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한국연구재단 글로벌인문사회융합연구지원사업 과제("감정 표현 및 조절 과정의 문화 보편성과 특수성을 반영한 자연어처리 기반 감정 프로파일링 시스템 개발")가 최종 선정되었습니다!
이동훈. (2024). 어떤 언어가 한국의 사회갈등을 부추기는가? 사회범주 및 고정관념 의사소통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40(3), 613-634.
엄상현, 정선호, 이동훈. (2024). 상해 의도성과 사건 기술 방식에 따른 사건해석의 차이: 능동문과 피동문의 조절된 매개효과. 담화와인지, 31(3), 1-29.
김해진, 이동훈, 임승락, 김민호. (2024). 한국어 체성감각 비유 표현에 대한 사전학습 언어모델의 이해 능력 분석. 한국정보통신학회, 28(7), 787-794.
김나현, 이동훈. (2024). 얼굴표정 정서판단에서 나타나는 정서명칭 이득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6(1), 25-37.
양현보, 김나현, 홍다영, 윤홍옥, 이동훈. (2023). 기본정서 얼굴표정에 대한 한국인의 정서지각 특성: 자유명명과제와 확장 다지선다과제의 수렴적 결과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5(4), 263-302.
김해진, 권소영, 정선호, 이동훈. (2023). 한국인의 문화적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세대에 의해 조절된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 연속매개과정 모형.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9(2), 171-197.
권소영, 노치현, 김해진, 이동훈, 조승빈. (2023). 한국판 감정표현불능증 척도(TAS-20K)를 이용한 청년과 중장년 세대 간 감정표현불능 수준의 비교.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8(3), 601-622.
양현보, 이정수, 이동훈. (2022). 얼굴표정 정서판단에 미치는 정서단어와 정서적 얼굴의 차별적 맥락조절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4(2), 135-148.
권소영, 윤홍옥, 이동훈. (2022). 정서명칭단어와 정서내포단어의 어휘정보처리 차이.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4(2), 33-47.
Lee, J., Lim, S-L., & Lee, D. (2022). Sharing Joy Increases Joy: Group Membership Modulates Emotional Perception of Facial Expressions. Emotion, 22(1), 153–166.
김해진, 이동훈. (2021). 한국인의 세대별 문화성향 차이와 대인간 의사소통능력의 특성. 사회과학연구, 60(3). 455-480.
양현보, 김비아, 이동훈. (2020). 혼합정서 얼굴표정의 범주적 지각에 미치는 정서명칭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2(2), 235-248.
정은희, 이동훈, 김비아. (2020). 감정표현불능증이 인지통제력에 미치는 영향. 사회과학연구, 31(4), 273-293.
권소영, 곽자랑, 김비아, 이동훈. (2019). 한국 대학생의 자기관과 감정표현불능증의 관계: 상호독립적 자기관 결핍에 따른 정서표현양가성 및 정서억제의 매개 효과. 한국심리학회지: 문화 및 사회문제, 25(2), 101-118.
이정수, 양현보, 이동훈. (2019). 얼굴정서 판단에 미치는 감정단어의 맥락조절효과. 감성과학, 22(2), 37-48.
곽자랑, 권소영, 이동훈. (2019). 가정, 학교, 직장 상황에서 청자의 지위와 유대감에 따른 경어법 형식 사용의 차이: 일반화선형혼합모형을 사용한 담화완성과제 응답 분석. 사회언어학, 27(3), 35-61.
곽자랑, 권소영, 김해진, 이동훈. (2018). 요청 부담에 따른 공손표현의 화용적 효과: 화자의 호감도 및 요청 수락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 언어과학연구, 87, 1-28.
양현보, 이동훈. (2018). 정서 명칭이 얼굴표정 정서범주판단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30(2), 203-210.
Goller, F., Lee, D., Ansorge, U., & Choi, S. (2017). Effects of Language Background on Gaze Behavior: A Crosslinguistic Comparison Between Korean and German Speakers. Advances in Cognitive Psychology, 13(4), 267-280.
Lee, D., Shin, H. J., Weldon, R. B., & Sohn, M. H. (2016). Cross-cultural differences in consistent mapping effects of targets and distractors. Journal of Cross-Cultural Psychology, 47(4), 525-539.
나영현, 정명영, 곽자랑, 이동훈. (2016). 지각된 행위동사와 현재 행위의 의미 일치성에 따른 행위 수행 변화의 신경생리학적 기전 탐색. 인지과학, 27(4), 573-597.
김세원, 신현정, 김비아, 이동훈. (2016). 집단 얼굴표정에 대한 정서판단의 반응특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8(3), 389-407.
이동훈, 김신정, 정명영. (2014). 사전제시 자극의 지각적 정보가 목표자극 탐색에 미치는 영향: 안구추적연구. 인지과학, 25(3), 211-232.
현이원, 손명호, 신현정, 이동훈. (2014). 개인주의-집단주의 사고가 주변시 정보처리에 미치는 효과: 시각자극 변화탐지과제를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6(2), 41-66.
Lee, D., Pruce, B., & Newman, S. D. (2014). The neural bases of argument structure processing revealed by primed lexical decision. Cortex, 57, 198-211.
이동훈, 신천우, 신현정. (2012). 사회적 행위 지각에 있어 해석 효과: 관점에 따른 운동공명효과의 조절. 인지과학, 23(1), 109-132.
리창림, 정명영, 이동훈. (2011). 반응행위에 미치는 언어자극의 간섭효과: 사건관련전위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인지 및 생물, 23(3), 393-409.
허명진, 이동훈. (2011). 청각장애 대학생과 건청 대학생의 범주적 언어처리 정보 분석. 언어치료연구, 20(3), 205-221.
Lee, D., & Newman, S. D. (2010). The effect of presentation paradigm on syntactic processing: An event‐related fMRI study. Human Brain Mapping, 31(1), 65-79.
Newman, S. D., Lee, D., & Ratliff, K. L. (2009). Off‐line sentence processing: What is involved in answering a comprehension probe?. Human brain mapping, 30(8), 2499-2511.
Newman, S. D., Greco, J. A., & Lee, D. (2009). An fMRI study of the Tower of London: a look at problem structure differences. Brain research, 1286, 123-132.
Meyler, A., Keller, T. A., Cherkassky, V. L., Lee, D., Hoeft, F., Whitfield-Gabrieli, S., ... & Just, M. A. (2007). Brain activation during sentence comprehension among good and poor readers. Cerebral Cortex, 17(12), 2780-278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