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과정 강의
중급 및 고급 한국수어 실제: 한국수어의 담화적 사용 능력을 심화하는 실습 중심 강의로, 일상적·전문적 상황에서 수어를 유창하게 구사할 수 있도록 다양한 담화 유형, 표현 전략, 정서적 표현을 연습함.
한국수어 어휘론: 한국수어 어휘의 체계적 분류, 어휘 의미망, 관용 표현 등을 학습하게 하여, 수어 사용자로서 어휘 선택과 활용 능력을 강화함. 특히 분류사, 수형, 동작 의미 등을 어휘론적 관점에서 다룸.
한국수어 문법교육론: 예비 수어교원을 위한 문법 교수법 강의. 공간 문법, 수지표현, 분류사 구조, 비수지표현 등 수어 문법적 특성을 교수 내용으로 삼고, 실제 수업 설계 및 시연을 포함함.
한국수어 회화: 한국수어를 활용한 실시간 상호작용 능력을 기르는 과목으로, 말차례 갖기, 시선처리, 수어 속도 조절, 감정 표현 등을 중심으로 실제 회화 능력 향상을 목표로 함.
석·박사과정 강의
한국수어 회화: 고급 수준의 한국수어 담화 구성을 다루는 실습 강의로, 대화의 흐름, 장르별 표현 방식, 청자 반응 유도 등 상호작용적 요소를 심화 학습함.
고급 한국수어 실제: 담화, 설명·설득·논증적 표현 등 전문적 수어 사용 역량을 키우는 강의. 주제 중심의 수어 발표, 토론, 즉흥 표현 등을 통해 표현의 유창성과 정확성을 함께 강조함.
농사회의 이해: 농인의 역사, 문화, 언어, 사회구조 등을 비판적으로 탐구하는 이론 중심 강의. 정체성, 언어권, 청능주의, 문화적 억압 등의 주제를 다루며, 농인의 관점에서 농사회를 재해석함.
수어 대화분석: 수어 및 다양한 수어 담화 데이터를 활용하여 상호작용의 구조를 분석함. 말차례, 수정, 정지, 되물음 등의 전략을 미시적으로 다루며, ELAN을 활용한 코딩 실습 포함.
수어 동시성: 수어의 다중채널 표현을 이론적으로 탐구하는 강의. 수지·비수지의 병렬성과 비선형적 구조, 양손 사용, 공간 활용 등을 중심으로 분석함.ㅣ
수어문학 개론: 수어문학의 개념, 장르, 미학적 요소, 시각성 등을 탐구하며, 문학 텍스트로서 수어를 비평적으로 읽는 법을 배움. VV(Visual Vernacular), 수어시, 서사 구조 등의 분석과 창작 실습 포함.
수어 심층 주석: 수어 데이터를 바탕으로 다층적 주석 체계를 설계하고, 연구주제에 맞는 주석 전략을 개발하는 실습 중심 강의. 공간 정보, 비수지 요소, 동시성 표현 등을 정밀하게 라벨링하며 분석 역량을 함양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