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연구는 농인의 언어적 경험, 특히 수어의 구조와 상호작용 방식에 주목합니다.
이를 바탕으로 농인의 삶을 더 깊이 이해하고 설명할 수 있는 언어적 모델과 이론을 제시하고자 합니다.
등재된 출판물 (최근 연구와 피인용 현황은 Google에서 확인 가능- 링크 )
변강석. (2025). 구어 중심 의사소통 상황에서 농인의 시청자화에 관한 자문화기술지. 커뮤니케이션학 연구, 33(3), 89-121. 자료링크
Sagara, K., Byun, K. S., Chen, Y. Y., & Palfreyman, N. (2025). Grammaticalisation and contact-induced semantic change in JSL, SKSL and TSL (일본수어, 한국수어, 대만수어에서의 문법화와 접촉에 의한 의미 변화). Sign Language Studies, 26(1)
Byun, K. S. (2023). Establishing intersubjectivity in cross-signing (교차사인하기에서의 상호주관성 확립). [박사논문, Radboud University Nijmegen]. 자료링크
Byun, K. S., Roberts, S. G., De Vos, C., Zeshan, U., & Levinson, S. C. (2022). Distinguishing selection pressures in an evolving communication system: Evidence from color-naming in “cross signing” (진화하는 의사소통 체계에서 선택 압력 구분하기: '교차사인하기' 색상 명명 연구 사례). Frontiers in Communication, 7, 1024340. 자료링크
Nam, K. H., Byun, K. S. (2022). Classifiers and Gender in Korean Sign Language (한국수어에서의 분류사와 성별 표현). East Asian Sign Linguistics, 10, 71. 자료링크
Hong, S. E., Won, S. O., Lee, H., Byun, K. S., & Lee, E. Y. (2022). The Korean Sign Language (KSL) corpus and its first application on a study about mouth actions (한국수어 말뭉치와 마우스 액션 연구의 초기 적용). East Asian Sign Linguistics, 10, 171. 자료링크
백해연, 이보경, 변강석 (2022). 한국수어의 비유창성 연구: 담화 코퍼스를 이용한 유형분류를 중심으로. 언어, 47(3), 551-578. 자료링크
Huerta-Enochian, M., Lee, D. H., Myung, H. J., Byun, K. S., & Lee, J. W. (2022). Kosign sign language translation project: Introducing the niasl2021 dataset (한국수어 번역 프로젝트: niasl2021 데이터셋 소개). Proceedings of the 7th International Workshop on Sign Language Translation, 8. 자료링크
Byun, K. S., De Vos, C., Zeshan, U., & Levinson, S. (2020). Repair in cross-signing: Trouble sources, repair strategies and communicative success (교차사인하기에서의 수정: 문제 발생 원인, 수정 전략, 의사소통 성공). Sign Multilingualism, 13, 23-80. 자료링크
Webster, J. M. B., Byun, K. S., Panda, S., & Bradford, A. (2020). Methodological innovations in sign multilingualism research (수어 다언어주의 연구에서의 방법론 혁신). De Gruyter Mouton, 1. 자료링크
Byun, K. S. (2020). Community profile of an international group of sign language users: Linguistic and social aspects (수어 사용자 국제 집단의 공동체 프로필: 언어적·사회적 측면). Sign Multilingualism, 7.
송미연, 홍성은, 강창욱, 원성옥, 변강석, 이현화 (2020). 한국수어의 생산적 수어 어휘에서 나타난 도상성-이미지 형성 기법을 중심으로. 한국청각언어장애교육연구, 11(1), 109-139. 자료링크
Byun, K. S., De Vos, C., Bradford, A., Zeshan, U., & Levinson, S. C. (2018). First encounters: Repair sequences in cross‐signing (첫 만남: 교차사인하기에서의 수정 연속체). Topics in Cognitive Science, 10(2), 314-334. 자료링크
강미영, 이현화, 원성옥, 홍성은, 이봉원, 윤병천, 변강석 (2016). 한국수어 말뭉치 구축 모형 연구. 건지인문학, 16, 5-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