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체역학 및 열전달에 있어서 비선형 문제의 유한요소 수식화를 간단하게 다루고 이를 바탕으로 다음의 3가지 주제를 집중적으로 다룬다.
i) 탄소성과 점소성 대변형(Finite strain deformation)의 Finite element implementation.
ii) 작은 변형률과 큰 회전을 수반하는 탄성변형 및 일반적인 고체 및 구조의 안정성 문제에 대한 유한요소해법.
iii) Contact-Impact를 포함한 Contact 문제의 유한요소해법.
(ME631 해석고체역학과 ME531 전산응력해석의 기본지식이 반드시 필요하다.)
Molecular Dynamics and Nanomechanics / 분자동역학과 나노역학 [MAE781]
본 과목에서는 나노 스케일시스템의 원자수준 시뮬레이션의 중요한 도구인 분자동역학 모사를 깊이 있게 다루고 나노 시스템의 역학적 문제에의 응용을 살펴본다. 기계공학 전공자에게 알맞은 수준의 통계역학의 소개로 시작해서 microcanonical 앙상블을 다루고, 정온 혹은 정압 앙상블을 다루기 위한 비해밀토니안 동역학을 다룬다. 원자 혹은 분자 수준에서 다양한 역학적 시스템을 규명하고 또한 재료 및 시스템의 물성을 계산 하는 유용한 도구로서 분자동역학 모사를 강조한다. 나아가서 자유에너지 계산, 비평형 분자동역학, Ab Initio 분자동역학, Coarse-graining 기법과 시간 스케일 문제 즉 희귀현상 문제를 다룬다. 끝으로 이러한 접근방법이 나노 시스템의 역학적 거동 규명에 어떻게 응용될 수 있는지 다양한 예를 든다.
Special Topics in Mechanical Engineering-Recent Advances in Plasticity [MAE800]
Special Topics in Mechanical Engineering-Molecular Dynamics [MAE800]
Special Topics in Mechanical Engineering-Introduction to Computational Nanomechanics [MAE8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