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지훈 교수는 '23년 3월부터 가천대학교 바이오나노학과에 재직 중이며, '고급미세생리시스템개발 연구실'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마이크로플루이딕스를 기반으로 한 삼차원 세포 배양 플랫폼을 개발하여, 조직 특이적 생리 및 병리 환경을 모사하는 정밀 조직·질환 모델을 구축하고, 이를 약물 반응 분석 및 진단 플랫폼으로 활용하는데 주력하고 있습니다.
최근에는 인공지능 기반의 이미지 분석 및 데이터 융합 기술을 접목하여, 세포 및 조직 수준의 복잡한 생물학적 데이터를 정량화하고, 예측 가능한 바이오의학 연구 기반을 마련하고 있습니다. 기계공학, 생명과학, 임상의학을 융합한 다학제 연구를 지향하며, 차세대 정밀의료 및 비임상 시험 대체 플랫폼 개발에 기여하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자세한 소개는 다음 링크를 확인해주세요. [Link]
Email: daijobu01@gachon.ac.kr
민재홍 학생은 본교 바이오나노학과를 졸업한 후, '24년 3월부터 본 연구실 석사과정으로 시작하였습니다. 현재 마이크로플루이딕 기반 삼차원 혈관망 개발을 중심으로 다양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유래의 혈관내피세포를 활용한 배양 실험을 통해 혈관의 구조적·기능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주)아이진, (주)니오테스바이오 등 국내 신약개발 기업과의 산학 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끌며, 실제 후보 약물의 효능 평가 및 플랫폼 활용 가능성을 입증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노력은 2024년 바이오칩 춘계학술대회에서 우수포스터발표상을 수상으로 이어졌으며, Advanced Healthcare Materials, Advanced Intelligent Systems 등 국제 저널에 논문을 게재하는 성과로 이어졌습니다.
연구에 대한 진정성과 꾸준한 성실함, 강한 책임감은 민재홍 학생의 큰 장점입니다. 여가 시간에는 야구 경기를 시청하며 스트레스를 해소하곤 합니다.
Email: dlxodla1114@gachon.ac.kr
이태임 학생은 본교 바이오나노학과를 졸업한 후, '24년 3월부터 본 연구실 석사과정으로 합류하였습니다. 동물실험 대체를 목표로 한 Skin-on-a-chip 플랫폼 개발을 주된 연구로 집중하고 있으며, 삼차원 CAD 설계 및 프로토타입 개발에 강점을 보이며 혈관화된 피부조직 모델링에 최적화된 미세유체칩을 직접 개발하고 있습니다.
여기에, 한국콜마(주)와의 산학 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끌며, 피부 및 안구 자극을 동시에 평가할 수 있는 다기능성 미세유체칩 개발을 수행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Microsystems&Nanoengineering 에 논문 발표 뿐만 아니라, 현재 관련 특허 및 후속 논문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피부 외에도 다양한 소재 및 디바이스 구성 요소의 물성 평가에도 폭넓은 관심을 갖고 연구를 확장해 나가고 있습니다.
연구 외적으로는 밴드 동아리 보컬로 활동하며 직접 음원을 발표한 이력이 있으며 (Link), 음악과 과학을 동시에 탐구하는 독창적인 감각을 지니고 있습니다.
Email: sky3132@gachon.ac.kr
경상윤 학생은 '24년 5월부터 연구실에 합류하여, '25년 9월부터 석사과정을 시작했습니다. 삼차원 CAD 설계 및 3D 프린팅 기반의 프로토타입 제작 역량이 탁월하며, 독창적이고 실용적인 아이디어를 구현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특히 자신만의 감각이 반영된 디자인과 개성 있는 디바이스 트레이드마크는 매우 흥미로우며, 향후 연구실 디바이스 전시회를 통해 그 결과물을 선보일 계획입니다.
한국콜마(주)와의 산학협력 프로젝트에 참여하여 피부/안구 자극 동시 평가를 위한 표준화된 미세유체칩 개발을 수행하였으며, 최근에는 “생체 장벽 투과성 평가용 미세유체칩” 으로 특허를 출원하는 등 다양한 목적의 미세생리시스템 디자인과 그 응용을 특허 및 연구 성과로 발전시키는 데 집중하고 있습니다.
연구실 내에서는 특히 책임감이 강하고 꼼꼼한 성격으로, 향후 훌륭한 연구자로 성장할 가능성을 잘 보여주고 있습니다. 기술적인 업무는 물론, 후배들의 실험 트레이닝을 성실히 도우며 연구실 내 긍정적인 학습 문화를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Email: sjin2002@gachon.ac.kr
김수진 학생은 '23년 10월부터 연구실에 합류하여, '25년 9월부터 학석사 연계과정을 시작했습니다. 현재는 삼차원 혈관망 개발을 중심으로 다양한 실험 및 분석 연구를 수행하고 있으며, 다양한 유래의 혈관내피세포를 활용한 배양 실험을 통해 혈관의 구조적·기능적 특성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크게 기여하고 있습니다. 특히 (주)아이진, (주)니오테스바이오 등 국내 신약개발 기업과의 산학협력 과제를 주도적으로 수행하면서, 실제 후보 약물의 효능 평가 및 플랫폼 적용 가능성을 입증해왔습니다. 나노입자 기반 치료제의 전달 효율을 평가하기 위한 혈관화된 종양 모델 개발에 이어, 최근에는 혈관-면역세포 간 상호작용을 재현할 수 있는 고도화된 마이크로모델 개발에 집중하고 있습니다. '25년 한국마이크로나노시스템학회(KMEMS) 춘계학술대회에서는 우수논문상을 수상하며 연구 역량을 입증하였고, 예담, 재홍 학생과 함께 주저자로 참여한 리뷰 논문 “AI-driven Microphysiological Systems for Advancing Nanoparticle Therapeutics” 이 Advanced Intelligent Systems에 게재 승인되는 성과를 이루었습니다.
성실함과 섬세함을 겸비한 연구자로서 실험 재현성 및 정량분석에 강점을 보이고 있으며, 향후 바이오마이크로시스템 기반의 정밀의료 응용 분야에서 의미 있는 성장을 보여줄 것으로 기대됩니다. 취미는 드라이빙으로, 주행을 통해 아이디어를 정리하고 새로운 영감을 얻는 시간을 즐깁니다.
Email: pwooju1224@gachon.ac.kr
박우주 학생은 '24년 1월부터 연구실에 합류하여, '25년 9월부터 학석사 연계과정을 시작했습니다. 인공지능학과를 복수전공하며, AI/ML 기반의 바이오이미지 분석에 대한 연구를 수행 중입니다. 단순히 데이터를 분석하는 데 그치지 않고, 세포 배양 실험을 주도적으로 수행하며 바이오와 인공지능을 아우르는 융합형 연구자로 성장하고 있습니다.
연구 결과를 청중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능력이 탁월하며, '25년 한국바이오칩학회 춘계학술대회에서 “Automated Bioimage Analysis Using Deep Learning in Microphysiological Systems (MPS)”라는 주제로 최우수 포스터 발표상을 수상한 바 있습니다. 최근에는 주저자로 참여한 논문 “AI-Powered Image Standardization in Microphysiological System Platforms”가 JMST Advances에 게재 승인되었고, 관련 연구가 기계저널에 소개되는 등 연구성과를 지속적으로 만들어가고 있습니다.
학부 시절 학생회장을 역임한 경험에서 드러나듯 뛰어난 리더십을 갖추고 있으며, 연구실 내에서는 선후배들을 잇는 연결자 역할을 톡톡히 수행하고 있습니다. 연구에 관심 있는 학부생들에게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연구실의 분위기를 활기차고 따뜻하게 만드는데 기여하고 있습니다.
학부연구생 (2023.10. ~)
Dep. of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Gachon Univ.
Email: hhs030718@gachon.ac.kr
Biofabrication 분야에 관심을 두고, 미세유체칩 설계 및 프로토타이핑에 강점을 보였습니다. 연구재단 바이오의료기술개발사업 과제의 일환으로 Brain Organoid-on-a-Chip과 Neural Probe를 통합할 수 있는 디자인 개발을 성공적으로 수행하였으며, 관련 특허도 발표한 바 있습니다.
현재는 어학연수를 위해 University of Guelph에서 2025년 9월부터 학업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학부연구생 (2025.04. ~)
Dep. of BioNano Technology, Gachon Univ.
Email: suin018@gachon.ac.kr
대장 오가노이드와 혈관 형성에 관심이 많으며, 실험과 데이터 정리에 꼼꼼하고 발표 자료 제작에 능숙합니다. 영어 실력이 뛰어나며, Kolab의 공식 먹짱입니다.
학부연구생 (2025.07. ~)
Dep. of BioNano Technology, Gachon Univ.
Email: byeonmingdo@naver.com
혈관과 면역, 오가노이드 및 스페로이드 간의 상호작용에 관심을 갖고 연구에 참여 중입니다. 침착함과 끈기를 바탕으로 차분하게 실험을 수행하며, 꾸준한 자세로 성장 중입니다.
학부연구생 (2025.07. ~)
Dep. of BioNano Technology, Gachon Univ.
Email: goodgmldms@naver.com
신경계 기반 통증 및 면역 관련 연구에 관심이 있으며, 성실하고 꾸준한 자세로 연구에 임하고 있습니다. 조직 생활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 연구실 적응이 빠르고, 협업에도 능숙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학부연구생 (2025.07. ~)
Dep. of BioNano Technology, Gachon Univ.
Email: kellyjin1102@gachon.ac.kr
칩 제작과 오가노이드 공배양에 관심이 있으며, 침착하게 책임감을 가지고 실험에 임하는 태도가 인상적입니다. 맡은 바를 끝까지 해내는 근성과 집중력이 강점입니다.
학부연구생 (2025.07. ~)
Dep. of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Gachon Univ.
Email: myj20041214@gmail.com
신경계 관련 연구에 관심이 있으며, 맡은 일에 최선을 다하는 책임감과 긍정적인 태도로 연구에 임하고 있습니다.
학부연구생 (2025.09. ~)
Dep. of Chemical & Biological Engineering, Gachon Univ.
Email: serim207@naver.com
오가노이드와 스페로이드 기반 생물학적 플랫폼을 활용한 치료제 효능 검증에 관심이 있으며, 다양한 생명 현상의 원리를 탐구하는 데에서 즐거움을 느껴 연구실에 합류하였습니다. 성실함과 책임감을 바탕으로 꾸준히 연구에 임하며, 서로 다른 분야의 지식을 융합해보려는 사고에도 강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BS in Dep. of BioNano Technology, Gachon Univ.
Current: MS student at Gwangju Institute of Science and Technology (GIST)
BS in Dep. of BioNano Technology, Gachon Univ
(2023.06 - 2025.09)
Current: MS student at Technische Universität Münch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