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
DRAM은 램의 한 종류로 저장된 정보가 시간에 따라 소멸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재생시켜야 하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구조가 간단해 집적이 용이하므로 대용량 임시기억장치로 사용된다.
DRAM은 이 비트를 집적회로(IC) 안에 각기 분리된 축전기(Capacitor)에 담긴 전하량에 의해 기록한다. 시간이 지남에 따라 축전기의 전자가 누전됨으로써 기억된 정보를 잃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기억장치의 내용을 주기적으로 재생시켜야 한다. 이 리프레시(refresh)를 위한 제어회로가 컴퓨터 시스템에 탑재되어야 한다. 디램은 우리나라 반도체 산업의 주류를 이루고 있는 것으로 반도체 사업 중에서 비중이 매우 큰 제품이다.
[네이버 지식백과] DRAM [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static random access memory ]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만 저장된 내용을 기억하고 있다. 플립플롭 방식의 메모리 셀을 가진 임의 접근 기억장치로서, 전원 공급이 계속되는 한 저장된 내용을 계속 기억하며, 복잡한 재생 클록(refresh clock)이 필요없기 때문에 처리속도도 빠르게 동작되는 특성으로 빠른 처리속도가 필요한 소용량의 메모리나 캐시메모리(cache memory)에 주로 사용한다. 정적 램은 동적 램보다 속도가 5배 정도 빠르며 가격도 비싼 편이다. 정적 RAM의 구조는 MOS FET 4∼6개로 된 플립플롭 메모리 셀로 구성되어 있으며, 그 동작 원리는 보통의 플립플롭과 동일하다.
[네이버 지식백과] SRAM [static random access memory]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