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시 Exhibition

image_folded_figure
유화수+이지양, <접혀진 형상>, archival pigment print,
106x80cm*1, 61x46cm*2, 2020.

접혀진 형상 Folded Figure

장애를 결여가 아닌 다름으로 인정하자는 문장은 옳지만 실천하기 어렵다. 사회구조와 통념 속에서 작동하는 장애에 대한 편견은 정상적인 몸에 대한 인식만큼이나 확고하다.

신체적 불편함이란 어떤 기준으로부터의 결여일까. 불편하다는 것은 단지 좀 더 많은 인내심과 행위 기술이 필요하다는 것에 지나지 않으며 이는 개인의 상황과 감각에 따라 가변적이고 불확실하다.

<접혀진 형상> 시리즈는 이미지를 접했을 때 자동 발생하는 학습된 불편함과 정상적인 몸에 대한 고정적 관념이 어디서부터 출발하는지 묻는다. 있는 그대로를 보지 못하게 방해하는 이 해묵은 감정들의 출처를 웅크린 뒷모습과 어딘가가 가려진 몸의 형태들 속에서 찾아보고자 한다.  


Disability should indeed be perceived as a difference rather than a deficiency, but not so easy to put into action. The bias regarding disability that works in our social structure and conventions is very firm as much as the awareness of the so-called normal body. What are the criteria of lack that distinguishes physical discomfort?

Being uncomfortable just requires more patience and skills of behavior, this is variable and uncertain depending on the individual's situation and sense.

The series Folded Figure questions where the learned discomfort that automatically occurs when an image is encountered and the stereotype of a normal body comes from. The crouching back and partially (un)revealed figures would be considered the source of the age-old emotion that distracts from appreciating the images as they are.

[접근성 안내] 네 점의 사진

[Accessibility Guide] four photography

image_Klumpig
김예솔, <클룸픽>, 푸드트레이 The food tray, 56 x 54 x 94cm,
물푸레나무(Swedish Pine), 플라스틱(plastic wheels), 2023.

클룸픽 Klumpig

클룸픽은 바퀴가 달려있는 트레이 형태로 음식이나 소품을 올려 놓아도 안정적이며 이를 이동하는 것이 자연스럽고 편안한 디자인입니다. 휠체어를 타는 사용자와 걸을 수 있는 사용자를 고려한 인클루시브 디자인입니다.

It is easy to handle the tray with one hand and stable to use for carrying food and drinks. The design includes wheelchair users and walkable bodies. 

[접근성 안내] 직접 만지며 경험 가능

[Accessibility Guide] free to touch and use

image_serpent
최장원, 〈(구렁이)〉, 1채널 영상, 6분 6초, 2023.

(구렁이) (Serpent)

작가는 작품에서 ‘구렁이’라는 등장인물을 통해 작가 본인이 겪었던 에피소드를 설명한다. 뱀의 이미지가 천천히 보여지는 슬라이드쇼 형식의 영상에서, 구렁이는 자신의 껍질(허물)로 다른 이들의 소원을 들어주고자 길을 떠난다. 그 여정에서 구렁이는 광장관리인을 만나고 작가가 소모재처럼 사용되고, 작가의 작품세계가 편의에 따라 편집되는 환경을 만난다.

The artist uses the character ‘Serpent’ in his work to explain an episode that the artist himself experienced in the art field. In the slide-show-style video, the image of the snake is slowly shown and it snake goes off to grant other people's wishes with its shell(dead skin). On the journey, the snake meets the square manager. The artist is used like a consumable material, and his world of work is edited for convenience.

[접근성 안내] 영상과 소리로 구성, 한글자막

[Accessibility Guide] video and sound, korean subtitle

image_ider+re
최장원, 〈ider+기〉, 1채널 영상, 27분 43초, 2021.

ider+기 ider+re

작가는 2021년도에 세 번째 개인전 ‘HIV 감염 7주년 축하 RSVP’를 진행했다. 해당 영상작품은 전시작인 〈ider〉와 전시기간 중 진행한 ‘축하파티’를 기록한 작품이다. 〈ider〉는 작가의 혈연, 지연, 학연, 가까운 사람, 모르는 사람에게 전달받은 음성 축하메세지들이다. 영상에서는 전시장 전경이 담긴 사진들과 사람들의 축하메세지가 나온다. 연이어 DJ와 드랙퀸의 공연, 작가를 향한 축하의 박수갈채와 응원의 목소리들이 들려온다. 작가는 전시에 방문한 어린아이를 안아주고, 관객과 카메라를 향해 인사한다.

In 2021, the artist held his third solo exhibition ‘RSVP to celebrate the 7th anniversary of HIV infection’. The video work is a record of 〈ider〉 and a ‘celebration party’ held during the exhibition. 〈ider〉 is the voice messages received from the author's family, friends, acquaintance, and strangers to congratulate him. In the video, there are photos of the exhibition and from people. After then, performance of DJ and drag queens, and congratulatory voices and applause continue. The artist hugs the child who visited the exhibition and greets the audience and the camera.

[접근성 안내] 영상과 소리로 구성, 자막 없음

[Accessibility Guide] video and sound, no subtitles

image_AI_Language_Learning_with_Auditory_Impairment
김은설, <청각장애 AI 학습>, 싱글 채널 영상, 5분 32초, 2022.

청각장애 AI 학습 AI Language Learning with Auditory Impairment

인공지능은 데이터셋(dataset)이 있어야 학습된다. 학습할 데이터양에 따라 그 인식률이 높거나 낮아진다. 많은 데이터를 가지고 있어도 인공지능의 판단에 따라 데이터를 조합해서 다르거나 애매하게 받아들이기도 한다. 인공지능이 언어를 학습하는 과정이 청각장애가 있는 작가가 사람들과 소통하기 위해 언어를 배운 과정과 흡사하다. 작가는 사람을 만나면 그 입모양과 언어습관을 보고 그의 말을 이해한다. 그리고 각 사람의 입모양과 언어습관을 하나하나 캡처하듯이 데이터로 쌓는다. 처음 만나는 사람의 말을 볼 때 그는 어렸을 때 학습했던 기초적 언어를 기반으로 추측해보지만, 인식과 소통은 쉽지 않다. 사람을 오래 만날수록 데이터가 쌓여 소통을 조금이나마 할 수 있다. 하지만 아무리 데이터가 많아도 그녀는 여전히 말을 잘 알아볼 수는 없다. 이러한 그의 경험은 인공지능 학습법과 닮았다. ‘오랫동안 보청기를 사용하고, 끊임없이 언어를 학습하면서 살아가는 나는 인공지능인가? 또는 인공지능이 나인가?’라고 그는 생각했다. 이 작업은 인공지능과 작가의 언어 학습의 유사점과 차이점을 보여주고자 한다.


Artificial intelligence requires a dataset to learn. Its recognition accuracy varies depending on the amount of data available for training. Even with a large dataset, artificial intelligence may combine and interpret the data differently or ambiguously based on its judgment. The proc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learning language is similar to the journey of a Deaf woman with the goal of learning language to communicate with others.

She meets people and understands their speech by observing their lip movements and language habits. She accumulates data by capturing the lip movements and language habits of each person she encounters. When meeting someone for the first time, she makes educated guesses based on the foundational language she learned as a child, but communication is challenging due to difficulties in recognition. Over time, as she accumulates more data through interactions, she can communicate to some extent. However, no matter how much data is collected, she still cannot fully understand every spoken word. Her experience is similar to the learning process of artificial intelligence. She has thought, 'Am I becoming artificial intelligence by using a hearing aid for a long time and constantly learning language, or is artificial intelligence becoming me?' Through this work, she aims to demonstrat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artificial intelligence and her own language learning journey.

[접근성 안내] 영상과 소리로 구성, 한글자막

[Accessibility Guide] video and sound, korean subtitle

image_Seeing_Language_Unseen
김은설, <보고 있지만 보이지 않는 언어>, 3채널 영상, 21분 15초, 2021.

보고 있지만 보이지 않는 언어 Seeing Language Unseen

농인과 청각장애인은 의사소통을 할 때 말하는 사람의 눈, 입모양, 얼굴 표정, 수어, 문자통역 등 여러 시각정보를 사용한다. 이 모든 시각정보를 통해 대화를 이해하는 과정에는 정확성과 속도가 필요하다. 시각정보 사이의 타이밍이 맞아야 하고 각각의 내용이 어긋나지 않아야 대화 구성원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모든 시각적 정보들이 교차하는 가운데 때때로 ‘충돌’이 발생하고, 이 작업은 바로 이 지점을 보여준다. 전시장에 놓인 3개의 영상 화면에는 농인 세 명의 모습이 있다. 그들은 각자의 목소리를 내어 무엇인가를 말한다. 관람객들은 농인들의 말소리를 들으면서, 동시에 그들의 눈, 입모양, 얼굴 표정, 수어를 볼 수 있다. 발화자들의 말소리와 몸짓을 보면서 각 부분의 청각과 시각 정보가 교차된다. 언어와 비언어를 함께 듣고, 보고, 느끼며 관람객은 이 모든 것을 받아들이는 과정에서 충돌을 경험한다. 이때, 보고 있지만 보이지 않은 언어를 받아들여야 하는 경험이 시작된다.


When Deaf and hard of hearing individuals communicate, they rely on various visual cues such as the speaker's gaze, lip movements, facial expressions, sign language, and written interpretation. The process of comprehending conversations through all these visual cues demands precision and speed. The timing among the visual cues must align, and the content of each cue must harmonize to allow the participants to become part of the conversation. As all these visual cues intersect in real-time, points of 'collision' occur, and this work aims to showcase these moments.

In the exhibition space, three video screens depict the appearances of three Deaf individuals. Each of them is using their voices to convey a message. As viewers listen to the Deaf individuals' spoken words, they can simultaneously see their eyes, lip movements, facial expressions, and sign language. As viewers observe the vocalizers' spoken words and gestures, each fragment of auditory and visual information intertwines. Listening, watching, and experiencing both language and nonverbal cues, the audience undergoes a collision in the process of receiving all this information. It is at this point that the experience of perceiving an 'unseen language' commences.

[접근성 안내] 영상과 소리로 구성, 자막 없음

[Accessibility Guide] video and sound, no subtitl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