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Semiconductor/Display Materials Team at KRICT develops advanced thin-film materials and deposition processes—including novel organometallic precursors, organic inhibitors, quantum dots, and perovskite emitters—using ALD, CVD, and AS-ALD techniques to drive innovation in semiconductors and displays, bridging molecular design and device-level integration through close industry collaboration and multidisciplinary expertise.
🔬 세부연구분야
🧪 반도체/디스플레이 ALD 공정을 위한 전구체 합성
💡 Extreme Ultraviolet (EUV)용 무기 포토레지스트 합성
✨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입자 및 양자점 합성
🧬 반도체 Area-Selective ALD용 SMI 유기소재 합성
⚙️ 반도체/디스플레이 증착 공정 개발 및 소자 제작
#한국화학연구원 박막재료연구센터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연구팀
[ 화합물 개발에서 박막 공정 평가까지 원스톱 연구 ]
반도체/디스플레이 소재 연구팀은 화학연구원 박막재료연구센터 소속 연구팀으로 박막재료 ALD, CVD 공정, 전구체 합성 등 다양한 주제를 연구하고 있습니다.
#유기금속 화합물 #전구체 #인히비터 #SMI #ALD #CVD #AS-ALD #페로브스카이트 나노입자 #양자점 #무기 포토레지스트
대전·세종지방중소벤처기업청(청장 성녹영)이 지난 29일 대전팁스타운 1층 팁스홀에서 ‘2023년 지역 주력산업 기술이전 설명회’를 개최했다. 반도체/디스플레이용 전구체 합성 및 박막 증착 기술에 한국화학연구원 박보근 박사가 소개됐다.
(원문: https://www.hellodd.com/news/articleViewAmp.html?idxno=102656)
일본 정부가 지난해 7월 1일 한국에 대한 일부 화학물질 수출에 제약을 걸어오면서 무역 분쟁이 일어난 바 있다. 일본의 규제 조치로 소재의 중요성이 급부상했다. 당시 정택모 박사는 화학소재연구본부장으로 일하고 있었고, 한국화학연구원 내 대응팀을 이끌었다.
(원문: https://weekly.chosun.com/news/articleView.html?idxno=16582)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은 인공뇌융합연구단 곽준영 박사 연구팀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 강기범 교수팀 및 한국화학연구원 정택모 박사팀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새로운 원소 구성비의 2차원 절연체 신물질 합성 기술과 이러한 신소재를 활용한 고성능 및 저전력 인공 시냅스 반도체 소자를 개발했다.
(원문: http://www.worktoday.co.kr/news/articleView.html?idxno=29180)
한국화학연구원 정택모 박사팀이 반도체 제조공정용 전구체 분야에서 획기적인 성과물을 도출하고 있기 때문이다. 정 박사팀은 이미 반도체 소자용 니켈 원료 화합물을 분자 수준에서 합성, 휘발성과 안정성이 뛰어난 니켈 화합물 전구체와 높은 증기압과 보존 안정성이 뛰어난 구리 화합물 전구체 등의 개발에 성공했다.
(원문: https://n.news.naver.com/mnews/article/011/0002216279?sid=105)
대학원생, 석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 모집
Semiconductor/Display Materials Team은 세계적인 경쟁력을 갖춘, 반도체 및 디스플레이용 소재 전문 연구 집단으로 최근 5년간 SCI급 국제 학술지 논문 80여 편, 특허 출원 56건, 등록 35건의 주요 연구 성과를 보유하고 있습니다. 특히, 유기금속 전구체 합성 분야는 국내 학계에서 유일한 곳입니다.
서울대, 연세대, 한양대 등 국내 유수 대학뿐만 아니라 삼성SDI, 한솔케미칼, 메카로, 디엔에프 등 주요 산업체와의 산학연 협력을 통해 소재 개발 및 소자 평가 공동연구를 활발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지난 10년간 유기금속소재 합성 개발과 박막 공정 분야의 전문 인력 50여 명을 배출하였으며, 삼성전자, SK키파운드리, 나노종합기술연구원, 동진쎄미캠 등 다양한 산업/학계에서 활동 중입니다.
대학원생 (석사/박사/석박통합), 석사후연구원, 박사후연구원을 상시 모집하고 있으니, 열정 있는 연구자의 많은 지원을 기다립니다.
한국화학연구원(출연연구기관) 소속 연구실에서 국내 요 대학의 대학원 학위를 받을 수 있는 제도가 있습니다. 바로 "학연 협동 과정”입니다.
학연 협동 과정은 연세대, 고려대, 한양대, 성균관대를 비롯한 총 23곳의 국내 주요 대학의 대학원 과정에 입학한 후, 출연연구기관에서 실험과 연구를 진행하면서 학위를 취득하는 제도입니다.
학교에 소속된 정규 대학원생 신분 및 대학 강의 수강
화학연구원 내 최신 장비 및 실험실 활용한 연구 수행
과제 참여 시 연구참여수당 지급 가능
#화학연구원 정택모 #화학연구원 박보근 #화학연구원 류지연 #화학연구원 김영권 #화학연구원 이정훈 #화학연구원 이선주 #화학연구원 #박막재료연구센터 #반도체 #디스플레이 #페로브스카이트 #ALD #화학연구원 반도체
Building N1, 141, Gajeong-ro, Yuseong-gu, Daejeon, Republic of Korea (Tel) +82-42-860-7929 (E-mail) ykkim@krict.re.kr
Copyright © 2025 by The Semiconductor/Display Materials Team@KRICT.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