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양역학은 영양상태 및 영양과 관련된 다양한 질병과 건강상태의 분포를 조사하고, 식사요인이 질병발생 및 예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연구하는 학문이다. 영양역학 연구는 연구설계, 데이터 수집 및 분석, 해석 및 발표의 과정을 거치고, 이를 바탕으로 과학적 근거를 제시하는 근거중심 영양학의 기반이 되는 연구 분야이다. 영양역학 연구의 최종 목표는 근거 기반의 자료를 영양정책 결정과, 지역사회 질병의 예방과 관리에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것이다.
Nutritional epidemiology is the study of how diet affects health and disease in human populations, or the science of public health nutrition. The general approach to these studies consists of assessing dietary intake in groups of people and then examining disease rates.
Nutritional epidemiology examines the role of nutrition in the etiology of disease, monitors the nutritional status of populations, develops and evaluates interventions to achieve and maintain healthful eating patterns among populations, and examines the relationship and synergy between nutrition and physical activity in health and disease.
The Nutritional epidemiology specialization provides rigorous training in the biological aspects of nutrition, epidemiology, biostatistics, and select related disciplines.
Nutritional epidemiology research has made major contributions to general dietary recommendations as well as legislative and policy matters related to diet and health.
17546 경기도 안성시 대덕면 서동대로 4726
중앙대학교 생명공학관 905동
Lab: 9227호 영양역학연구실
Office: 9228호 신상아 교수 연구실
905-9228, 4726 Seodong-dearo, Anseong-si, Gyeonggi-do 17546,
Republic of Korea, Chung-Ang University
T. 82+31-670-325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