonia lawsuits, and so on. In this course, we try to compare the epidemiologic causation with the legal causation in actual cases based on the philosophical perspectives of science. To this end, we plan to organize a lecture in cooperation with a major in philosophy of science and a major in law, and we would like to present it to students majoring in history of science, philosophy of science, and law students.
최신 역학연구 동향 세미나 1: 방법론 902.694.001 (1학점)
교과목 개요(국문)
보건학의 필수과목인 역학의 영역은 최근 급속한 과학기술 발전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 세미나는 전통적 교과목을 보완하여 다양한 최신 연구동향을 학생들이 파악할 수 있도록 두 학기에 걸친 세미나 과목으로 개설하고자 한다. 첫 학기의 ‘방법론’ 부분에서는 최근 새로 발전하고 있는 연구방법론들의 주요 특성에 대해 토론한다.
Course Description (English)
Epidemiology as a required subject in public health is rapidly evoling by the fast-paced developments in scince and technology. To complement the traditional course, this seminar is given over 2 semesters, aimed to provide students with up-to-date perspectives of diverse new trends. In the first semester, ‘Methodology’ part, students will discuss the key features of the newly developing research methodologies.
최신 역학연구 동향 세미나 2: 새로운 성과 902.695.001 (1학점)
교과목 개요(국문)
보건학의 필수과목인 역학의 영역은 최근 급속한 과학기술 발전에 따라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 세미나는 전통적 교과목을 보완하여 다양한 최신 연구동향을 학생들이 파악할 수 있도록 두 학기에 걸친 세미나 과목으로 개설하고자 한다. 첫 학기의 ‘방법론’ 부분에서는 최근 새로 발전하고 있는 연구방법론들의 주요 특성에 대해 토론한다.
Course Description (English)
Epidemiology as a required subject in public health is rapidly evoling by the fast-paced developments in scince and technology. To complement the traditional course, this seminar is given over 2 semesters, aimed to provide students with up-to-date perspectives of diverse new trends. In the first semester, ‘Methodology’ part, students will discuss the key features of the newly developing research methodologies.
[역학실습조교] 역학실습세미나 1: 사례연구 M2073.000100.001 (1학점)
교과목 개요(국문)
역학은 실천적인 학문으로서 과학적 근거에 따라 현실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을 제공한다. 이 과목은 2부로 이루어지는 첫번째로서 학생들의 현실문제 해결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며, 현장 실무자들에게 역학적 원리를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학생들은 기존에 해결된 보건문제 사례들을 공동작업으로 분석하여, 향후 전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Course Description (English)
Epidemiology is a practical discipline that provides the methodology to solve real-life problem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is is the first of 2-part courses aiming at strengthening problem-solving competency of students, including their capacity to teach epidemiologic principles to field workers.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work in groups to analyze previously resolved cases of public health problems to find lessons for future strategies.
[역학실습조교] 역학실습세미나 2: 적용 M2073.000200.001 (1학점)
교과목 개요(국문)
역학은 실천적인 학문으로서 과학적 근거에 따라 현실문제를 해결하는 방법론을 제공한다. 이 과목은 2부로 이루어지는 첫번째로서 학생들의 현실문제 해결역량 강화를 목표로 하며, 현장 실무자들에게 역학적 원리를 교육할 수 있는 능력을 배양한다. 학생들은 기존에 해결된 보건문제 사례들을 공동작업으로 분석하여, 향후 전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학습한다.
Course Description (English)
Epidemiology is a practical discipline that provides the methodology to solve real-life problems based on scientific evidence. This is the first of 2-part courses aiming at strengthening problem-solving competency of students, including their capacity to teach epidemiologic principles to field workers. In this course, students will work in groups to analyze previously resolved cases of public health problems to find lessons for future strategi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