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직 IC는 다음과 같이 분류
1.범용 로직 및 MPU 등의 표준품
2. ASIC(특정 용도용 IC)
3.자사 사양에 맞추어 개발하는 커스텀 LSI
전자 기기의 동작에 필요한 내부 신호처리는 크게 아날로그 신호처리와 디지털 신호처리로 나눌 수 있다. 전자는 아날로그 반도체 디바이스에서 처리하고, 후자는 로직 IC에서 처리하며 많은 종류가 있다.
IC 및 LSI는 제조 프로세스에 따라서 크게 바이폴라계와 MOS계로 분류한다. 또 이 2종류을 조합한 BiCMOS도 있다. 로직 IC는 디지털 신호 처리를 취급하는 IC 및 LSI이다. 바이폴라계(즉 바이폴라 로직) IC는 현재 TTL과 로직용 ECL 뿐이며, 일반적으로 로직 IC란 CMOS 로직계 및 BiCMOS계를 나타내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최초로 출시된 MCU '인텔 4004'
CPU에 이어 ROM과 RAM까지 하나의 칩 안에 내장한 것으로 하나의 컴퓨터라고 볼 수 있다. CPU나MPU는 특정 목적의 기능을 수행하는 소프트웨어를 이식해서 다양한 기능을 구현 할 수 있다.
즉, 중앙처리장치를 하나의 칩을 구현한 것 이다. MCU는 메모리반도체까지 칩 안에 내장 시킴으로써 MCU 칩 자체가 하나의 컴퓨터 기능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analog integrated circuit를 줄인 말로, 아날로그 양을 증폭하거나 제어하는 전자 회로를 집적화한 소자를 말한다. 음의 강도나 온도와 같이 연속적으로 변화하는 신호를 다루는 IC를 말하며, 리니어 IC라고도 한다.
전화, 라디오, 텔레비전 및 팩시밀리 등은 전류의 강약 변화를 통해 각각의 파형을 전송하는 아날로그 통신이다. 특정 지점에서의 온도·습도·기압 등의 측정값을 전류의 강약의 변화를 통해 그대로 전송하는 텔레미터도 아날로그 통신 방식의 하나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