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 교수님, 경기도 젊은 과학자상 수상

젊은 과학기술인상을 수상한 아주대 이상운 교수는 도내 반도체 기업들과의 연구 협력을 통해 지역경제와 반도체 산업의 활성화에 큰 역할을 한 점이 인정됐습니다.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BRL) 과제 선정(2020. 06. 29)

본 연구실은 포항공대 연구팀과 함께 '구형 오비탈 산화물 반도체 다차원 결함 제어 기초 연구실(책임 : 손준우 교수님) 이라는 주제로 한국연구재단 기초연구실에 선정되었습니다. 앞으로 포항공대 연구팀과 산화물 반도체 관련 집단 연구를 수행할 예정입니다.

삼성미래기술육성사업 과제 선정

삼성전자가 지원하는 '2019년도 미래기술육성사업 지정테마 지원과제'에 선정이 되어, 2019년 9월 1일 부터 2022년 8월 31까지 '비 단결정 이종접합 기반 저차원 전자 기체 소자 구현 및 응용'주제로 연구를 시작했습니다.

▲혁신적인(Disruptive) 반도체 소재 및 소자∙공정 기술 ▲차세대 디스플레이 ▲ 컨슈머(Consumer) 로봇, ▲ 진단 및 헬스케어 솔루션 등 4개 분야이다. 삼성전자는 혁신적인(Disruptive) 반도체 소재 및 소자∙공정 기술 분야에서 6개 과제, 차세대 디스플레이 분야에서 5개 과제, 컨슈머(Consumer) 로봇 분야에서 2개 과제, 진단 및 헬스케어 솔루션 분야에서 2개 과제를 선정했다.

혁신적인(Disruptive) 반도체 소재 및 소자∙공정 기술 분야에서 선정됐다.

9월부터 '비(非) 단결정 이종접합 기반 저차원 전자 기체 소자 구현 및 응용'을 위해 반도체 소재·공정·소자 관련 혁신 기술을 개발하는 연구를 수행할 예정이다. 이 연구를 위해 한양대학교, 기초과학연구원, 홍익대학교 연구그룹과 함께 3년간 총 15억원의 연구비를 지원받는다.

"이번 연구가 국내 반도체 분야 신기술 개발 뿐만 아니라 반도체 분야 신진 인력 양성에도 기여할 것"입니다.


2018 연구우수교수 선정

우리학교에서는 학교의 연구경쟁력을 높이는데 기여한 교수들을 격려하고자 '2018 연구우수 교수 시상'을 하였습니다. '연구우수교수 시상'은 기존의 아주연구상과 아주우수논문상을 통합해 시상하였고 논문의 질적기준 강화에 맞춰 인용(Citation)기준을 신설하였는데 우리 교수님이 Citation 부분 우수논문상을 수상하였습니다.

2019년 Inside Front Cover 게재

우리 연구팀이 박막형 기능성 산화물 이종 접합을 통해 투명하면서도 유연한 고성능 수소 센서를 개발했다. 이는 수소 에너지 시대에 주목 받을 수 있는 기술로 센서 산업의 발전에 기여할 수 있을 전망이다. 우리 연구팀은 원자층 증착 공정(Atomic Layer Deposition)을 이용하여 2D electron gas(2DEG)의 원리를 이용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