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ugust 15, 2025.
광복절에
광복절이 되면 나는 마음이 아프다.
어느 누구도 예측 못했던 2차 대전에서 일제의 패망, 그렇게 갑자기 찾아온 1945년 8월 15일의 한국 해방을 경축해야 하는가, 아니면 그 이후 바로 닥친 미-소 군정 3년을 거쳐 자유 민주주의 국가로 탄생한 1948년 8월 15일 대한민국의 건국을 우리가 경축해야 하는가?
모든 언론들이 올해가 광복 80주년이라 한다. 그 의미는1945년의 일을 기념하는 것이다.
그러나 대한민국의 역사에서 광복절은 그렇게 시작되지 않았다. 1949년 8월 15일 정부는 “대한민국 독립 1주년 기념식”을 거행했고, 그해 10월 “국경일에 관한 법률”을 제정하면서 독립기념일을 “광복절”로 정했다. 6.25 전쟁 중이던 1950년 8월 15일 대구에서 “제2회 광복절” 기념식이 개최됐고, 1951년 8월 부산에서 “제3회 광복절” 기념식이 열렸다. 이 계산을 계속하면 2025년은 77회 광복절이 된다. 그러나 이 사실은 1954년 즈음부터 광복 기년을 1945년으로 보도하며 일제로부터의 해방을 광복으로 기념하는 것이 언론의 관행으로 고착화되었다고 한다. (참고: 이 주영 엮음, 대한민국은 왜 건국을 기념하지 않는가. 2011. 뉴 데일리.)
그럼 1948년의 일은 왜 기리지 않는가? 여기에는 건국의 역사적 의의를 상식적으로 평가하기 보다는 정치세력의 진영 논리가 결탁되어 좌파는 1948년 이승만 정부가 세운 대한민국을 인정하지 않고1919년에 수립한 임시정부를 대한민국의 건국 주체로 보기 때문이다. 지난 30년 이상 정권을 장악한 이들에 의해 1948년의 일은 경축되지 못하고 있다.
올해도 광복 “80주년”을 기념하고, 그 광복이 선조들의 일제 항쟁 투쟁의 결과로 우리가 “성취한 것”이라는 국가 지도자, 단체들의 메시지를 접하며 “역사의 재발명”을 목격한다. 그래서 마음이 아프다. 올해는 더 그렇다.
On a “Reinvented” Gwangbokjeol (South Korea’s National Holiday on August 15)
When August 15 arrives, I feel a deep heaviness.
Should we celebrate Korea’s liberation on August 15, 1945, abruptly brought about by Japan’s unexpected defeat in World War II, or should we commemorate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on August 15, 1948, when a free democratic nation was born? The latter date was intentionally set to coincide with the former.
This year, all the media proclaim the “80th anniversary of Gwangbokjeol,” meaning they are marking the event of 1945.
Yet, in history, Gwangbokjeol did not begin that way. On August 15, 1949, the government held the “First Anniversary Ceremony of the Independence of the Republic of Korea.” That October, it enacted the “Law on National Holidays,” designating Independence Day as Gwangbokjeol (“Restoration of Light Day”). The second ceremony took place in Daegu on August 15, 1950, and the third in Busan on August 15, 1951, both during the Korean War, held in the southern region where the government had taken refuge. By this original count, 2025 would mark the 77th Gwangbokjeol. So how did it become the 80th?
Economic historian Lee Younghun’s research shows that from around 1954, the media increasingly began counting from 1945, cementing the practice of commemorating Gwangbokjeol as the anniversary of liberation from Japanese rule. (See this publication: Yang, Tong-an. 2011. Taehan Min’guk ŭn wae kŏn’guk ŭl kinyŏm haji annŭn’ga. Yi Chu-yŏng yŏkkŭm. Edited by Chu-yŏng Yi. Ch’op’an. Sŏul-si: Nyu Teilli.)
Why, then, has the founding of the Republic of Korea in 1948 not been celebrated? In principle, the historical significance and achievements of the ROK should be recognized. In reality, the matter has become highly politicized. The political left does not acknowledge the state founded by the Syngman Rhee government in 1948, instead tracing legitimacy to the Provisional Government established in 1919. Their dominance since the 1990s has effectively prevented official celebration of the 1948 founding.
Hearing statements from today’s leaders and organizations commemorating the “80th anniversary” of Gwangbok, and framing liberation as an “achievement” secured solely through our ancestors’ anti-Japanese struggle, I witness a “reinvention of history.”
And I am left deeply disheartened, more so in this year...
#광복절 #해방과건국 #한국현대사 #역사재발명 #foundingofrepublicofkorea #Gwangbokjeol #KoreanIndependence #ReinventingH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