플로리다주립 대학교 심리학과 크리스토퍼 패트릭 교수는 사이코패스 핵심 개념을 크게 비열함(meanness), 대담성(boldness), 탈 억제성(disinhibition)으로 구분하여 새로운 평가 가능성을 열었다. 이 TriPM은 앞서 허비 클렉클리가 제시한 16가지의 진단 기준에 기반을 두고 있으며 특히 사회적 유사적응력으로 볼 수 있는 대담성(달리 말하면 두려움과 불안을 잘 느끼지 않는)과 연결 짓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www.phenxtoolikit.org).
앞서 필자가 ‘성공적’ 사이코패스에서 언급한 것처럼 대담성은 기민한 사이코패스가 갖는 중요한 강점 중 하나이다. 과도하게 반사회성에 기반을 둔 PCL-R(사이코패스 체크리스트)과는 달리 TriPM은 불안의 결핍, 대범성, 위험을 감수 하는 등과 같은 사이코패스의 고유한 성향에 초점을 두고자 했다. 따라서 범죄자 집단뿐 아니라 일반인 특히 여성들에게 사용할 수 있다는 점이 특이롭다.
한국판 TriPM Link :
문의: jonghansea@yu.ac.kr
최선희 & 서종한. (2019). 한국판 삼원사이코패스 측정도구 타당화 연구. 한국범죄학, 13(2), 5-31.
이수빈, 이유경, & 서종한. (2022). 삼원 사이코패시 측정도구 (TriPM; Triarchic psychopathy Model) 의 타당화. 경찰학연구, 22(2), 125-156.
이수빈 & 서종한. (2022). 삼원 사이코패시 측정도구의 일반인 대상 타당화: ESEM을 중심으로. 보호관찰, 22(2), 107~139.
사이코패시 성격 종합평가는 2003년 사이몬프레이저 대학교 심리학과 하트 교수가 쿡, 미키 등과 함께 제작했다. 사이코패스에 경험이 많은 전 세계 임상 전문가 의견을 수렴했고 사이코패스와 관련된 특성을 일상어 수준으로 찾아내기 위해 소위 어휘학적 접근(lexical approach)을 응용 했다.
골드버그(Goldberg)가 1982년 주창한 어휘학적 접근은 일반인의 일상 언어 사용에서 사이코패스가 사용하는 단어에 기반을 두고 있어서 상대적으로 쉽게 사이코패스 개념을 이해할 수 있다. 따라서 PCL-R에 비해 전문적인 용어가 들어가지 않고 비전문가인 일반인이 쉽게 이해하고 평가할 수 있게 했다. 특히 반사회적 범죄 행동과 직접 관련된 증상은 이 모델에서 제외하여 사이코패스 증상의 변화 정도를 일정 기간마다 평가할 수 있다.
CAPP은 자기, 인지, 지배성, 행동, 정서성, 애착 등 6개 영역 분류하여 33개 증상으로 나누었다.
한국판 CAPP-IRS & CAPP-SR LINK:
문의: jonghansea@yu.ac.kr
자기보고형 사이코패시 성격 종합평가는 오타고 대학교 Martin Sellbom 교수와 베르겐 대학교 David Cook 교수가 CAPP을 기반으로 만든 자기보고형 척도이다. CAPP모델을 기반으로 총 6개의 요인으로 구성되며 각 요인 5~8개의 하위 문항을 갖고 있다. 총 99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사이코패시 성격 검사도구이다.
Sellbom과 Cooke (2020)은 CAPP 자기보고형 검사(CAPP Self Reporting Form; 이하 ‘CAPP-SR’)를 제작하였고 면담기반의 CAPP-IRS(기관평가용; Cooke & Logan, 2014; 한국판, Sea, 2018)과 더불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CAPP-SR은 총 99문항으로 구성되었고 대단위 표본의 지역사회 일반인을 중심으로 문항반응이론과 확인적요인분석 등을 통해 검사 제작이 이뤄졌다. Sellbom 등(2019)은 미국과 뉴질랜드에서 총 550명의 대학생과 일반 시민들을 대상으로 표본을 진행하여 유사 척도들 간의 수렴도를 살펴보았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삼원사이코패시평가도구(TriPM; Patrick, 2009), SRP-4(Paulhus et al., 2016), ELSRP(기존 Levenson SRP의 확장판; Christian & Sellbom, 2016), EPA-SF(Lynam et al., 2013)와 EPA-SSF(Collinson, Miller, Gaughan, et al., 2016), YPI-S(YPI의 단축형; van Baardewijk et al., 2010)을 통해 준거 타당도를 조사했다. 전체 점수와 세부 요인을 기준으로 보면 집단에 상관없이 유의미한 수준에서 높은 관련성을 보였다. 따라서 사이코패스 개념을 포함하여 다양한 측면을 수렴해내는 포괄적 모델을 개념적으로 정의해 주는 도구이다.
한국판 CAPP-SR LINK:
문의: jonghansea@yu.ac.kr
서종한. (2022). 면담기반 사이코패시 종합평가-기관평가척도 도구 타당화 연구(CAPP-IRS). 한국심리학지:사회및성격, 36(1), 47~67.
이유경 & 서종한. (2021). 자기보고식 사이코패시성격 종합평가 도구(CAPP-SR) 타당화 연구: 평정척도모형을 중심으로. 경찰학연구, 21(3),115-144.
서종한. (2021). 자기보고식 사이코패시 성격 종합평가 도구(CAPP-SR) 타당화 연구: 한국 수형자 집단을 중심으로. 한국심리학회지: 법, 12(3), 301-321.
이유경 & 서종한. (2021). 일반인 대상 자기보고식 사이코패시성격 종합평가 도구(CAPP-SR) 타당화 연구 : ESEM과 DIF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15(3), 5-35.
서종한, & 김경일 (2018). 한국형 사이코패스 원형성과 일반인의 인식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정담론, 13(3), 87-115.
Jonghan Sea, Eunha Kim, Kyungil Kim (2019). The Generalizability of the Construct of Psychopathy between UK and Kor.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 21, No. 5 (October 2019)
김나애, 이수정, & 서종한. (2019). PCL-R 기반 사이코패스 비교문한연구. 교정담론, 13(1), 1-31.
서종한, 신강현, & 김경일. (2018). 한국사회에서의 사이코패스 개념, 믿음, 태도에 관한 연구: 사이코패스성격장애종합평가(CAPP)를 중심으로. 한국범죄학, 12(2), 5-28.
서종한, 이수정, David Cook. (2017). 문항반응이론 기반 PCL-R 비교문화 연구. 형사정책연구, 28(4), 47-87.
LSRP는 기존 사이코패시 평가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Levenson 등의 연구자에 의해 개발된 사이코패시 행동 및 성격 특성 평가 도구이다. LSRP는 자기보고식 평가 도구로 전문인력과 고도의 전문성을 요구하지 않으며 문항 수 또는 상대적으로 적어 단시간 내에 평가를 완료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4점 Likert 척도로 평정하므로 간편하여 수검자가 검사를 하는 동안 높은 집중력을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평가도구 이외에 문서기록을 필요로 하지 않아 사이코패시 성향을 비교적 간단한 방식으로 평가 하기에 용이하다.
국내 타당화 된 모델에서의 요인은 크게 4가지로 도출되었으며 총 20개의 문항이 선정되었다. 따라서 전체 26문항 중 6문항이 삭제되었고 기존 3개 요인에서 한 개의 요인이 추가되었다. 최종적으로 선택된 요인은 물질만능적 사고방식, 조종적인, 자기중심적인, 비계회적 생활태도이다.
확장판 LSRP는 뉴질랜드 오타고 대학교 심리학과 Sellbom 등의 연구자들인 기존 LSRP의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LSRP 확장판을 제작하였다. 현재 일반인을 대상으로 국내에서 타당화 중에 있다,
한국판 LSRP or E-LSRP
문의: jonghansea@yu.ac.kr
이유경, 박소향, &서종한. (2021), 사이코패시 자기보고검사(LSRP) 의 타당화 : 한국 수용자를 대상으로, 교정담론, 15(2), 67-94.
이수빈 & 서종한. (2022). 확장판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E–LSRP)타당화 연구. 한국범죄학, 16(3), 117-136.
박소향, & 서종한. (2022). 레빈슨 사이코패시 자기보고 검사 (LSRP; Levenson Self-Report Psychopathy Scale) 타당화 연구: ESEM 과 RSM 를 중심으로. 경찰학연구, 22(3), 189-229.
4개의 해악적인 성격에 대한 연구는 임상 장면과 법적 장면에서 연구된 바가 적을뿐더러 하나의 도구를 사용해서 네 개의 항목을 측정하는 방법은 SD412)(Short Dark Tetrad)를 제외하고는 없는 실정이다.
사디즘을 추가한 기존의 연구들은 일반적으로 마키아벨리즘, 나르시시즘, 사이코패시를 측정하는SD3(Short Dark Triad)과 함께 사디즘을 따로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진행되었다. 하지만 원저자인 Paulhus(2014)는 이러한 4개의 해악적인 성격은 필연적으로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특성이기 때문에 같이 연구되어야 한다고 주장한 바 있다. 최근까지 국외에서는 SD4 연구를 포함하여 해악적 성격에 대한 연구가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으나, 국내에서는 아직 본 도구가 검토되거나 연구되지 못하고 있다.
박소향, 홍정윤, & 서종한. (2022). 어두운 3요소 성격 측정도구(SD3) 타당화 연구. 치안정책연구, 36(4), 285-335
박소향, 박선형, & 서종한. (2022). 우리 주변의 어두운 성격: Dirty Dozen (DD12) 성격 검사 타당화 연구. 한국범죄학, 16(3), 79-115.
권혁준, 이유경, & 서종한. (2023). 어두운 4요소 성격 측정도구(SD4) 타당화 연구. 경찰학연구, 23(1), 191-230.
수많은 선행연구에 따르면 사이코패시 (psychopahty) 성격특성은 비교적 이른 나이에 드러나기 시작하여 평생 변함없이 유지된다는 관점이 널리 받아들여지고 있다(Lynam, 1996; Frick, 2003; Loeber & Farrington, 2000; Dadds et al., 2005). 특히 사이코패시의 정서적인 결핍과 연결되는 냉담-무정서(Callous-Unemotionality; 이 하 CU) 특질은 사이코패시 발달에 있어서 선 행하는 전조로 본다(Frick, 2003). Frick.(2003)에 따르면 냉담-무정서 특질은 정서적으로 공감이 나 죄책감의 결핍, 무정한 정서, 타인을 조종하 는 측면, 거짓된 모습으로 묘사된다. 이러한 특 성은 어린 아동이나 청소년의 심각한 문제행동 및 범죄에 관여하며(Frick, 2003), 단순히 충동 적이고 반응적인 공격성을 보이는 아동 청소년 에 비해 CU 특성을 나타내는 이들은 살인, 성 폭력, 신체적 상해 등의 폭력적 행동을 사전에 계획하고 숙고하는 도구적인 측면이 강하다는 특징을 가진다(서종한, 2020)
아동⋅청소년 사이코패스 성격 특성의 대표적인 평가도구로 Frick(2003)이 개 발한 ICU(Inventory of Callous-Unemotional traits)가 널리 평가되고 있다
최재란, & 서종한. (2021). 한국판 자기보고식 냉담-무정서 특질 척도 (ICU) 타당화 연구: 탐색적 구조방정식 모형 (ESEM) 의 적용. 한국범죄학, 15(3), 191-214.
최재란, & 서종한. (2021). 사이코패시 성격특성에 따른 한국 청소년 잠재 프로파일 분석 및 영향요인 탐색:3단계 접근법(3-step)을 통해. 교정담론, 15(3), 57-8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