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개인전 <50cm>, 갤러리초이, 서울 / 2025 Solo Show <50cm>, Gallery Choi, Seoul
작가노트 / 2025.4.28
얼마 전부터 가까운 것을 보려면 안경을 벗어야 했다. 책을 읽거나, 핸드폰을 보거나, 가까이서 물고기나 식물을 관찰하는 것 따위의 일을 할 때 말이다. 물론 작업을 할 때도 마찬가지다. 붓의 움직임에 의한 안료의 발림을 확인하거나, 서로 다른 두 색이 어떻게 화면을 만드는지를 자세히 확인할 때면 그렇다. 그런데, 조금 거리를 두고 그림 전체의 느낌을 확인할 때는 안경을 다시 써야 하고, 작업실 창밖의 하늘을 확인 한다던지, 어지럽혀진 책상 어딘가에 놓아둔 붓이나 연필을 찾을 때도 그렇다. 나는 이렇게 하루에도 수십 번씩 안경을 쓰고 벗고를 반복한다.
그렇게 하기를 몇 개월. 나는 묘한 지점을 하나 인지했다. 그것은 안경을 써도, 안경을 벗어도 잘 보이지 않는 일정한 거리, 혹은 간격인데, 줄자로 이를 재보니 내 눈에서 약 50cm 떨어진 지점이 그러했다. 이 지점을 확인하려면 나는 대상을 향해 앞으로 나아가든지, 아니면 뒤로 물러서야 했다. 마치 대상을 중심으로 두고 그 주위를 공전하는 위성이나 행성같이 말이다.
사실, 지금 내가 하는 일들이 이런 움직임 같은 것이다. 나는 잘 파악되지 않는 것들을 보려고 이리 움직여보고, 저리 그려보고, 이리 살펴보고, 저리 생각해본다. 그리고 그렇게 알게 된 짐작과 추측을 다 섞어서 화면에 표현한다. 물론, 그 표현이 잘 되었는지는 나조차도 의문이다. 때론 색감이나 안료의 밀도 같은 시각적인 지표에서 만족감이 들면서 잘 표현했다고 생각할 때도 있고, 시각적으로 만족이 되어도, 대상을 적절하게 표현하지 못했다고 자책할 때도 있다. 이러한 끊임없는 수긍과 회의 속에서, 나는 하루하루 작업을 하는 사람으로 살아간다.
나는 불안, 아련함, 슬픔, 알 수 없는 충족감, 넉넉함 등, 하루에도 내 심리를 수십 번씩 지나쳐가는 감정들을 화면에 붙잡아 두려 애를 쓴다. 그것들은 내가 만들어낸 화면 위에 하나의 환영으로 존재하고, 물감과 캔버스를 통해 은유적인 수사법을 만들어내는 일이기도 하다. 내가 표현한 형태들은 풍경의 형태로, 그 안에 나의 심리를 지배하는 감정들을 하나의 대상으로 표현한다. 물론 그 대상의 모습은 그 때 그 때 변화한다. 나는 ‘오늘 내 마음속 불안의 모습은 이렇게 생겼을 거야.’라든지, ‘오늘 생각나는 어린 시절의 향수를 굳이 대상으로 표현하자면 이렇게 생겼을 거야.’ 따위의 생각을 하며 그 생김새를 만들어간다.
내가 이들의 생김새를 만들어내고, 이를 풍경처럼 표현하는 이유는, 그들이 내 삶에서 항상 함께 하는 존재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들을 그리면서 내 삶을 이해하고, 또 의미를 부여하고 싶기 때문이다. 불안도, 슬픔도, 충족감도, 기쁨도, 넉넉함도, 아쉬움도 모두 내가 삶을 마감할 때까지 함께 할 수 밖에 없는 존재들이며, 그렇기에 난 그들과 친해지고 싶다. 그래서 언젠간 묻고 싶다. 너희들이 모두 함께했던 나라는 사람은 어떠했냐고. 그리고 너희들은 다른 사람들에게도 존재하는데, 그들은 또 어떠했냐고. 그리고 항상 생각하며 살 수 있게 해줘서 고맙다고.
물론 굳이 내 삶을 스스로 이해하고 거기에 의미를 부여해야 하는지 간혹 의문이 들긴 하지만, 아직은 현재의 작업을 진행하려 한다.
Artist statement / 2025.4.28.
Not long ago, I found that I had to take off my glasses to see things up close. This happens when I'm reading a book, looking at my phone, or observing fish and plants nearby. Of course, it’s the same when I’m working. I need to remove them to check the spread of pigment from the brushstrokes or to closely examine how two different colors create an effect on the canvas. However, when I want to get a sense of the whole painting from a slight distance, I have to put my glasses back on. The same goes for when I'm looking at the sky outside my studio window or searching for a brush or pencil somewhere on my cluttered desk. Like this, I put on and take off my glasses dozens of times a day.
After several months of this routine, I noticed something peculiar. There's a certain distance, or interval, where things aren't clear whether I'm wearing my glasses or not. Measuring it with a ruler, I found this blurry zone to be about 50cm away from my eyes. To see clearly at this distance, I have to move closer to the object or step back, almost like a satellite or planet orbiting around a central point.
In fact, the work I do now is somewhat like this movement. I try to see things that are hard to grasp by moving here and there, drawing from different angles, observing this way and that, and thinking in various ways. Then, I express the guesses and assumptions I come up with on the canvas. Of course, I often wonder if this expression has been successful. Sometimes, I feel satisfied with the visual indicators like color and pigment density and think I’ve expressed it well, but even when I’m visually satisfied, I sometimes reproach myself for not adequately representing the subject. Amidst this constant cycle of acceptance and doubt, I live my life as someone who works every day on their art.
I strive to capture the emotions that flit through my mind dozens of times a day – anxiety, wistfulness, sadness, an unknown sense of fulfillment, abundance – onto the canvas. They exist as illusions on the surface I create, and it's also an act of creating metaphorical rhetoric through paint and canvas. The forms I express often take the shape of landscapes, and within them, I represent the emotions that dominate my mind as objects. Of course, the appearance of each subject changes from time to time. I think to myself, 'Today, the shape of my anxiety must look like this,' or 'If I were to express the nostalgia for my childhood that I'm feeling today as a concrete object, it would probably look like this,' and I create their forms accordingly.
The reason I create these forms and express them as landscapes is because they are constant companions in my life. By drawing them, I want to understand my life and give it meaning. Anxiety, sadness, fulfillment, joy, abundance, regret – all of these are entities that will inevitably be with me until the end of my life, and so I want to become close with them. That's why I want to ask them someday: what was the person like, this 'me' that you all accompanied? And you exist in other people too, so what are they like? And thank you for allowing me to live always thinking about these things. Of course, I sometimes question whether I really need to understand my own life and give it meaning myself, but for now, I intend to continue with my current work.
2023 개인전 <문곡>, 제주현대미술관 -1평미술관, 제주 / 2023 Solo Show <Ask Valley>,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 1Pyeong Museum, Jeju
프롤로그
달랐다. 그리고 이 다름은 주형을 적잖이 당황시켰다. 아무리 지명을 찾아봐도, 제주에는 ‘곡(谷)’자가 들어간 지명이 없었다. 육지에는 이 글자가 들어간 지명이 많다. 어지간한 한 음절을 만들어서 뒤에 ‘곡’자를 붙여 지도에서 찾아보면, 그 지명은 있다. 심곡, 반곡, 능곡, 지곡, 백곡, 난곡, 사곡, 역곡, 비곡, 손곡, 발곡... 세기도 힘들 정도다. 그런데, 제주에는 그 글자가 들어간 지명이 없다. 제대로 찾아보지 못한 것일까? 누군가에게 묻고 싶은데, 아쉽게도 제주를 잘 아는 사람이 옆에 없다. 주형은 한참을 더 지도를 살펴본 후 없다고 결론을 내린다. 그리고 이 결론은 오래전에 본, 오태석이 쓰고 연출한 한 연극을 상기시켰다. 그 연극을 보는 내내, 주형은 대사의 반 정도를 이해할 수가 없었다. 제주도에서 70여년 전에 쓰던 말이 대사로 나오기 때문이다. 그때 작은 의문을 가졌다. 그리고 그 의문이 오늘 조금 더 커진다. 주형은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을 공유하는 집단 안에 짐작되는 것 이상의 다름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 믿어왔었다. 그런데 연극에서 나오는 언어들은, 짐작되는 것 이상의 다름이었다. 그리고 ‘곡’자가 들어간 지명이 없다. 이 또한 짐작되는 것 이상의 다름이었다.
주형이 그리 믿어왔던 이유는, 지금까지 그가 추구했던 예술 표현의 방식 때문이었다. 그는 인간에게 보편적인 부분이 있다고 믿는다. 그리고 이 보편이 예술에 있어 서로를 연결하는 중요한 지점이 된다고 생각했다. 물론 보편이라는 것이 구체적으로 정의된 예는 ‘타의의 보편’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 정치·사회 분야에서만 찾을 수 있지만, 정의되지 않았을 뿐 인간의 정신 깊숙한 곳에 어떠한 종류의 보편이 존재하리라 그는 믿어왔고, 그러한 것이 예술적으로 탐구할 가치를 지니고 있을 것이라 믿어왔다. 그 생각의 결과로, 주형은 자신이 겪었던 여러 가지 중 ‘불안’을 예술적 주제로 탐구한다. 키에르케고르가 지적, 혹은 주장했듯이, 인간 정신의 심연에 존재하는 그 감정은 인간이 부정할 수 없고, 또 극복하기 힘든 근원적인 것이다. 그래서 ‘불안’은 인간 전체의 문제이고, 바로 그 이유로 소통하고 공감할 수 있는 예술의 주제가 될 수 있다고 생각한 것이다. 그리고 이렇듯, 인간종(種)에 대해 표현한다고 생각하다 보니, 한국인이라는 정체성을 공유하는 상대적으로 작은 집단 안에는 짐작되는 것 이상의 다름이 존재하지 않을 것이라 믿어왔던 것이다. 그런데 오태석의 연극과 오늘 오후 내내 찾아본 지명은 이러한 믿음에 의문이 제기했다. 육지에서는 그리도 흔한 ‘곡’이, 제주에는 없다. 주형이 작업을 통해 불안을 은유하던 그 ‘곡’이, 제주에는 없다. 몇 년 전부터 ‘곡’과 ‘불안’을 일치시키던 그는 제주에는 불안이 없는 것인지 고민한다. 아니다, 그럴 리가 없다.
주형이 ‘곡’을 통해 불안을 은유적으로 표현하게 된 계기는, 그가 지금껏 살아오고, 지나갔던 지명들과 관련이 있다. 주형은 청소년기를 경기도의 ‘심곡(深谷)동’에서 보냈다. 다른 이와 마찬가지로, 수없이 많은 고민과 사건을 겪으며 지낸 그의 청소년기는, 동네의 이름 그대로 ‘깊은 계곡’이었다. 그는 그 깊은 계곡에서 허우적대면서 삶과 죽음, 인생, 인간에 대해 고민했고, 그것은 그대로 삶의 자양분이 되었다. 그리고 그 밖의 여러 ‘곡’에서 지내보게 되었고, 이러한 수많은 ‘곡’이 한국인들이 가진 불안을 은유할 수 있는 효과적인 소재로 보여진 것이다. 물론, 프로이트의 Uncanny valley 또한 한 몫을 하긴 했다. 그리고 흔해빠진 ‘곡’자가 붙은 지명처럼, 보편적인 ‘불안’을 보편적인 조형 언어로 공유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다. 그런데, 제주엔 ‘곡’이 없다.
그래서 주형은 당황했다. 무엇을 찾아야 하는지 고민한다. 또 무엇을 그려야 하는지 고민한다. 이 과정을 통해 제주와 주형 사이의 예술적 보편을 찾을 수 있을지 고민한다.
Prologue_Artist’s statement
It was different. And this difference made Joohyeong quite perplexed. No matter where he looked, there was no place in Jeju with the word gok (valley) in its name. Many places with the word can be found on the mainland. If you make any one-syllable word and add gok to the end, you can find it on a map nine times out of 10. Simgok, Bangok, Neunggok, Jigok, Baekgok, Nangok, Sagok, Yeokgok, Bigok, Songok, Balgok... It’s actually difficult to count them. However, there is no place in Jeju that contains the word. Is it because he did not try hard enough? He wants to ask someone, but unfortunately there is no one around who knows Jeju well. After a long look at the map, he concludes that there is none. And this conclusion reminded him of a play that Oh Tae-seok wrote and produced a long time ago. Throughout the play, Joohyeong could not understand half the lines. This is because the lines used the words spoken 70 years ago on Jeju. This led him to a small question. And that question has grown a little bigger now. Joohyeong had believed that there would be no difference beyond that which could be inferred by a group that shares the Korean identity. But the words in the play were more than he could imagine. And there is no place with the word gok in the name. This was also a difference beyond what could be inferred.
The reason Joohyeong had believed this was because of the way he had sought to express his art. He believes that there is a universal part of man. And he thought that this was an important factor in connecting one another in art. Of course, a concrete example of the definition of being universal can be found only in political and social contexts which use the term “the universal against one’s will,” but he has believed that there would exist some kind of universality in the deepest part of human mind—only not defined—and that it would be worth an artistic exploration. As a result of that thought, he explores as an artistic theme the “anxiety” of his many experiences. As Kierkegaard pointed out, or claimed, the feeling that exists in the abyss of the human mind is a fundamental one, something that man cannot deny and is difficult to overcome. So he reckoned that “anxiety” was a matter of the whole human being, and that’s why it could be a subject of art that man can communicate and empathize with. And as such, thinking that he makes representations about the human species, he has believed that there will be no more difference than one might infer in a relatively small group of people that shares the Korean identity. But Oh Tae-seok’s play and the names of the places he looked up throughout the afternoon raised questions about this belief. Gok, a word that is so common on the mainland, cannot be found in Jeju. Gok, the metaphor of “anxiety” that Joohyeong used though his work, is not in Jeju. Now, he who has been identifying gok with “anxiety” for the past few years is contemplating whether there is no anxiety in Jeju. No, there is no way.
The key to his metaphorical expression of anxiety through gok has to do with the names of places he has lived and passed through. He spent his youth in Simgok-dong (深谷: lit. “deep valley”) in Gyeonggi Province. As with others, his youth, fraught with countless troubles and events, was a “deep valley” as the name suggests. Living in a deep valley, he struggled to survive, agonizing over existence, death, life, and it has become the spiritual nourishment of his life. He then spent his twenties in Neunggok-dong (陵谷: lit. “hill and valley,” referring to the transition from a high hill to a deep valley) and lived in other places whose names contain the word gok, including Bangok (盤谷: lit. “valley resembling a small dinner table”), the neighborhood where he currently resides. Many of these places have been seen as effective subjects to metaphorize the anxiety of Koreans. Of course, Freud’s theory of the Uncanny Valley also played a part. And as these place names have the common suffix gok, he thought that the universal anxiety could be shared through a universal formative language. Nonetheless, there is no gok in Jeju.
So Joohyeong was puzzled. He wonders what to look for. He wonders what else to draw. He wonders if this process will find the artistic universality between Jeju and Joohyeong. And he asks, “Is there a gok in Jeju?”
2022 개인전 <깊은 구지>, 갤러리 박영, 파주 / 2022 Solo Show <Deep Valley>, Gallery Bakyoung, Paju
작가노트
10세부터 18세까지 심곡동에서 살았다. 경기도의 한 도시에 있는 그 곳은, 논산에서 상경한 소년에게 기쁘고도 슬프고, 즐겁고도 우울한 곳이었다. 심곡이라는 지명은 한자로 '深谷', 동네 어르신들의 표현으로는 '깊은구지'로 깊은 계곡을 의미한다.
사실 그 곳에 살면서 그 곳이 계곡이라는 생각은 해 본적이 없었다. 실제로도 산으로 이어지는 완만한 구릉이며, 사람들이 많이 모여사는 도심에 가까운 곳이었기에 그저 도시의 일부분으로만 느껴졌었다. 그 때 계곡 같았던 것은 그저 나의 복잡한 마음 속이었을 것이다.
참 많은 추억이 있는 곳이었지만, 어려운 시기이기도 했다. 그곳에서 난 삶과 죽음, 그리고 그사이의 많은 것을 고민했다. 그리고 바쁜 세월이 지나고, 현재 살고 있는 반곡동에 도착했을 때. 그리고 주변에 있는 둔곡과 사곡, 지곡과 백곡을 방문 했을 때, 심곡은 새로운 의미로 다가왔다.
이 수많은 '곡(谷)' 들은 나에게 프로히트의 계곡을 떠올리게 했다. Uncanny valley. 지금 나의 삶이 수 많은 일들로 이어져 복잡하듯, 수 많은 '곡(谷)'들이 내 삶을 감싸고 있었다. 난 언제나 내 삶이 햋볕에 바짝마른 듯한 명확함을 보여주기를 바라지만, 실제는 그렇지 않다. 언제나 불명확한 부분이 있고, 판단이 어려운 부분이 있으며, 빛이 들지 않는 어두운 부분이 있다. 이것은 거대한 하나의 계곡이 되어 나에게 심곡, 내가 살았던 깊은구지를 떠 올리게 하였다.
이 깊은구지를, 난 나누고 싶었다. 뭔가 털어 놓으면 내 삶이 이해받을 수 있을 것 같은, 그런 막연한 예감이 들었기 때문이다. 그래서 그렸다.
Artist Statement
I was raised in Simgok-dong in my age between 10 to 18. Located among Gyeonggi-do, Simgok-dong was the place where was pleased, sad, delightful and gloomy for a boy who had moved from Nonsan. Simgok is the name of the village, which means “deep valley”.
I had never assumed that it was valley during I was living there. As it was a gentle hill to mountain in fact, and this area was where many households were clustered together close to central so that I regarded it as a part of central. Instead, the valley would have been existed somewhere in my complicated mind in those days.
Personally this area was filled with a good memory of mine whereas I spent time there for struggling with myself as well. Numerous questions were drawn about life and death or something in between, while I was there. After time past, I found that Simgok became a new meaning given for me as I have settled in Bangok, and visited Dungok, Sagok, Jigok and Baekgok.
Those “valleys” reminded me of Freud’s valley; Uncanny Valley. So as present life of mine is complicated with uncountable relations of unpredictable stuff, my life is covered with uncountable “valleys”. I want my life shows clarity as sun-dried, parched thing all the time, but the reality is not. There is still unclear part, unconcludable point, and shade where it has been never spotlighten. Those parts gave a shape to a huge valley, which reminded me of Simgok, deep valley.
This personal deep valley - I wanted to share with. It would been shared thereby related and understood of my life to you in my vague guess. This is why I painted it.
2019 개인전 <단어의 이름>, Art Link, 서울 / 2019 Solo Show <Name of the word>, Art Link, Seoul
작가노트
1. 단어 : ART – 이름:AcRaTa(아크라타) - 과정:Ac(악티늄)+Ra(라듐)+Ta(탄탈)
2. 단어 : ART – 이름:AuReTe(오레테) - 과정:Au(금)+Re(레늄)+Te(텔루륨)
3. 단어 : ART - 이름:AlRuTi(알루티) -과정:Al(알루미늄)+Ru(루테늄)+Ti(타이타늄)
4. 단어 : FINE ART - 이름:FeIrNaEs AmRuTa(페이르나에스 암루타) - 과정:Fe(철)+Ir(이리듐)+Na(나트륨)+Es(아인슈타이늄)+Am(아메리슘)Ru(루테늄)+Ta(탄탈)
5. 단어 : REAL – 이름:RaErAtLa(라에르아틀라) - 과정:Ra(라듐)+Er(에르븀)+At(아스타틴)+La(란타넘)
이렇게 나는 'ART', 'FINE ART', 'REAL'이라는 세 개의 단어에 ‘아크라타’/‘오레테/알루티’, ‘페이르나에스 암루타’, ‘라에르아틀라’라는 이름을 붙였다. 이 이름들은 위에 기록한 원소 기호들에 의해 만들어졌으며, 각 원소의 원석이나 추출된 결정체의 모습으로 드로잉 되었다. 여기서 각 원소기호의 첫 글자(대문자)만 읽으면 단어가 되고, 원소기호 전체를 붙여 읽으면 이름이 된다.
원소기호를 사용한 이유는, 화학 분야 전공자인 지인이 미술의 실재(實在)함과 그 작동 방식, 나아가 그 가치를 이해하기 어려워하는 것을 보았기 때문이다. 나는 그의 입장에서 실재(實在)함이 의심되지 않는 원소를 사용해 예술을 지칭하는 단어(ART, FINE ART 등)의 이름을 지어 보여주고, 그 이름들이 그리스나 인도, 북유럽의 신화에서나 나올 법한 인물들의 이름처럼 읽히는 과정을 제시하였다. 이는 미술이 실재하고, 상상의 영역에서 작동한다는 것을 해학적인 방식으로 보여주려 한 것이다.
물론 현대 미술은 매우 많은 경우의 수를 가지고 있고, 각 작업의 다양한 방법론이 존재하기에 다가서기 어려울 수 있다. 하지만 대부분의 경우, 이러한 작업에서 보이는 은유적 방법론 및 색다른 이름을 가진 존재의 생성 방식에서 보이는 인식론적 접근이 통용될 수 있다고 생각했다. 즉, 미술을 이해하는 하나의 방법을 압축적으로 보여주기 위해 단어의 이름을 지은 것이다.
은유란, 보통 유사성을 근거로 하나의 사물을 다른 사물에 비교하여 의미를 더하는 수사학적 기능을 뜻한다. 이러한 의미 더하기는 작품을 매개로한 다양한 해석의 근거가 되며, 감상자가 스스로 의미를 반추하는 시작점이 된다. 이 시작점이 어디까지 확장될 수 있는지는 경우에 따라 다르겠지만, 미술이 매우 지시적으로 우리의 삶에 간섭하지 않는다는 것은 (거의)확실하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미술을 이해하기 위해서 우리는 각각의 은유적 지점들과 자신의 생각이 만나는 접점을 관찰하고, 스스로의 생각이 흐르는 방향으로 상상을 전개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상력은 AcRaTa(아크라타), 혹은 AuReTe(오레테) 같은 신화적 이름을 가진 인물들과의 만남 같은 환상과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환상이 현재의 삶을 다시 비추게 될 때, 그 작업은 감상자에게 의미를 가질 수 있을 것이다.
Artist Statement
1. Word: ART – Name: AcRaTa (Acrata) - Process: Ac (actinium) + Ra (radium) + Ta (tantalum)
2. Word: ART – Name: AuReTe (Aurete) - Process: Au (gold) + Re (rhenium) + Te (tellurium)
3. Word: ART - Name: AlRuTi (Alruti) - Process: Al (aluminum) + Ru (ruthenium) + Ti (titanium)
4. Word: FINE ART - Name: FeIrNaEs AmRuTa (Feirnaes Amruta) - Process: Fe (iron) + Ir (iridium) + Na (sodium) + Es (Einsteinium) + Am (americium) Ru (ruthenium) )+Ta(tantalum)
5. Word: REAL - Name: RaErAtLa (Raeratla) - Process: Ra (radium) + Er (erbium) + At (astatine) + La (lanthanum)
In this way, I gave the three words 'ART', 'FINE ART', and 'REAL' the names ‘Acrata / Aurete / Alruti’, ‘Feirnaes Amruta’, and ‘Raerarla’. These names were recreated from the element symbols written above, and were drawn as the rough stones or extracted crystals of each element. Here, if you read only the first letter (capital letter) of each element symbol, it becomes a word, and if you read the entire element symbol, it becomes a name.
The reason I used element symbols was because I saw an acquaintance of mine who majored in chemistry had difficulty understanding the existence(or reality) of art, (If it exists) how it works, and even its value. From his point of view, I show him the names of words that refer to art (ART, FINE ART, etc.) using elements whose existence is not doubted, and that the names are similar to those of characters who might come from Greek, Indian, or north European mythology. I want to present a process that can be read like a name. This is an attempt to show in a humorous way that art is real and operates in the realm of imagination.
Of course, contemporary art has a very large number of cases, and there are various methodologies for each work, so it can be difficult to approach it. However, in most cases, I thought that the epistemological approach shown in these works, such as the metaphorical methodology and the method of creating beings with unusual names, could be used. In other words, the word was named to concisely show one way to understand art.
Metaphor is a rhetorical function that adds meaning by comparing one thing to another, usually based on similarity. This addition of meaning becomes the basis for various interpretations throughout the work and becomes a starting point for the viewer to reflect on the meaning on his or her own. How far this starting point can be expanded will vary depending on the case, but I think it is (almost) certain that art does not interfere with our lives in a very directive way. Therefore, in order to understand art, we must observe the points of contact between each metaphorical point and our own thoughts, and develop our imagination in the direction in which our own thoughts flow. And this imagination can be connected to fantasies such as encounters with characters with mythological names such as AcRaTa or AuReTe. And when these fantasies reflect back on current life, the work can have meaning to the viewer.
2010 개인전 <공리적 풍경>, 성곡미술관, 서울 / 2010 Solo Show <Undefined Scene>, Sungkok Art Museum, Seoul
작가노트
나의 신체는 성장을 멈추었다. 다만 머리카락이 계속 자라난 뿐이다. 마찬가지로 나의 정신도 성장을 멈추었다. 다만 두려움이 자라날 뿐이다. 이러한 두려움은 머리카락이 나의 신체를 뒤덮듯, 나의 정신을 뒤덮는다.
두려움은 피폐해진 나의 삶의 조건들과 그에 다른 자신감의 상실에서 기인한다. 나는 사랑과 행복, 돈과 여유, 성취와 우정 따위의 인간들이 중요시 하는 덕목을 추구하는데 매우 어려움을 느끼며, 그것은 나만의 은밀한 덕목에서도 마찬가지이다. 이렇게 생성된 두려움은 나의 머리에서 벌레가 자라나게 만들기도 하고, 끝을 알 수 없는 깊은 구멍을 만들어 내기도 하며, 정체 모를 무엇인가와 공생하게 만들기도 한다.
하지만 나는, 나의 작업이 이러한 나의 현재를 설명해 주는데 그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것과 결합되는 일 없이, 즉 생식 없이 단독으로 발아하는 무성적인 생식세포인 포자처럼, 나 스스로 새롭게 태어나기를 원한다.
Artist Statement
My body stopped it's own growth except hair. And same like this, my spirit do not grow anymore except fear. Like as hair cover my body, the fear cover my whole spirit. So, hair is my metaphoric visual instrument for express my fear.
This fear comes from less of confidence of life. Now, in my society, it's very hard to get fame, money, love, family and something. And it's also hard to get my secret needs except above.
All my shape is starting from my back head, and it transformed by my thinking of that time. Sometimes there is some bugs in my head, and sometimes there is big dark hole in my head. It's shape is always change and goes on.
I drawing and painting hairs for express my self, for get over my fear like a spore that asexual reproductive cell that germinates alone.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인터뷰 / Interview
인터뷰 일시 : 2010. 4. 22
대담 : 김진섭
정리 : 송의영
녹취 : 권예송, 금보운, 양예진, 이경은, 전에스더
Q. 학교졸업 후 처음 작업을 할 때 어떠한 생각을 했었나.
A. 예술을 잘 모르겠다고 생각을 했다. 예술의 성격이 뭔지 등등, 물론 각자가 다르고, 판단하기 나름이지만 그것들에 대해 생각을 많이 했었다. 현재는 지나치게 현상적인 것을 다루는 것은 나와 안 맞는다고 생각한다. 은유가 중요하다 생각했고, 그것이 어떻게 그림으로 표현될 것인가를 많이 고민했다.
Q. 작업할 때 가장 영감을 주는 것은?
A. 주로 나 스스로다. 내가 어떤 생각과 행동을 하고, 그로 인해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결과가 발생하는 과정들이 나에게 끊임없이 피드백을 준다. 나와 나의 행동사이에서 발생하는 과정들, 나는 그것을 예민하게 받아들이는 것 같다.
Q. 작업은 본인에게 잘 맞나.
A. 그렇다. 잘 맞고 좋다.
Q. 작업의 리듬은?
A. 주로 밤에 작업한다. 낮에 다른 일들을 하다보면 혼자서 집중할 수 있는 시간이 오후부터 저녁이다. 가끔 아침까지 이어지기도 한다.
Q. 작업을 하다보면 정화되는 느낌이 드나.
A. 그렇다. 작업하는 사람은 누구나 있을 거라고 짐작한다. 하지만 그것이 미묘한 감정 상태에 있다가 시간의 힘으로 해결되는 것인지, 작업 때문에 정화되는 것인지는 의문이기는 하다. 어쩌면 시너지 효과일지도 모르고. 그런데 작품을 하다보면 항상 시간이 잘 가고 다른 것들을 많이 잊게 된다.
Q. 애초에 드로잉을 정하고 하나, 작업 하면서 변하나?
A. 처음에 어느 정도 정하고 하지만 완벽하게 정하지는 않고 하면서 변해간다.
Q. 드로잉은 어느 정도 하나?
A. 나는 드로잉이 많지는 않다. 하나의 작품 당 드로잉이 3~4개 정도다.
Q. 모든 작업에 드로잉을 하나?
A. 안하는 것도 있다. 작업과정에 어느 정도 일괄된 체계는 있다. 세필을 이용해서 선들을 집적한다는 일괄적인 체계는 있지만 그 전후 관계에 있어서는 정해진 틀은 없다. 쉽게 말하자면 작업과정의 반 정도는 정형화 되어있는데 그 외적인 것은 유동적이라고 할 수 있다.
Q. 세필 작업이 시작되기까지의 과정은?
A. 먼저 검정색 바탕을 깔고 세필 작업을 하는 건데 검정색 바탕도 처음에 드로잉을 해서 어느 정도 방향성을 잡은 후에 하면서 조금씩 바뀐다.
Q. 작업이 망쳐서 다시 하게 되면 어떤가.
A. 망치는 작업은 거의 초반에 많다. 끝까지 가서는 좀 덜 발생한다. 검정색 바탕이 완성 된 다음부터는 어느 정도 작업과정이 정해져 있고, 앞의 구상이 완벽하다고 치면 완성시키는 과정은 일관되기 때문이다. 예전작업인 NAME시리즈 같은 경우는 작업이 거의 완성 됐는데 선 하나 때문에 뜯어야 하는 경우도 있었다. 그때는 조금 힘들었지만 이번의 시리즈는 그 보다는 꽤 편안하다.
Q. 초기에 작업 시작했을 때와 여기까지 오는 변천과정이 궁금하다. 처음에 면, 선 작업을 했을 때와 지금은 어떤 점이 다르고, 연관성이 있는지?
A. 초기에는 미술을 기본적인 단위부터 연구해 보고자 점, 선, 면에 대해 연구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형식적인 부분에 대한 연구의 비중이 많았다. 아무튼 그러한 연구를 통해 형식적인 것에 대하여 스스로 결론을 내리게 되었고, 이제는 내용적인 부분에 좀 더 중점을 두고 작업해 보자고 생각하여 이번의 시리즈가 나온 것이다.
Q. 이전 작업에 비해 표현방식이 변했다. 그 계기?
A. 앞서 말했듯이, 이제는 내용적인 부분에 좀 더 중점을 둬야겠다고 생각했고 그 방법으로 나의 생각을 반영할 구체적인 이미지를 가진 매개물(머리카락)을 등장시키기 시작했다. 단순히 점과 선만 갖고 뭔가를 표현하려고 했을 때, 내 능력으로는 충분히 표현되지 않더라. 그 때는 그런 것들을 부연설명하기 위해서 많은 말을 해야 했다. 물론 이해하는 과정에서 대화가 중요하기는 하지만 요즘의 나는 봤을 때 느껴지는 것이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직관적이랄까?
내용적인 부분이란 간단하다. 나 스스로 나의 상황을 주시했을 때, 너무 살기 힘들다는 게 느껴졌다. ‘이게 왜 이렇게 힘든 걸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이다. 생각을 실현하는 것, 명예를 얻는 것, 경제적으로 여유로우며 친구를 갖는 것 등 모두가 욕망하는 것 말고도 개인적인 몇 몇 욕망조차 충족시키기 어려운 위치에 와 있더라. 이렇게 살면 제대로 살 수 있을까, 이러다가 그냥 죽는 게 아닐까, 라는 불안함을 느끼기 시작한 것이다. 물론 그것들은 (이전에도) 계속 갖고 있었지만 내용적인 측면을 보면서 나를 주목하자 크게 증폭되더라. 이런 나의 상황을 표현하고 싶었다. 그리고 이러한 표현은 아마도 사회에 속해 있는 대부분의 사람들과 나를 같이 호흡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 생각했다. 왜냐하면 사회에 속한 대부분의 사람이 이런 종류의 문제로부터 발생된 불안감을 가지고 있을 것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럼 이런 나를 어떻게 표현해야 할까? 고민을 했다. 흔하고 보편적인 연출은 하기가 싫었고, 무언가 좀 더 깊은, 극대화 된 것을 표현하고 싶었다. 그리고 그것이 나로부터 나온 것이기를 원했기 때문에 내 신체중의 일부인 머리카락을 소재로 선택한 것이다. 그것을 통해 이야기를 진전시켜서, 결국에는 포자가 되고, 공리적 풍경이 된 것이다. 포자는 단성생식을 하므로, 이는 곳 혼자서 일어났으면 좋겠다는 의지이다. (혼자는 어떤 측면에서 혼자?) 물론 사회에 속한 사람은 완벽한 혼자일 수는 없다. 사회에 속해 있기 때문에 위에서 말한 불안감도 느끼는 것이고, 사회에 속해 있기 때문에 그 불안감을 떨쳐버릴 수도 있다. 다만 나는 스스로가 주된 행동의 주체가 됐으면 하는 것이다. 옛날에 유행했던 ‘홀로 서기’라는 시 같이. 내 개인적인 욕망이다.
Q. 작업끼리의 하위나 연관성이 있는가.
A. 제목으로 예를 들면 쉽겠다. 제목들은 일관된 심상이 있다. 불안, 두려움, 외로움 등이 그것이고 이를 직접적이거나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생각 후의 첫 호흡(First breath after thinking)’같은 경우는 어떤 생각(그것이 불안일지, 두려움일지, 외로움일지는 모르겠지만)을 한 다음에 처음 호흡할 때의 느낌이랄까, 그런 것들을 표현한 것이다. 작업할 때의 느낌이 많이 반영된다. 동작보다는 주로 느낌이다. 내 작업실에는 마스킹 테이프들이 벽에 많이 붙어있는데 여기에는 그때그때의 심상이 글로 적혀있다. 주로 하나의 작업을 할 때 그 작업 주변으로 마스킹테이프가 다닥다닥 붙게 된다. 그것이 그대로 제목 후보군이 된다. 나는 그 중의 하나나, 아니면 그것들을 조합하여 제목을 정한다. 그러한 마스킹 테이프에 적혀진 내용은, 노래가사나 책에서 나오는 경우도 있고, 그저 머릿속에서 떠오르는 경우도 있다.
Q. 포자 시리즈 말고, 다른 작업들은 독특하고 파격적이다.
A. 검은 바탕의 작업을 말하는 것인가. 포자시리즈 중 하얀 바탕은 텅 빈 공간 속에 있는 하나의 존재를 말하는 것이다. 검은 바탕은, 어떤 하나의 존재의 일부분일 수도 있고, 아니면 존재 자체가 없는 모두가 텅 비어 있는 공간이라고도 볼 수 있다. 다시 말해 하얀 바탕의 그림은 세상에서부터 격리된 하나의 존재가 되는 것이고, 검은 바탕의 그림은, 하나의 존재의 부분일 수도 있고, 아니면 세상이 있는지도 모르겠고, 까만 게 세상인지도 모르겠고, 하는 것이다. 이것은 좀 복잡해 보이지만 내 작업에서 검은 공간이 불안, 두려움 등을 동반한 미지의 세계라는 것을 이해하면 쉽다.
Q. (작품 중에) 큐브는?
A. 그 검은 공간을 둘러싼다는 느낌을 표현하고 싶었다. 포자도 마찬가지다. 검은 공간에 머리카락들이 있는데, 그것들이 말려있기도 하지만 둘러싸여 있기도 한 것이다. ‘큐브’ 같은 경우는 둘러싼다는 느낌을 더 강하게 주고 싶어서 박스형의 이미지를 활용했다. 포자가 그 안에 서식하고 있다는 느낌이라면 박스는 둘러싼다는 느낌을 주고 있다. 아무것도 없는 공간에서 뭔가 어떤 공간을 둘러싼다. 둘러쌈으로써 안과 밖을 구분하지만 안과 밖이 모두 검은 경우도 있다. 허무할 수도 있고, 약간은 존재론과 연관될 수 있기도 하다.
Q. 작업이 형태가 있는 것도, 없는 것도 아닌 것 같다. 돌기가 살짝 삐져나온 것은 어떤 의미인가?
A. 작업을 할 때 너무나 현실적인, 바로 인지할 수 있는 형상은 피하려고 노력한다. 그게 불가지론적인 생각 때문은 아니다. 명확한 이미지는 너무 명확하게 다가가는 경우가 있다고 생각하는데 그게 두렵기 때문이다. 감정적인 부분이나 은유를 내포할 수 있는 부분들을 남겨두기 위해서이다. 이 방법론에 대해서는 아직 나도 100% 확신은 없다. 왜냐하면 어떤 경우는 완벽히 재현적인 이미지를 통해서 강한 은유를 전달하는 작업도 있기 때문이다. 다만, 계속해서 시도 중인 과정이다. 돌기 같은 것도 같은 맥락에서 이해해주길 바란다.
Q. 사전에 머리카락에 대해 연구를 했나.
A. 따로 관찰을 많이 하지는 않았다. 그저 살면서 느낀 것 같다. 항상 옆에 있는 존재니까.
Q. 작업의 소개인 머리카락 이라는 게 다양한가?
A. 다양하진 않다. 나에게는 하나의 심상을 지닌 은유적인 소재이다.
Q. 작품의 머리카락들이 실제 윤기 있게 보인다.
A. 적당히 느낌을 내려고 했다.
Q. 관람객의 입장에서는 그려진 머리카락에 대해 어렵게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A. 그럴지도. 그러나 아마 대부분 비슷한 느낌을 가질 것이라 짐작한다. 나는 나를 떠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해석은 무엇이든 그 자체로 역할을 한다고 생각한다. 또한, 그것이 무엇이든, 내가 방향을 바꿔야 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Q. 네임전(지난 전시)은 좀 어렵더라.
A. 그 때는 선에 대한 연구였다. 면에서 발전한 선들이 어떻게 화면 안에 구성 되는가, 그 구성에 대한 문제가 있었다. 그리고 물론 회화의 문제, 갇혀진 캔버스와 그 안에서의 운동에 따른 시각의 해석같은 문제도 포함되어 있다. 그러한 형식적인 틀 안에서 가능한 한 나의 생각을 담으려 했다. 물론 쉽진 않았다.
Q. 예전 전시 설치 작업(머리카락이 바람에 날리는 작업)은 어떤 느낌이었나.
A. 사회를 압축적이고 은유적으로 표현하고 싶었다. 머리카락을 깔아 놓고 선풍기를 틀어놓으면 처음엔 조금씩 날리다가 자기들끼리 뭉쳐서 바람의 반대쪽에 쌓인다. 머리카락 하나가 하나의 개인을 표현한다고 생각했다. 좁은 공간 안에 많은 개인들이 막 흩어져있는 형상인 것이다. 사회라는 구조 속에는 항상 선풍기 같은 존재가 있다. (작품을 통해) 외부에 의한 물리적 강압 같은 것들로 인해서 개인들이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보여주고 싶었다.
Q. ‘선풍기 같은 존재’가 긍정적인 것인가.
A. 어려운 문제다. 왜냐하면 그것은 사회를 이루기 위한 필수 조건같이 보이기 때문이다. 긍정, 부정의 두 부분이 모두 있으나 요즘의 나는 부정적인 면을 더 많이 느끼고 있다. 미디어에 의해서 조장된 하나의 사회적 분위기라든지, 비약이지만, 이러한 것이 잘못되면 파시즘이 될 수도 있지 않은가? 파시즘이란 단어 자체가 로마시대 집정관의 호위 부대가 들고 다니던 도끼에서 유래한 것이니, 이는 말 그대로 물리적 강압으로 발전할 여지가 충분하다.
Q. 이번 설치는? 크리스마스 트리 작업에서 바뀐건지(작가는 전시 전 미술관측과 가진 미팅에서 ‘크리스마스 트리’를 주제로 설치 작업을 할 것이라 밝힌바 있다).
A. 꼭 하고 싶었다. 하지만 동선이나 여러 가지를 봤을 때 적당한 공간이 나지 않았고, 그 공간을 위해 미술관의 구조를 바꿀 수도 없는 노릇이어서 다음 기회로 미루었다. 나뭇잎 대신 머리카락이 붙어 있는 크리스마스 트리 위에 다양한 색상의 조명으로 형상을 만들고 싶었고, 이는 페인팅 작업과 더불어 시너지 효과를 낼 것이라 생각했다. 이러한 작업은 사회와 개인과의 관계에 까지 논의를 진전 시킬 수 있었다.
Q. 작업하실 때 공간은 어느 정도 고려하나?
A. 전시될 공간을 미리 알게 된다면 당연히 고려한다. 그러나 알지 못할 때는 우선은 작품에 집중한다. 여기(성곡미술관) 같은 경우엔 전시 일정을 1년 전에 잡았고, 또 특색이 있는 공간이었기에 그에 대해 많은 생각을 했다. 대부분의 작업을 어떻게 디스플레이해야 하고, 어떻게 설치해야겠다는 생각을 하며 작업했다.
Q. 폐쇄된 공간에서 작업을 하는 편인가. 좁은 공간이 편한가.
A. 폐쇄된 공간을 좋아한다. 다만, 이젠 넓을수록 좋다. 넓은데 폐쇄된 공간, 난 그런 공간을 원한다. 그리고 작업할 때는 혼자 있어야 한다.
Q. 이미지가 평면이지만 깊이감 같은 게 있는 것 같다.
A. 그렇다. 그게 내가 유화를 사용하게 된 계기이다. 재료 같은 경우가 특성이 있다. 예전 작업에서는 아크릴을 썼는데 이번 작업은 아무래도 깊이감이 필요해서 유화를 사용했다. 또한 바니쉬의 종류도 여러 실험을 통해 결정하게 되었다.
Q. 매체를 바꿀 생각은? 페인팅을 고집하나?
A. 상관없다. 그것은 진행에 따라 달라지는 것 같다. 나는 매체를 미리 정해놓거나 해당 매체의 특징 같은 것을 조건으로 세우지 않는다. 나의 생각을 가장 잘 표현하는 매체라면 어떤 것이라도 상관없다. 제일 기본적인 것은 나의 사유다. 물론, 현재는 페인팅이 가장 편하기는 하다.
Q. 페인팅을 해야겠다고 생각하는 이유가 있나. 요즘은 다양한 재료들을 사용하지 않나.
A. 말했듯이, 현재는 페인팅이 가장 편하다. 큰 공간이 필요한 것도 아니고, 작업 과정도 어느 정도 연구만 있으면 충분히 진행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현재 나의 작업 과정에서 이루어지는 반복적인 노동이, 나의 정신 상태를 평온하게 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 같다. 그렇지 않고 지나치게 개입적이거나 완벽히 따라야 할 과정이 있는 작업 같은 경우는 지친다고 느껴질 때가 많다.
Q. 작업할 때의 사유 등을 각자의 해석에 맡기지 말고 더 자세하게 설명해 달라.
A. 그게 나의 습성이다. 아까도 말했듯이 나는 은유가 중요하다고 생각하는데, 은유가 존재하려면 서로 은유를 사용할 공간이 필요하다. 물론 내가 그린 것은 대충 그린 것이 아니고 거기에는 내 생각과 사고방식 등의 모든 것이 들어가 있으나, 이건 정답을 맞춰야 하는 시험이 아니다. 따라서 나는 관람객의 은유를 위한 공간을 남겨두는 것이다. 모든 것을 시시콜콜하게 말하고 싶지 않다. 미술 자체가 사람마다 다르고, 시대마다 다르다. 나는 그런 것들에 좀 여유가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Q. 미술을 하는 작가로서 살아가는 것은 어떤가. 작업하는 것이 어떤지, 미술계를 어떻게 체감하는지.
A. 요즘엔 가끔, 엔터테인먼트 산업 같다는 생각이 들 때도 있다. 물론 유희적 특성이 미술의 중요한 속성 중 하나이긴 한데, 거기서 끝나면 안 된다고 생각한다. 유희적 속성을 통해 사유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그러나 작가도 감상자도, 가끔은 더 깊이 들어가길 원하지 않는 것처럼 보인다. 그저, 익숙한 정도만 서로 즐기려는 듯 한 느낌이 들 때가 있다. 뭐, 그렇게 하고 싶으면 그래야 하겠지만, 나는 그 이상을 원한다. 지금 나는 엔터테인먼트 산업을 부정적으로 생각하고 말하는 것은 아니다. 그 산업은 그 자체로 존재가치가 크다. 다만 미술과는 달라야 한다는 말을 하는 것이다. 물론 간혹, 예술로 승화 된 엔터테인먼트나 엔터테인먼트로 승화(?)된 미술 작품을 접해서 나 스스로 헷갈릴 때도 있다.
Q. 평소에 어떤 책을 얼마나 읽나.
A. 몇 몇 분야의 책을 집중적으로 보는 편이다. 그리고 좋아하는 책은 몇 번이고 다시 보는 습관이 있다. 요즘에는 그레고리 J, 밀먼의 ‘금융혁명보고서’를 다시보고 있다. 그 직전엔 리차드 도킨스의 ‘The Greatest show on earth’를 읽었고, 그 전엔 주강현의 ‘적도의 침묵’, 미치오 카쿠의 ‘평행우주(Parallel worlds)’등을 읽었다. 좋아하는 책의 종류는 비슷하다. 과학적으로 쓴 책을 좋아한다. 철학이나 미술관련 책은 잘 안보는 편이다. 소설도 잘 보지 않는다. 주로 물리학이나 생물학 책을 본다. 그것들은 우리의 근원을 쫒아가기 때문이다. 그게 재밌는 것 같다.
Q. 요즘에는 경제에 관심이 있나? (작가가 최근 읽고 있다는 ‘금융혁명보고서’에 관해)
A. 10년쯤 전에 본 책인데, 주식이나 그런 얘기는 아니고, 통화체계의 발달에 대한 책이다. 복잡한 금융상품이 왜 생겨났는가 이런 것들, 페이퍼 머니를 처음 만든 역사, 그런 것들이 왜 시작했고, 왜 실패했으며, 왜 금본위제였다가 변했는지, 역사에 관련된 이야기다. 어떻게 보면 세계사의 일부인 얘기고.
(근본을 찾는 것을 좋아하는 것 같다.) 그렇다. 궁금하기 때문이다. 섬과 육지의 구분기준이 뭔지 아나? 나는 예전에 ‘섬과 육지는 모두 물 위에 솟아 있는, 인간이 발을 딛고 있는 땅인데, 왜 구분될까?’라는 것이 매우 궁금했다. 알아보니, 일단 오스트레일리아를 기준으로 그것보다 크면 육지고, 작으면 섬이다. 그 이유는, 오스트레일이아부터 하나의 땅덩어리에 다양한 기후가 존재하기 때문이다. 스텝, 온대, 툰드라 같은 것 말이다. 즉, 물로 둘러쌓인 하나의 육지에 다양한 기후가 있는냐, 없느냐가 기준이다. 기후가 하나밖에 없으면 섬, 다양한 기후가 있으면 육지다. 사실 이런 것은 우리의 선조들이 정해놓은 것이고, 나의 이득과 결부되지 않으면 몰라도 된다. 그러나, 그럼에도 불구하고 내 머릿속을 떠나지 않는 문제가 있는데 이것이 그 중의 하나였다. 아마 인간의 문제도 마찬가지라고 생각된다. 우리의 근원이 뭔지 몰라도 지금 잘살면 상관없다는 태도도 타당할 수 있지만, 나는 그런 것들을 알고 싶다. 내 그림에도 이런 것들이 들어있을 것이다. 물론 현실 생활과 관련된 문제도 중요하지만 그런 것들을 인간자체의 문제로 치환하는 것에 신경을 쓴다.
Q. 작업 말고 좋아하는 게 뭔가?
A. 사실 좋아하는 게 별로 없다. 영화를 보거나, 책을 읽거나, 걷는다. 그나마 좋아한다고 생각하는 것은 여행인데, 최대한 많이 가려고 노력하나 잘 안 된다.
Q. 작업을 봤을 때 대단하다고 생각한 작가분이 있나.
A. ‘대단하다’기 보다는 ‘좋다’고 생각하는 경우가 있다.
Q. 예를 들면?
A. Lobert Longo(로버트 롱고) 같은 경우도 있었고 고낙범의 인물시리즈, 그리고 윤형근의 몇 몇 작업이 그러했다. 최근엔, 김형관의 작업이 그러하다.
Q. 주변의 관계에 있어서는 어떻게 생각 하나.
A. 관계를 맺고자 하는 욕망은 아주 많다. 친구도 많이 만들고 싶다. 하지만 나는 능률적인 방식을 갖고 있지는 않다. 나는 사람은 다 소중한 존재라고 생각하기 때문에 나를 대하듯이 남을 대한다. 그런데 그러다 보니, 나를 기준으로 생각하고 행동하게 되어서 남에게 폐를 끼치는 경우가 있더라. 분명히 나라면 이럴텐데 상대방은 그게 아니었던 것이다. 남들을 나 자신을 대하듯 하니까 남들을 존중해 주는 것은 맞는데, 내 방식으로만 대하다 보니 융통성이 없다. 가끔, 나와 행동 방식이 다르신 분들은 나를 이해하는데 오래 걸리기도 하고, 포기하기도 한다. 나도 요즘은 다른 이의 방식을 배우려고 노력중이다.
... 이하 생략.
Interview
Interview date: April 22, 2010
Talk: Kim Jin-seop
Organized by: Song Eui-young
Transcript: Yesong Kwon, Boun Geum, Yejin Yang, Kyungeun Lee, Esther Jeon
Q. What did you think when you first started working after graduating from school?
A. I thought I didn’t know much about art. What the nature of art is, etc. Of course, each person is different and it is up to them to judge, but I thought a lot about them. Currently, I don’t think dealing with things that are overly phenomenal is suited to me. I thought metaphor was important, and I thought a lot about how it would be expressed in painting.
Q. What inspires you most when working?
A. Mainly myself. The process of what thoughts and actions I have, what happens as a result, and the results that occur, constantly gives me feedback. I seem to be sensitive to the processes that occur between me and my actions.
Q. Is the work a good fit for you?
A: Yes. It fits well and is good.
Q. What is the rhythm of your work?
A. I mainly work at night. If you do other things during the day, the time you can focus on your own is from afternoon to evening. Sometimes it lasts until morning.
Q. Do you feel purified while working?
A: Yes. I guess everyone might be. However, it is questionable whether it is in a delicate emotional state and is resolved through the power of time, or whether it is purified through the work. Maybe it's a synergy effect. However, when I work, time always passes quickly and I forget a lot of other things.
Q. Do you start with one base drawing? or does it change during working?
A. At first, I pick some base drawing in many base drawing for work, but work goes freely.
Q. To what extent do you base draw?
A. I don't do a lot of base drawings. There are about 3 to 4 base drawings per piece of work.
Q. Do you prepare base drawing for all your work?
A. Sometimes not. There is a somewhat uniform system in the work process. There is a comprehensive system of integrating lines using tiny brushes, but there is no set framework for the context. To put it simply, about half of the work process is standardized, but the rest is flexible.
Q. What is the process until the tiny brush work begins?
A. First, I paint a black shape and then do tiny brush work on it. The black shape also changes little by little as I draw it first and establish a certain direction.
Q. What if the work is ruined and you have to redo it?
A. Sometime it happens at the beginning. but It happens a little less towards the end. After the black shape is completed, the work process is set to some extent, and assuming the previous concept is perfect, the completion process is consistent. In the case of my previous work, the NAME series, the work was almost completed, but there were cases where it had to be torn down because of a single line. It was a little difficult back then, but this series is quite comfortable.
Q. I’m curious about the transition from when you first started working to this point. What ar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between when you first worked about plane, lines and now?
A. In the beginning, I started researching points, lines, and planes to study art from the basic units. There was a lot of research on formal aspects. Anyway, through such research, I came to my own conclusion about the formal aspect, and now I thought I would focus more on the content aspect, which is why this series came out.
Q. The expression method has changed compared to your previous work. That moment?
A. As I said before, I thought I should now focus more on the content, and as a way to do that, I started to introduce a subject matter (hair) with a specific image that would reflect my thoughts. When I tried to express something with just plane and lines, I couldn't express it well enough with my abilities. At that time, I had to say a lot to elaborate on such things. Of course, conversation is important in the process of understanding, but these days, I think what you feel when you see something is more important. Intuitive?
The content part is simple. When I looked at my situation for myself, I felt that it was very difficult to live with. It made me think, ‘Why is this so difficult?’ In addition to everyone's desires, such as realizing one's ideas, gaining fame, being financially comfortable, and having friends, I found myself in a position where it was difficult to satisfy even some of my personal desires. I began to feel anxious, wondering if I could live properly if I lived like this, and wondering if I would just die. Of course, I still had them (before), but when I looked at the content aspect and focused on myself, it was greatly amplified. I wanted to express my situation like this. And I thought that these expressions would probably allow me to breathe with most people in society. This is because I thought that most people in society would have anxiety arising from these types of problems. So how should I express myself like this? I was worried. I didn't want to do a common and universal production, and I wanted to express something deeper and more maximized. And because I wanted it to come from me, I chose hair, a part of my body, as the material. Through it, the story progressed and eventually became a spore and a undefined landscape. Since spores reproduce parthenogenetically, this is the intention that it should stand alone. (In what respect is alone?) Of course, a person in society cannot be completely alone. Because we belong to society, we feel the anxiety mentioned above, and because we belong to society, we can get rid of that anxiety. However, I want myself to be the main agent of action. Like the poem ‘홀로 서기(Standing Alone)’ that was popular in the old days. It's my personal desire.
Q. Are there any subordination or relationships between the works?
A. It would be easy to give an example with the title. The titles have a consistent imagery. Anxiety, fear, loneliness, etc. are expressed directly or indirectly. For example, in the case of ‘First breath after thinking’, it expresses the feeling of taking the first breath after thinking a certain thought (I don’t know if it may be anxiety, fear, or loneliness). It reflects a lot of how I feel while working. It is mainly a feeling rather than a movement. There are a lot of masking tapes on the walls in my studio, and on these, my thoughts at that time are written down. Usually, when working on one work, masking tape is stuck around the task. That becomes a candidate group for the title. I choose one of those titles, or a combination of them. The content written on such masking tape sometimes comes from song lyrics or books, and sometimes it just comes from my mind.
Q. Aside from the Spore series, your other works are unique and unconventional.
A. Are you talking about work with a black background? The white background in the Spore series refers to a single being in empty space. The black background may be a part of a single being, or it may be seen as an empty space with no existence itself. In other words, a painting with a white background becomes a being isolated from the world, and a picture with a black background may be a part of a being, or I don't know if there is a world, or I don't know if the black thing is the world. This may seem a bit complicated, but it is easy to understand that the black space in my work is an unknown world accompanied by anxiety, fear, etc.
Q. (Among works) What about Cube?
A. I wanted to express the feeling of being surrounded by that black space. The same goes for spores. There are hairs in the black space, which are curled but also surrounded. In the case of ‘Cube’, I used a box-shaped image because I wanted to give a stronger feeling of surrounding. If the spores feel like they are living inside, the box gives the feeling of surrounding it. In a space where there is nothing, something surrounds a certain space.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separated by enclosure, but in some cases both the inside and the outside are black. It may be nihilistic, and it may also be slightly related to ontology.
Q. It seems like your work neither has a form nor does it have no form. What does a slightly protruding protuberance mean?
A. When working, I try to avoid shapes that are too realistic or immediately recognizable. That's not because of agnostic thinking. I think there are times when a clear image approaches too clearly, I feel that scary. because I want to leave some sapce for emotional parts or metaphor in my painting. I'm still not 100% sure about this methodology. This is because in some cases, there are works that convey strong metaphors through perfectly representational images. However, it is an ongoing process. I hope you understand things like protuberance in the same context.
Q. Did you research hair beforehand?
A. I didn't do much observation. I think I just felt it while living. Because hair is always by my side.
Q. Is the hair that your subject matter diverse?
A. It is not diverse. To me, it is a metaphorical subject matter with a single image.
Q. The hair in the work actually looks shiny.
A. I tried to paint naturally.
Q. From the viewer’s perspective, it seems like they may have a difficult time with the drawn hair.
A. Maybe. However, I suspect that most people will probably feel the same way. I think that whatever interpretation is done outside of me has its own role to play. Also, whatever it is, I don't think I should change direction.
Q. The NAME exhibition (last exhibition) was a bit difficult.
A. At that time, it was a study on lines. There was a question of how the lines developed in the plane were organized within the canvas. And, of course, it also includes the problem of painting, the confined canvas and the interpretation of vision according to the movement within it. I tried to include my thoughts as much as possible within that formal framework. Of course it wasn't easy.
Q. What did the previous exhibition installation work (hair blowing in the wind) feel like?
A. I wanted to express society in a condensed and metaphorical way. If you lay your hair down and turn on a fan, it blows little by little at first, then clumps together and piles up on the opposite side of the wind. It was thought that each hair represented an individual. It is an image of many individuals scattered in a small space. In the structure of society, there is always a fan-like entity. (Through the work) I wanted to show how individuals change due to things such as external physical coercion.
Q. Is ‘being like a fan’ a positive thing?
A. It is a difficult problem. Because it seems like a necessary condition for creating a society. There are both positive and negative aspects, but these days I am feeling the negative side more. It may be a social atmosphere promoted by the media, but if it goes wrong, couldn't it become fascism? The word fascism itself comes from an axe carried by the Roman consul's bodyguard, so there is ample room for it to literally develop into physical coercion.
Q. What about this installation? Has it changed from the Christmas tree work? (The artist had announced in a meeting with the museum before the exhibition that he would be doing an installation work with the theme of ‘Christmas tree’).
A. I really wanted to do it. However, considering the circulation and various other reasons, there was no suitable space, and the structure of the museum could not be changed to accommodate that space, so it was postponed to another opportunity. I wanted to create a shape with lights of various colors on a Christmas tree with hair instead of leaves, and I thought this would create a synergy effect with the painting work. This work was able to advance discussion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ety and individuals.
Q. To what extent do you consider space when working?
A. If I know in advance the space where the exhibition will be held, of course I will consider it. However, when I don't know anything, I focus on the work first. In the case of this place (Sungkok Art Museum), the exhibition schedule was set a year in advance, and since it was a unique space, I thought a lot about it. Most of the work was done while thinking about how it should be displayed and how it should be installed.
Q. Do you tend to work in closed spaces? Are you comfortable in a small space?
A. I like closed spaces. However, now the wider the better. A spacious but closed space, I want that kind of space. And when I work, I have to be alone.
Q. Your painting is flat, but it seems to have a sense of depth.
A: Yes. That's how I started using oil painting. All materials are different. In my previous work, I used acrylic, but for this work, I needed a sense of depth, so I used oil painting. Additionally, the type of varnish was determined through several experiments.
Q. Do you plan to change the media? Will you insist on painting?
A. It doesn’t matter. It seems to vary depending on the progress. I do not decide on a media in advance or set conditions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a. It's matter which media best expresses my thoughts. The most basic thing is my thought and metaphor. Of course, painting is the most comfortable at the moment.
Q. Is there a reason why you think you should paint? Aren’t a variety of materials used these days?
A. As I said, painting is the most comfortable at the moment. This is because it does not require a large space, and the work process can be carried out with some research. And it seems that the repetitive labor that occurs in my current work process is helping to calm my mental state. Otherwise, tasks that are overly intrusive or have a process that must be followed perfectly often feel exhausting.
Q. Rather than leaving it up to each individual’s interpretation, please explain more about your work.
A. That's my habit. As I said before, I think metaphors are important, but for metaphors to exist, we need a space to use them. Of course, what I paint is not a rough thing, and everything including my thoughts and way of thinking is included in it, but this is not a test where you have to answer correctly. Therefore, I leave space for the audiance's metaphor. I don't want to talk about everything in detail. Art itself is different for each person and each era. I think there should be some leeway in those things.
Q. What is it like living as an artist who makes art? What is it like to work and how do you experience the art world?
A. These days, sometimes I think it's like the entertainment industry. Of course, playful characteristics are one of the important attributes of art, but I don’t think it should end there. I think we should be able to think through playful properties. However, neither the writer nor the viewer sometimes seems to want to go deeper. There are times when it feels like they are just trying to enjoy each other to a degree that is familiar to them. Well, if you want to do that, you can, but I want more than that. Now, I don't mean to think or speak negatively about the entertainment industry. The industry itself has great existence value. What I am saying is that it must be different from art. Of course, sometimes I get confused when I encounter entertainment that has been sublimated into art or works of art that have been sublimated(?) into entertainment.
Q. What books do you usually read and how much?
A. I tend to focus on reading books in a few fields. And I have a habit of revisiting my favorite books over and over again. These days, I’m re-watching Gregory J, Millman’s ‘The Vandal's Crown’. Just before that, I read ‘The Greatest show on earth’ by Richard Dawkins, and before that, I read ‘Silence of the Equator’ by Joo KangHyeon and ‘Parallel worlds’ by Michio Kaku. The types of books I like are similar. I like scientifically written books. I don't tend to read books about philosophy or art. I don't even read novels very often. I mainly read physics or biology and history books. Because they follow our origins. I think that's fun.
Q. Are you interested in the economy these days? (Regarding the ‘The Vandal's Crown’ that the author is currently reading)
A. This is a book I read about 10 years ago. It's not about stocks or anything like that, but it's about the development of the monetary system. It is a story related to history, such as why complex financial products were created, the history of the first paper money, why it started, why it failed, and why it changed after being a gold standard. In some ways, it is a part of world history.
(I think I like finding the root.) That’s right. Because I'm curious. Do you know what the criteria for distinguishing between an island and a continent are? In the past, I was very curious about the question, ‘Islands and continent are both the land that rises above the water and the land on which humans step, so why are they distinguished?’ When I looked into it, anything bigger than Australia was considered continent, and anything smaller than Greenland was an island. The reason is that, starting from Australia, various climates exist in one land mass. Things like steppe, temperate, and tundra. In other words, the standard is whether or not there are various climates on a single piece of land surrounded by water. If there is only one climate, it is an island, and if there are various climates, it is continent. In fact, these things were decided by our ancestors, and if they are not related to my benefit, I don't need to know about them. However, despite this, there are issues that never leave my head and this was one of them. I think the same is probably true of human problems. It may be valid to say that it doesn't matter if we live well now even if we don't know our origins, but I want to know such things. These things will also be in my paintings. Of course, problems related to real life are important, but I pay attention to replacing those with problems of humans themselves.
Q. What do you like other than work?
A. Actually, there isn’t much I like. Watch a movie, read a book, or take a walk. What I think I like most is traveling, and I try to go as much as possible, but it doesn't work out.
Q. Is there an artist whose work you thought was great when you saw it?
A. There are cases where I think it is ‘good’ rather than ‘great’.
Q. For example?
A. There was also the case of Robert Longo, Ko Nakbeom's portrait series, and some of Yun Hyeong-geun's works. Recently, Kim Hyungkwan's work is like that.
Q. What do you think about the relationships around you?
A. There is a lot of desire to be in a relationship. I want to make a lot of friends. But I don't have an efficient method. I believe that all people are precious beings, so I treat others as I would treat myself. However, as a result, I end up thinking and acting based on myself, which sometimes causes trouble to others. Obviously, it would be like this for me, but it wasn't for the other person. It's true that I respect others because I treat them the same way I treat myself, but because I only treat them my way, I'm not flexible. Sometimes, people who behave differently from me take a long time to understand me, and sometimes they give up. These days, I'm trying to learn other people's methods.
... omit below.
2008 개인전 <NAME>, 아트포럼뉴게이트, 서울 / 2010 Solo Show <NAME>, Artforum newgate, Seou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