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일시: 2025. 09. 25. 목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김 재 준 박사과정 (통합오믹스 연구실)
- 발표주제 : Identification of Agents Attenuating Cellular Senescence in Human Fibroblasts
- 연자: 고 은 희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 Mechanistic Study of RBM15-Mediated Regulation of PHGDH in the Serine Synthesis Pathway of TNBC
- 주최 : 암유전체학 연구실, 재생의학 연구실, DNA 손상회복 연구실, 암대사학 연구실, 면역조절 연구실, 통합오믹스 연구실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지원기관: 교육부
- 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 과제명: 2025학년도 박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연구기간: 2025. 09. 01. ~ 2027. 08. 31.(24개월)
- 연구비: 50,000,000원
- 일시: 2025. 06. 26. 수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윤혜진 박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 Serine catabolism by HIF-1α-upregulated serine hydroxymethyltransferases maintains redox homeostasis and promotes glioblastoma growth
- 주최 : 암유전체학 연구실, 재생의학 연구실, DNA 손상회복 연구실, 암대사학 연구실, 면역조절 연구실, 통합오믹스 연구실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동아대학교(총장 이해우)는 전제석(바이오메디컬학과 박사과정), 박정원(건강과학과 석박사통합과정) 대학원생이 ‘제2기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 장학생으로 선정됐다고 밝혔다. 박 대학원생은 4학기 동안 최대 4,800만 원의 장학금을 받게 된다.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금은 이공계 대학원생에 대한 차별화된 장학 지원 사업을 만들기 위해 지난해부터 신설된 사업이다. 과기정통부는 석·박사 이공계 인재의 자긍심을 높이고 세계 최고 수준의 연구 인력으로 성장하는 것을 뒷받침하기 위해 대학원 대통령과학장학생을 선발하고 있다.
박정원 대학원생은 ‘염증 세포 유래 과립 인자 - 항체 복합체를 이용한 알레르기 질환의 면역관용 유도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그는 “학문적 열정과 연구에 대한 진지한 태도를 인정받았다는 점에서 큰 책임감을 느낀다. 대통령장학금을 계기로 더 책임 있는 자세로 연구에 임하고 학계와 사회에 의미 있는 기여를 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며 “학문에 몰두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신 김혁순 지도교수님과 관계자 여러분께 깊이 감사드리고 장학금 의미에 걸맞은 성과로 보답해 드릴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 일시: 2025. 05. 20. 화요일 오전 10:30
- 장소: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IDC
- 연자: 신주현 박사과정
- 발표주제 : Zinc Oxide Nanoparticles Exacerbate Allergic Skin inflammation via T cell dysregulation and enhanced immune cell infiltration
- 주최 : 31st FAOBMB Conference & 2025 KSBMB International Conference, Young Scientist Program 2025 (YSP2025) Fellowship
- 일시: 2025. 04. 30. 수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박정원 석박사통합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 Investigation of mast cell functional deficiency and host protection disrupted by polystyrene nanoparticle exposure
- 주최 : 암유전체학 연구실, 재생의학 연구실, DNA 손상회복 연구실, 암대사학 연구실, 면역조절 연구실, 통합오믹스 연구실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5. 03. 13. 목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김세원 대표(DecodeCell)
- 발표주제: 최신 단일세포 오믹스 기술 동향 및 연구 디자인
- 주최 : 암유전체학 연구실, 재생의학 연구실, DNA 손상회복 연구실, 암대사학 연구실, 면역조절 연구실, 통합오믹스 연구실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5. 02. 26. 수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정연지 석사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s Regulate NKG2D Expression in NK Cells and NKG2D ligand (MICA) Expression in Cancer Cells, Highlighting Their Potential as Therapeutic Agents in Cancer Immunotherapy
- 연자: 유준호석사과정 (통합오믹 연구실)
- 발표주제 : Decreased Lysosomal Activity and Accumulation of Autophagic Flux in Macrophages Treated with Brake Wear Particles
- 주최 : 암유전체학 연구실, 재생의학 연구실, DNA 손상회복 연구실, 암대사학 연구실, 면역조절 연구실, 통합오믹스 연구실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신주현 석사의 학위 수여를 축하합니다. 앞으로 동문들에게 모범이 되고, 박사과정생으로서 더 창의적이고 사람들에게 도움이 되는 연구 업적들을 만들기 바랍니다.
대기 초미세먼지(UPM)가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에 미치는 영향 평가를 위해 스파크 방전법을 통해 생성산 simulated UPM(sUPM)을 사용하여 실제 UPM을 밀접하게 모방하는 핵심 입자인 블랙 카본을 정제하였습니다. 마우스의 폐부에 분산된 sUPM을 주입했을 때, 폐 비만 세포의 침윤 및 탈과립 반응을 촉진했고, 면역글로불린 E(IgE) 매개 수동적 아나필락시스 모델에서 sUPM에 노출되었을 때 말초 비만 세포의 탈과립 반응이 강화되었습니다. 이는 IgE 매개 비만 세포의 high affinity IgE receptor (FcεRI)의 하위 신호 전달 메커니즘을 증폭시키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결과는 공기 중 UPM이 비만 세포 내의 IgE 매개 신호 전달 경로를 강화하여 1형 과민 반응을 악화시킬 수 있고, UPM 흡입으로 유발된 악화된 알레르기성 폐 질환에 대한 기전적 증거를 제공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의약생명공학과 조완섭 교수님과의 공동연구를 통해 이뤄졌습니다.
Park, J.W.*, Kang, M.*, Kim, G.*, Hyun, S.Y., Shin, J., Kim, S.Y., Lee, J.H., Choi, W.S., Lee, J.H., Lee, K., Kim, S.H., Cho, W.S.*, Kim. H.S.* The impact of atmospheric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on IgE-mediated type 1 hypersensitivity reaction.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25 Feb 15;484:136705. doi: 10.1016/j.jhazmat. 2024.136705.
- 일시: 2025. 01. 24. 금요일 오후 3: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최영현 교수님(동의대학교 한의학대학 생화학교실)
- 주제: Defense Strategies Against Environmental Micropollutants: Finding Solutions in Traditional Medicine
- 연자: 김태진 교수님(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 주제: Fluorescent Protein-based Biosensors for High-Throughput Drug Screening(HTDS) and Advancing Mechanobiology
나노플라스틱(NP)은 대기, 담수, 수생 환경에 존재하는 새로운 환경 오염물질입니다. 나노플라스틱은 세포막을 빠르게 투과하여 인체 조직과 장기에 축적되어 인체 건강에 잠재적 위협을 초래할 수 있습니다. 본 연구에서는 PS-NPs의 치사량에 가까운 세포독성 농도에서의 내재화가 β-갈락토시다제 활성 증가, p16, p21 및 노화 관련 분비 표현형의 발현 증가, 그리고 세포 주기 정지와 같은 노화 특징의 증가로 이어지는지를 평가하였습니다. 또한, PS-NP 처리는 미토콘드리아 막 탈분극, 내용물 손실, 단편화, 그리고 ATP 생성 감소를 포함한 미토콘드리아의 현저한 초과산화물 생성 및 손상을 유발하였습니다. 본 연구 결과는 분화 전 근모세포에서 미토콘드리아 초과산화물 생성 및 기능 장애를 통한 PS-NPs의 노화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동의대학교 최영현 교수님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Bang, E, Hwangbo, H., Lee, H., Park, C., Hong, S.H., Kim, H.S., Jung, Y., Hyun, Y.M., Hyun, J.W., Kim, G.Y., Choi, Y.H. Exposure to polystyrene nanoplastics promotes premature cellular senescence through mitochondrial ROS production and dysfunction in pre-differentiated skeletal myoblasts. Toxicology. 2025 Jan 1; 510:154002. doi:10.1016/j.tox.2024.154002.
- 일시: 2024. 12. 19. 목요일 오후 3: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문성환 교수 (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동물생명공학과)
- Emory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Post-Doc
- 차바이오텍 R&D 본부 팀장
- 건국대학교 의학과 부교수
- 티앤알바이오펩 줄기세포연구소 연구소장
- 중앙대학교 생명공학대학 동물생명공학과 부교수
- 연자: 박상웅 교수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응급구조학과)
- Albany Medical Center (NY), Post-Doc
- 건국대학교 연구교수
- 을지대학교 보건과학대학 응급구조학과 부교수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동아대학교는 최근 4단계 BK21 미래환경생체방어융합사업단 소속 김혁순(건강관리학과)·조완섭(의약생명공학과) 교수 공동연구팀이 대기 중 초미세먼지의 급성 알레르기 질환 유해성을 규명했다고 11일 밝혔다.
대표적인 환경 유래 유해인자인 초미세먼지는 호흡기 및 알레르기 질환을 유발하는 등 인체에 유해한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지역, 계절, 기온 등에 따라 초미세먼지 성분 분포가 상이하고 정확한 분자적 메커니즘이 불분명해 질병과 연관성을 표준화하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동아대 연구팀은 '스파크 방전법'을 활용해 초미세먼지의 코어입자인 '카본블랙'(Carbon black)을 정제하고 급성 호흡기 알레르기 질환에서의 영향을 평가했다.
연구 결과 초미세먼지에 의한 폐 내 호중구 급성 염증과 말초 면역세포 염증반응이 나타났다. 급성 알레르기 질병의 중증도가 초미세먼지에 의해 악화된 것이다.
연구 결과는 'The impact of atmospheric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on IgE-mediated type 1 hypersensitivity reaction'(대기 초미세먼지가 IgE 매개 1형 과민반응에 미치는 영향)이라는 제목으로 환경과학·공학 분야 국제학술지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JCR 상위 5%, IF=12.2)에 게재됐다.
- 일시: 2024. 11. 13. 수요일 오전 10:00 - 12: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추인선 연구의원 ((주)바이오니아)
- 1987.08 : 동아대학교 수학과 석사
- 1993.03 : 일본 오사카대학 정보수리과학과 통계학 박사
- 2004.08 : 미국 암연구소(NIH) 연구원
- 2024.01 :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급
- 2024.01 : 과학기술연합대학원대학교 생명정보학과 연구위원
- 연자: 이주석 교수 (University of Texas MD Anderson Cancer Center)
- 1994.05 :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분자생물학 석사
- 1999.08 : University of Texas at Dallas, 분자생물학 박사
- 2006 : 미국 암연구소(NIH) 연구원
- 2011 : University of Texas 조교수
- 2018 : University of Texas 부교수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4. 10. 31. 목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왕승원 석사과정 (재생의 연구실)
- 발표주제: Cancer-derived Exosomes induce CSCs properties from normal fibroblast
- 연자: 김선영 석사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Effect of Pluviatolide on FcεRI mediated mast cell activation and Type I hypersensitivity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4. 09. 26. 목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5층 s11-0502호
- 연자: 윤서영 석사과정 (암유전체학 연구실)
- 발표주제 : Molecular Mechanisms and Liquid Biopsy Diagnosis of CAV1 as a Chemoresistance Biomarker in Bladder Cancer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지원기관: 교육부
- 전문기관: 한국연구재단
- 과제명: 2024학년도 석사과정생연구장려금지원사업
- 연구기간: 2024. 09. 01. ~ 2025. 08. 31.(12개월)
- 연구비: 12,000,000원
- 주관: 동아대학교 나노물질 면역독성 연구팀
- 일시: 2024. 08. 26. (Mon) 16:00 ~ 18:20
- 장소: 부산 아난티코브호텔 회의실
- 발표주제: 나노물질 적응면역 독성
- 일시: 2024. 08. 28. 수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이상곤 석박사통합과정 (DNA 손상회 연구실)
- 발표주제: Discovering the role of RNA Helicase in the regulation of nucleotide excision repair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주관: 동의대학교 항노화연구소/한국연구재단 지원 기초연구실(BRL)
- 일시: 2024. 08. 26. (Mon) 16:00 ~ 18:20
- 장소: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양정캠퍼스 2층 세미나실
- 발표주제: Inducing Immune Tolerance in immune Diseases Using Regulatory Cells and Histamine-lgG Complex
- 2024 Korea Drug Development Fund (국가신약개발재단) Science Conference
- 일시: 2024. 08. 08. (Tue) - 08. 10. (Sat)
- 장소: Alpensia Resort , Pyeongchang, Korea
- 주제: Opportunities and Prospects for New Modalities: Oncology, Immunology, Metabolic Disease, Cardiovascular Disease & etc.
-대상: 세부 주제 전문가 약 150여명 (Invitation-based private conference)
체내 IL-10+ 조절 B 세포가 아토피 피부염 질환에서 염증성 호산구의 homing receptor인 CCR3 발현을 억제하고, IL-5 및 EPO 분비 억제 기능이 있음을 Scientific Reports에 2024년 8월 26일자로 게재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이다정 박사와 조민근 박사의 공동연구로 수행하였습니다.
Lee, D.*, Jo, M.G.*, Min, K.Y., Choi, M.Y., Kim, Y.M., Kim, H.S.*, Choi, W.S.* IL-10+ regulatory B cells mitigate atopic dermatitis by suppressing eosinophil activation. Scientific Reports. 2024 Aug 6; 14(1):18164. doi:10.1038/s41598-024-68660-9.
- The 79th Annual Meeting of The Korean Association of Biological Sciences (KAOBS)
- 일시: 2024. 07. 31. (Tue) - 08. 02. (Fri)
- 장소: International Convention Center Jeju (ICC JEJU), Jeju, Korea
- 부산형 첨단 바이오헬스 오픈이노베이션 추진을 위한 연구 교류회
- 일시: 2024. 07. 08. 월요일 오후 2:00 - 5:30
- 장소: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IDC 12층 대회의실
- 발표주제: Inducing Immune Tolerance in Immune Diseases Using Regulatory Cells and Histobulin
- 일시: 2024. 06. 26. 수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윤혜진 박사과정 (암대학 연구실)
- 발표주제: Crucial roles of serine synthesis pathway in the glioblastoma growth and motility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4. 04. 30. 목요일 오후 3: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본심사
- 발표자 : 최성현 석사과정(통합오믹스 연구실)
- 발표주제: Co-optimization of anti-CTHRC1 antibody for productivity and binding affinity using phage display library
예비심사
- 발표자 : 김민혜 박사과정(암유전체학 연구실)
- 발표주제: Investigating the Impact of ZO1 Overexpression on Cancer Progression and Metastasis in Transgenic Mouse
- 발표자 : 양기은 박사과정(암유전체학 연구실)
- 발표주제: Study on the effects of CD73 expression on cancer progression and TME environment in bladder cancer
- 발표자 : 김재준 석사과정(암유전체학 연구실)
- 발표주제: Characterization of the secreted protein PAI-1 in Bladder Cancer Cells
- 발표자 : 김주원 석사과정(통합오믹스 연구실)
- 발표주제: Development of nanoparticle-based COVID-19 Vaccine
- 발표자 : 신주현 석사과정(면역조절 연구실)
-발표주제: Immunotoxic effect of zinc oxide nanoparticles through immune cell modulation in atopic dermatitis model
- 발표자 : 전제석 석사과정(DNA 손상회복 연구실)
- 발표주제: Study on the Mechanism of Nucleotide Excision Repair Activation by Phytochemicals
- 발표자 : 최수민 석사과정(재생의학 연구실)
- 발표주제: The Pro-Angiogenic Effects of Lizard Tail-Derived Factor, Endoplasmin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KSBMB International Conference 2024
- 일시: 2024. 05. 28. (Tue) - 05. 31. (Fri)
- 장소: Bexco, Busan, Korea
- 일시: 2024. 04. 30. 화요일 오후 1:30 - 2:3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장비소개: MACSima imaging system
- 단일세포 수준의 초고도 다중형광 이미징 플랫폼
- 조직의 미세 환경에 존재하는 100개 이상의 세포 단백질 표현형을 구별하여, 이웃한 세포들의 특성과 관계를 시각적으로 이미징, 정량적 분석, 공간적 맥락의 해석을 통해, 통찰력 싶은 데이터를 제공함.
관련 유튜브: https://www.youtube.com/watch?v=CBc6BsZ4_zU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4. 04. 24. 수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박수환 박사과정 (암대학 연구실)
- 발표주제: The adverse effect of environmental pollutants on metabolism essential in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 survival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Morroniside, a type of iridoid glycoside contained in Cornus officinalis, is reported to have advantages as a natural compound that prevents various diseases. However, the question of whether this phytochemical exerts any inhibitory effect against oxidative stress in muscle cells has not been well reported. These findings demonstrate that morroniside protected against mitochondrial impairment and Ca2+-mediated ER stress by minimizing oxidative stress, thereby inhibiting H2O2-induced cytotoxicity in C2C12 myoblasts.
Hwangbo, H., Park, C., Bang, E., Kim, H.S., Bae, S.J., Kim, E., Jung, Y., Leem, S.H., Seo, Y.R., Hong, S.H., Kim, G.Y., Hyun, J.W., Choi, Y.H. Morroniside Protects C2C12 Myoblasts from Oxidative Damage Caused by ROS-Mediated Mitochondrial Damage and Induction of Endoplasmic Reticulum Stress. Biomolecules & Therapeutics. 2024 Apr 11; doi:10.4062/biomolther.2024.012.
- 일시: 2024. 03. 27.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최형록 박사과정 (재생의학 연구실)
- 발표주제: PLST contributes to epithelial-mesenchymal transition in human lung cancer cells through FAK/AKT/Slug axis signaling pathway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항암 면역요법에서 최적의 효능을 달성하려면 종양미세환경(TME)의 재구성과 면역 반응의 회복이 필요합니다. 비뇨기계의 흔한 악성종양으로 꼽히는 방광암의 극복을 위해 방광 내 BCG와 아테졸리주맙, 아벨루맙, 펨브롤리주맙과 같은 면역체크포인트 억제제를 포함한 면역치료가 시행되었습니다. 그러나 모든 단계의 방광암 환자 대다수가 면역요법에 적절하게 반응하지 않기 때문에 상당한 미충족 수요가 지속되고 있습니다. 방광암은 효율적인 항종양 면역 반응을 적극적으로 방해할 수 있는 미세환경을 구축하기에 방광암의 면역 회피 메커니즘에 대한 더 깊은 이해는 재발을 억제하고 실행 가능한 치료 목표를 식별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이번 연구를 통해 방광암에 특정한 면역 회피 메커니즘을 밝히고 면역 요법에 대한 저항성을 우회할 수 있는 새로운 경로와 분자 표적을 분석하였습니다. 본 연구는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온라인판에 게재되었습니다.
Shin, J., Park, J.W., Kim, S.Y., Lee, J.H., Choi, W.S., Kim, H.S.* Strategies for Overcoming Immune Evasion in Bladder Cancer.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4 Mar 7; 25(6): 3105; doi:10.3390/ijms25063105
‘신규 면역조절 선천성 림프구 표현형 발굴’로 면역질환 억제 효과 보고
건국대 최완수 교수팀과 공동연구,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에 게재
BRIC 한국을 빛낸 사람들 "한빛사 논문" 선정
동아대학교(총장 이해우)는 김혁순 바이오메디컬학과 공동연구팀이 신규 면역조절세포인 조절 선천성 림프구(regulatory innate lymphoid cell)의 세포 표현형을 발굴, 이를 이용한 염증성 피부질환을 억제하는 세포기반 치료 기전을 제시했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건국대 의과대학 최완수 교수 공동연구팀과 함께 ‘IL-27-induced PD-L1highSca-1+ innate lymphoid cells suppress contact hypersensitivity in an IL-10-dependent manner(IL-27로 유도된 PD-L1highSca-1+ 선천성 림프구의 IL-10 분비 의존적 접촉성 과민증 억제 효과)’라는 제목의 논문을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최근호에 게재했다.
네이처(Nature)에서 출판하는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은 저널 인용 보고서인 JCR(Journal Citation Reports)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12.8로, 의학과 생화학&분자생물학 학술지 중 상위 5%에 해당하는 세계적인 학술지다.
김 교수 공동연구팀은 신규 면역세포인 선천성 림프구(innate lymphoid cell; ILC)에 특정 면역조절 기능을 갖는 세포가 있고 그 세포 표면에 특이적 분자가 높게 발현하는 것에 주목했다. 연구팀은 이 세포를 분리해 염증성 피부질환 동물에 투여할 경우 항염증성 사이토카인(면역세포로부터 분비되는 단백질 면역조절제)인 ‘IL-10’을 분비, 염증성 면역질환을 억제할 수 있다는 것을 밝혀냈다.
앞서 연구팀은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을 분비할 수 있는 선천성 림프구가 존재한다는 것을 지난 2016년 세계 최초로 학계에 보고한 바 있다.
연구팀은 후속연구를 통해 ‘PD-L1highSca-1+’라는 고유의 세포표면항원을 높게 발현한다는 것을 밝혔고 이러한 세포들을 분리해 염증성 피부질환 모델에 투여할 경우 활성화된 염증세포들의 기능을 제어, 질환 억제 효과를 나타낸다는 것을 규명했다.
연구팀은 또 유전자·분자적 분석을 통해 염증반응에 참여하는 선천성 림프구 중 ‘IL-10’을 분비할 수 있는 면역조절 선천성 림프구가 비장과 림프절, 말초조직 등에 널리 분포돼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 이를 통해 염증성 피부질환이 확대될수록 병변이 나타나는 말초부위에 면역조절 선천성 림프구 증가가 두드러진다는 것을 밝혔다.
연구팀에 따르면 이러한 면역조절 선천성 림프구의 발달은 대식세포, 수지상세포 등이 주로 분비하는 ‘IL-27’이라는 사이토카인의 신호전달을 통해 그 활성이 유도된다.
김 교수는 “이번 연구를 통해 염증이나 조절 기능에 양면적 영향을 미치는 IL-27 사이토카인의 면역조절 선천성 림프구 활성화 기전, 면역조절 선천성 림프구의 고유 세포 표현형을 동시에 확인했다”며 “분리된 면역조절 선천성 림프구에 선택적인 IL-27 사이토카인 자극으로 다양한 염증질환에 활용 가능한 선천성 림프구 기반 세포치료제 제작에 활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후속연구로 건선이나 기타 자가면역질환 등의 적응증 규명을 진행하고 있다”며 “염증질환의 만성화 및 재발에 지속가능한 치료 후보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연구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의 신진연구지원사업·중견연구지원사업 등 지원으로 수행됐으며 김 교수팀은 동아대 BK21 미래환경 생체방어 융합사업단에 참여하고 있다.
언론보도: 연합뉴스외 8건
- 일시: 2024. 02. 28.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박정원 석박사통합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Effects of fine particulate matter on allergic inflammation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4. 01. 12. 금요일 오후 3: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김희수 교수 (부산대학교 생명과학과)
-연자: 이 광 교수 (아주대학교 의과대학 생리학교실/분자과학기술학과)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제주대, 동아대, 한라병원 공동 연구팀 미래셀바이오 중간엽줄기세포 추가 적용 모색
기존 항히스타민제 투여 대비 우수한 효능 확인
제주대학교 바이오메디컬정보학과 박세필 교수팀은 동종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MMSC) 투여로 난치성 만성질환인 두드러기에 대한 치료 효과를 입증했다고 27일 밝혔다.
㈜미래셀바이오 주관으로 동아대 바이오메디컬학과 김혁순 교수팀, 제주한라병원 노건웅 박사팀과 공동으로 진행해 두드러기 질환 개선 결과를 입증한 이번 연구 결과는 네이처의 자매지인 ‘사이언티픽 리포트(Scientific Reports)'에 게재됐다.
박 교수팀은 기존 간질성방광염에서 질환 완화 효능이 입증된 동종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줄기세포가 난치성 만성질환인 두드러기 질환 비임상모델에서도 효과적인 치료 효과가 있음을 입증했다고 설명했다.
만성 두드러기 질환은 삶의 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난치성 질환으로 확실한 치료법이 없고, 현재까지 대부분 일시적 완화 효과를 보이는 항히스타민제를 처방하는데 그쳐 새로운 치료제 개발이 절실한 상황이다. 박 교수팀에 따르면 해당 질환모델에서 MMSC를 통해 항히스타민제 투여 대비 1.5배, 골수 유래 중간엽줄기세포 투여 대비 2.6배로 우수한 피부 병변 개선 효과가 있었다. 이와 함께 MMSC 유래 분비인자 중 항염증 사이토카인 TGF-beta의 작용을 통해 염증성 T세포와 히스타민을 분비하는 비만세포의 활성을 억제함으로써 이뤄지는 작용기전도 규명했다.
박 교수는 "MMSC의 추가적인 적용 확대를 위해 현재 제주대에서 세계최초로 개발한 '인간치매유발 복제 제주흑돼지(JNUPIG, 2017년)'의 세포치료제개발연구로 이어지길 기대한다"고 말했다.
2023. 12. 27. 연합뉴스 외 8건
신규 면역세포인 선천성 림프구(innate lymphoid cell)의 면역조절 타입 발굴 이후 이러한 면역조절 타입 표현형이 어떠한 캐릭터인지 규명하고 Lin-PD-L1highSca-1+CD127+CD45+한 세포아형임을 발견하였으며, 주로 항염증성 사이토카인인 IL-10을 분비하는 것으로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세포는 접촉성 과민증 모델을 적용하여 입양면역법으로 세포 치료를 하였을 때, IL-10 의존적으로 질환 개선에 도움이 되는 것을 보고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에 2023년 12월 26일 게재 승인되었습니다.
Min, K.Y.*, Kim, D-K.*, Jo, M.G., Choi, M.Y., Lee, D., Park, J.W., Park, Y-J., Chung, Y., Kim, Y.M., Park, Y.M., Kim, H.S.*, Choi, W.S.* IL-27-induced PD-L1highSca-1+ innate lymphoid cells suppress contact hypersensitivity in an IL-10-dependent manner. Experimental & Molecular Medicine. 2023 Dec 26;Accepted.
- 일시: 2023. 12. 21. 목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김태형 교수 (University of New Mexico Health Science Center)
- 발표주제: High extracellular glucose promotes cell motilty by modulating cell deformability and contractility via cAMP-RhoA-ROCK axis in human breast caner cell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3. 12. 20.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최수민 석사과정 (재생의학 연구실)
- 발표주제: Study of effects of Endoplasmin on angiogenesis
- 연자: 정유진 석사과정 (DNA 손상회복 연구실)
- 발표주제: Modulation of NER activity by a cell cycle checkpoint factor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사람 동종배아줄기세포 유래 중간엽 줄기세포 치료제를 두드러기 질환동물에서 적용하여 병변의 개선과 항염증 효과를 평가하여 Scientific Reports에 2023년 12월 20일 출판되었습니다.
해당 연구는 (주)미래셀바이오와의 공동연구로 진행되었으며, 중간엽 줄기세포의 TGF-beta 매개한 염증성 T 세포와 비만세포의 활성 조절을 통해 두드러기 질환의 개선 효과를 나타내었습니다.
Hyun, S.Y.*, Kim, E.Y.*, Kang, M., Park, J.W., Hong, K.S., Chung, H.M., Choi, W.S., Park, S.P., Noh, G., Kim, H.S. Embryonic‑stem‑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relieve experimental contact urticaria by regulating the functions of mast cells and T cells. Scientific Reports. 2023 Dec 20; 13:22694. doi: 10.1038/s41598-023-50258-2.
- 일시: 2023. 12. 19. 화요일 오후 4:00 - 6:00
- 장소: 동의대학교 한의과대학
- 발표주제: Research on Immune Regulation and Immunotoxicity in Immune Disorders
2023년 12월 12일
2023년 한해를 돌아보고 2024년 새로운 시작을 기대하며 송년회를 진행하였습니다.
- 46th international meeting 2023 Annual Meeting MBSJ (The Molecular Biology Society of Japan) 2023
- 일시: 2023. 12. 06. (Wed) - 12. 08. (Fri)
- 장소: Kobe International Conference Center, Kobe, Japan
- 일시: 2023. 11. 23. 목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s11-0210호
- 연자: 윤혜진 석사과정 (암대사학실 연구실)
- 발표주제: The Mechanistic Studies of Regulation of Serine Biosynthesis in the Brain Tumor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3. 11. 20. 월요일 오후 3:00 - 4: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5층 s11-0503호
- 연자: 허형삼 박사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 신약개발지원센터 선임연구원)
- 발표주제: 국내외 바이오의료 생태계 지원을 위한 오송첨단의료산업진흥재단의 역할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초미세입자의 독성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simulated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sUPM)을 제작하고, 폐 상피세포의 당 대사 변화에 대한 독성 영향을 평가하였으며, 그 기전을 밝혀 이종호, 조완섭 교수 공동연구팀에서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에 2023년 11월 10일 온라인 출판되었습니다.
Park, S.H.*, Kim, G.*, Yang, G.E., Yun, H.J., Shin, T.H., Kim, S.T., Lee, K., Kim, H.S., Kim, S.H., Leem, S.H.*, Cho, W.S.*, Lee, J.H.*. Disruption of phosphofructokinase activity and aerobic glycolysis in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by atmospheric ultrafine particulate matter. Journal of Hazardous Materials. 2024 Feb 15;464:132966. doi: 10.1016/j.jhazmat.2023. Epub 2023 Nov 10.
- 일시: 2022. 11. 02. (목) 오후 4:00 ~ 6:00
- 장소: 자연과학대학 협력형 스마트 강의실(s11-0210)
- 내용: 어학우수자 시상식, 연구실 전공소개, 연구실 랩투어
- 참석대상: 바이오메디컬학과 학부생(전학년)
- 일시: 2023. 10. 25.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5층 s11-0503호
- 연자: 이주석 교수님 (MD Anderson Cancer Center)
- 발표주제: Decoding Cancer Genomes and Its Clinical Implication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3. 09. 27.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최수민 석사과정 (재생의학 연구실)
- 발표주제: Effects of Endoplasmin on Angiogenesis
- 연자: 김주원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Triple diagnosis kit development of upper respiratory tract infection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항균제 nifuratel의 drug repositioning 효과를 보기 위해 알러지 원인세포인 비만세포의 탈과립 제어 효과를 평가하였으며, 그 기전을 밝혀 Int J Immunopathol Pharmacol.에 2023년 9월 14일 출판되었습니다.
항원에 의한 비만세포 FceRI 기전에서 Nifuratel에 의한 Src kinase family의 활성 억제를 통해 비만세포의 탈과립 반응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억제하고 allergic anaphylaxis shock 질환동물모델에서 질환 억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 결과 입니다.
Lee, J.E.*, Choi, M.Y.*, Min, K.Y., Jo, M.G., Kim, Y.M., Kim, H.S., Choi, W.S. Drug repositioning of anti-microbial agent nifuratel to treat mast cell-mediated allergic responses.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pathology and Pharmacology. 2023 Jan-Dec;37:3946320231202349. doi:10.1177/ 03946320231202349. 2023 Sep 14 online published.
- 2023 KAI (Korean Association of Immunologists) international meeting 2023
- 일시: 2023. 09. 13. (Wed) - 09. 16. (Sat)
- 장소: Songdo convensia, Incheon, Korea
- 일시: 2023.08. 30.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김재준 석사과정 (암유전체 연구실)
- 발표주제: Development of Liquid Biopsy Markers in Bladder Cancer
- 연자: 신주현 석사과정 (면역조 연구실)
- 발표주제: Effects of tumor cell-derived factors for inducing immune evasion on IL-10-producing B cell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두드러기 질환 동반 공황장애 및 수면장애 환자 케이스에서 면역요법인 immunoglobulin / histamine complex의 처치를 통해 두드러기 질환의 완해와 공황장애를 비롯한 신경학적 장애 개선을 줄 수 있는 결과를 확인하였습니다. 면역글로불린/히스타민 복합체의 작용기전을 고려할 때, 면역글로불린과 히스타민의 처치는 단순 알러지성 질환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닌 히스타민 매개 증후군으로서 포괄적 관여로 판단할 수 있어 이에 대한 후속 기초 기전연구를 수행중입니다.
Kim, H.S., Noh, G. Effects of the immunoglobulin/histamine complex on panic disorder concurrent with 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a case report. J Med Case Rep. 2023 Jul 28;17(1):341. doi: 10.1186/s13256-023-03937-7.
- 일시: 2023. 06. 28. 수요일 오후 5:00 - 6: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정진혁 박사(동아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구 생명과학과 10학번)
- (현)한국생명공학연구원 노화융합연구단 연구원
- 2023년 한국을빛낸사람들(A.K.A. 한빛사) 논문 제1저자로 게재
- 발표주제: A new AMPK isoform mediates glucose-restriction induced longevity non-cell autonomously by promoting membrane fluidity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3. 06. 28.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박수환 박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The m6A methyltransferase RBM15 drives the growth of triple-negative breast cancer cells through the stimulation of serine and glycine metabolism
- 연자: 이상곤 석사과정 (DNA 손상회복 연구실)
- 발표주제: Discovering the role of DHX9 in Nucleotide excision repair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3. 06. 02. 금요일 오후 2:00 - 6:00
- 장소: 부산 해운대 파크하얏트
- 바이오메디컬학과 컨소시엄(임선희, 고상석, 이종호, 김혁순, 신태환 교수) 연구진의 다중오믹스 기반 액체생검 진단 바이오마커 기술을 부산 소재 '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IDC'와 업무협약을 체결하였습니다.
- 일시: 2023. 05. 03. 수요일 오후 4:00 - 6: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강민경 박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연자: 류경진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연자: 표승연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연자: 윤혜진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연자: 이수빈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연자: 최성현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식물 유래 엑소좀의 추출 및 약리적 효능은 최근 관심을 갖고 있는 분야이며, 식물 엑소좀이 뼈를 생성하는 조골세포의 분화를 촉진하고 경구 투여시 골다공증 치료에 효과를 확인하여 학계에 보고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안동대 식품영양학과 조영은 교수님, 전북대 인수공통전염병연구소 김도균 교수님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저널은 저널 인용 보고서 JCR (Journal Citation Reports)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11.467으로, 약리약학 분야 학술지 중 상위 4%에 해당하는 세계적인 학술지에 게재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Hwang, J.H.*, Park, Y.S.*, Kim, H.S.*, Kim, D.H., Lee, S.H., Lee, C.H., Lee, S.H., Kim, J.E., Lee, S.K., Kim, H.M., Kim, H.W., Lim, J.H., Song, B.J., Kim, D.K.*, Baek, M.C.*, Cho, Y.E.* Yam-Derived Exosome-Like Nanovesicles Stimulate Osteoblast Formation and Prevent Osteoporosis in Mice.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023 Mar 31;355:184-198.
- 일시: 2023. 03. 29.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양기은 박사과정 (암유전체학 연구실)
- 발표주제: Study on the CD 73 as a Mediator of Anticancer Drug Resistance in Bladder Cancer cells
- 연자: 전제석 석사과정 (DNA 손상회복 연구실)
- 발표주제: The senomorphics effect of SIRT 1 activators on the nucleotide excision repair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2년간의 노력으로 석사 학위를 취득한 현승연 석사의 졸업 축하합니다.
아울러 COVID-19 팬데믹으로 지난 학기 졸업식을 하지 못한 강민성 석사도 축하합니다.
2023년 3월부터 현승연(프레스티지바이오파마), 강민성(서울아산병원, AMC Science) 석사의 새로운 출발을 기대합니다.
- 일시: 2023. 02. 22.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박정원 석사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The negative role of histamine in inflammatory immune disorders
- 연자: 윤혜진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AMPK-HIF-1α signaling promotes de novo serine biosynthesis of glioblastoma under the restricted serine and glycine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동아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 김혁순 교수의 논문이 최근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이하 한빛사)' 논문에 선정됐다고 2월 14일 밝혔습니다. 바이오메디컬학과 김혁순 교수와 전북대·경북대·안동대 공동연구팀이 약리·약학 분야 세계적 권위지인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 2월호 온라인 판에 게재되었습니다.
‘Journal of Controlled Release’은 저널 인용 보고서인 JCR(Journal Citation Reports)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11.467로, 약리·약학 분야 상위 4%에 해당하는 세계적인 학술지이며, 선정된 논문 제목은 ‘Yam-derived exosome-like nanovesicles stimulate osteoblast formation and prevent osteoporosis in mice(마 유래 엑소좀의 조골세포 형성 유도와 골다공증 억제 효과)’입니다.
김혁순 교수를 비롯한 공동연구팀은 ‘miRNA’, 생체 활성 지질, mRNA 및 단백질 등을 함유한 식물 방출 엑소좀 유사 나노베지클(PEN)이 항산화, 항염증 및 재생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과 ‘참마 유래 추출 식물 방출 엑소좀 유사 나노베지클 물질이 뼈 재생에서 조골세포 성장을 촉진해 골다공증을 완화, 예방한다’는 점을 학계에 보고하였습니다. 또 경구 투여된 식물 유래 엑소좀은 위장관으로 수송돼 소장을 통해 흡수된다는 것도 확인하였습니다.
연구팀은 이 같은 결과가 ‘조직학적 분석 및 간·신장 독성 시험에 의해 결정된 우수한 전신 생체안전성으로, 골다공증 치료에 보다 안전하고 경구적으로 효과적인 약제로 작용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습니다. 김혁순 교수는 “식물 유래 엑소좀의 조골세포 활성 유도와 골다공증 치료 효과를 확인했을 뿐만 아니라 경구투여를 통한 약제적 용이성을 확인했다는 것이 이번 연구의 큰 성과”라며 “새로운 염증성 면역질환 치료제나 백신 등 경구 약물전달체로 응용할 수 있는 신규 연구 분야 창출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라고 전하였습니다.
희귀성 및 난치성 질환인 호산구성 대장염 환자에서 MSG 매개 질병의 발달을 분석하였고, 면역요법인 immunoglobulin/histamine complex의 처치를 통해 면역병리학적 질환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또한 히스타민 매개한 통증의 조절 효과를 임상학적으로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노건웅 제주한라병원 임상면역 센터장님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Kim, H.S., Noh, G. Treatment of Primary Eosinophilic Colitis Using Immunoglobulin/ Histamine Complex. Clinical Case Reports. 2023 Jan 20;11:e6885. doi: 10.1002/ccr3.6885.
2023년 01월 02일 계묘년
2022년 한해를 돌아보고 2023년 새로운 목표와 마음가짐으로 면역조절연구실 연간미팅과 시무식을 진행하였습니다.
Gout is an inflammatory arthritis of the joints and soft tissues occurring due to deposition of monosodium urate (MSU) crystals, which are caused by persistent hyperuricemia. Soyeom pharmacopuncture is one treatment method that has been traditionally used for pain management in Oriental medicine. Soyeom pharmacopuncture reduced foot edema in gout-induced mice, as well as IL-1β, nitrite, IL-6, and TNF-α production. Moreover, Soyeom pharmacopuncture also reduced MSU-induced gout inflammatory gene expressions, specifically those in the NF-kB pathway.
Pharmacopuncture may serve as a new solution for other inflammatory diseases
as well. Through active follow-up studies, we could thoroughly understand the clinical
value of Soyeom pharmacopuncture.
Kim, S.W.*, Lee, J.H.*, Kim, H.*, Lee, S.H., Jeong, D., Kim, H.S., Lee, C-J., Kim, D.Y., Yook, T.H., Yang, G. Improvement Effect of Soyeom Pharmacopuncture on Gout via NLRP3 Inflammasome Regulation. Journal of Pharmacopuncture 2022 Dec 31;25(4):396-403. doi: 10.3831/KPI.2022.25.4.396
- 일시: 2022. 12. 28.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최형록 박사과정 (재생의학 연구실)
- 발표주제: Isolation of lizard-derived bioactive materials and confirmation of biological effects
- 연자: 이수빈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The functional studies of PFKP dimethylation in brain tumor metabolism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Dong-A University)(Dong-A University)- 일시: 2022. 12. 02. 금요일 10:40 - 15:00
- 장소: 온라인 ZOOM meeting
- 연자: 박송영 교수 (University of Nebraska omaha)
- 발표주제: Attenuated vascular mitochondrial function and microcirculation in aging and disease
- 연자: 류동렬 교수 (Sunkyunkwan University)
- 발표주제: L-threonine promotes healthsapn by expediting ferritin-dependent ferroptosis inhibition in C. elegans
- 연자: 권민혁 교수 (California state polytechnic University)
- 발표주제: Inability to produce fast contraction with aging
- 연자: 염창홍 교수 (Dong-A University)
- 발표주제: Classification of parkinson's disease with freezing of gait based on 360 turning analysis using 36 kinematic features
- 연자: 김보현 (Dong-A University)
- 발표주제: Association of muscle mass, muscle strength, and muscle function with gait ability assessed using inertial measurement unit sensors in older women
- 연자: Thapa Ngeemasara (Dong-A University)
- 발표주제: The relationship between objectively measured physical activity, sleep behaviour, and cognitive and brain health in older adults
- 일시: 2022. 11. 10. (목) 오후 4:00 ~ 6:00
- 장소: 자연과학대학 협력형 스마트 강의실(s11-0210)
- 내용: 연구실 전공소개, 랩투어
- 참석대상: 바이오메디컬학과 학부생(전학년)
- 일시: 2022. 11. 09. 수요일 오후 3:30 - 5:3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김연정 박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Identification of the mechanisms of PAUF-mediated monocyte activation and development of a therapeutic antibody
- 연자: 윤소은 박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PAUF induces the migration of human pancreatic cancer cells exclusively through the TLR4/MyD88/NF-κB signaling pathway
- 연자: 홍다은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Identification of PAUF's role in pancreatic stellate cell activation and consequent PDAC migration
- 연자: 류혜림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Development of PAUF detection method using sandwich ELISA experimental technique for diagnosis of pancreatic cancer
- 연자: 현승연 석사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Embryonic stem cel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relieve experimental urticaria by regulating the functions of mast cells and T cell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2. 10. 27. 목요일 오후 4:00 - 6: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류경진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A blocking of CTHRC1 attenuates liver fibrosis by inhibiting the activation of Hepatic stellate cells
- 연자: 표승연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Optimization of immunogenicity assay in vitro for therapeutic antibody
- 연자: 임향은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Improving humanized antibody production by human framework grafting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2022 International Conference of the Genetics Society of Korea (ICGSK)
- 일시: 2022. 10. 12. (Wed) - 10. 14. (Fri)
- 장소: Ramada Plaza, Jeju, Korea
- 일시: 2022. 10. 06. 목요일 오후 4:3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5층 s11-0501
- 연자: 이준호 대표, (주)다카포 대표,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교수
- 강연내용: 바이오 분야의 bench-to-market
산학연협력선도대학육성사업(LINC3.0) 일환으로 산학연연계취업역량강화교육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습니다. 금번 행사는 "바이오헬스 첨단기술 기반 규제과학 인재육성 프로그램"에서 건강기능성식품업체인 (주)다카포 이준호 대표님을 모셔 바이오 분야의 연구과정과 시장진출 관련 내용의 특강을 진행하여 주셨습니다.
2022년 10월 4일 동아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구 생명과학과) 소속 대학원생 및 인턴 연구생들 모임을 진행하였습니다.
코로나 펜데믹 기간으로 교류가 부족했던 각 연구실 소속 대학원생간 소통과 바이오메디컬학과 신임교원이신 신태환 교수님과의 인사자리를 가졌습니다.
- 일시: 2022. 09. 21. 수요일 오후 4:00 - 6: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강민경 박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Identification of the role of metastatic factor CTHRC1 in desmoplasia and development of anti-CTHRC1 therapeutic antibody
- 연자: 윤소은 박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PAUF induces the migration of human pancreatic cancer cells exclusively through the TLR4/MyD88 signaling pathway
- 연자: 홍다은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Functional verification in activated pancreatic stellate cell induced by PAUF
- 연자: 류혜림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Detection of PAUF with sandwich ELISA for pancreatic cancer diagnosis
- 연자: 현승연 석사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Effect of Mesenchymal stem cell in Contact Urticaria mouse model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동아대학교 바이오메디컬학과 김혁순 교수의 논문이 최근 생물학연구정보센터(BRIC)의 '한국을 빛내는 사람들(이하 한빛사)' 논문에 선정됐다고 9월 3일 밝혔습니다. 선정된 논문 제목은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질환 완해(사실상의 완치)에 대한 항체-히스타민 복합체의 효과’입니다.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질환은 삶의 질을 현저하게 저하시키는 난치성 질환으로 현재까지 명확한 치료법이 부족해 대부분 일시적 완화 효과를 보이는 항히스타민제 처방으로 제한되어 왔습니다.
항체-히스타민 복합체 처치를 통해 12주 요법으로 40%, 36주 요법으로 71.4%의 환자가 두드러기 및 가려움 등 증상이 기존 두드러기 약을 복용하지 않고도 완전히 소실되고, 이후 증상 발현이 없는 완해 효과를 확인했습니다. 연구팀은 또 치료를 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혈중 알레르기 검사를 통해 108명의 환자 중 77명(71.3%)이 혈액 내 호산구, 호염구 수치와 혈청 IgE 수치 등이 모두 정상범위임을 확인, 만성두드러기의 면역학적 지표 개선 효과도 확인했습니다.
김혁순 교수가 제1저자로, 제주한라병원 알레르기 임상면역센터의 노건웅 센터장이 교신저자로 이름을 올린 이번 논문에서 공동연구팀은 ‘항체-히스타민 복합체’ 치료를 받은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71.4%에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질환 완해(사실상의 완치) 효과를 확인, 학계에 보고하는 성과를 거뒀습니다. 논문은 향후 피부질환 및 두드러기 치료에 활용될 수 있음을 인정받아 9월 알레르기 분야 최고 학술지인 알러지(Allergy)에 게재됐습니다.
Effects of the Immunoglobulin/Histamine Complex in 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Focusing on Remission Induction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질환 완해에 대한 항체-히스타민 복합체의 효과)라는 논문 주제로 병원에 내원한 ‘항체-히스타민 복합체’ 치료를 받은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71.4%에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질환 완해(사실상의 완치) 효과 확인을 학계에 보고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제주한라병원(병원장 김성수) 알레르기임상면역센터 노건웅 센터장님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Allergy’ 저널은 저널 인용 보고서 JCR(Journal Citation Reports)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14.710이고, 알레르기 분야 학술지 중 1위(상위 1%), 면역학 분야 학술지 중 9위(상위 5%)에 해당하는 세계적인 학술지인 ‘Allergy’ 저널에 게재하는 쾌거를 이뤘습니다.
Kim, H.S., Noh, G. Effects of the immunoglobulin/histamine complex in 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focusing on remission induction. Allergy. 2022 Sep 01;77(9):2846-2848. doi: 10.1111/all.15381.
- 일시: 2022. 08. 31. 수요일 오후 4:00 - 6: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강민경 박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The role of CTHRC1 in pancreatic stellate cells and desmoplasia
- 연자: 김민재 학석사과정 (재생의학 연구실)
- 발표주제: Study on chondrocyte differentiation using Lizard-derived Factors in Hydrogel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2. 06. 29.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표승연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Immunogenicity test of anti-PAUF antibody
- 연자: 임향은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Screening of anti-PAUF antibody using phage display at immune library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항체-히스타민 복합체 치료법’으로 난치성 만성 두드러기 질환 완치 성과 및 프로토콜 발표'
동아대학교(총장 이해우)는 바이오메디컬학과 김혁순 교수와 제주한라병원(병원장 김성수) 알레르기임상면역센터 노건웅 센터장 공동연구팀이 알레르기 임상면역학 분야 세계 최고 권위지인 ‘Allergy’에 논문을 게재했다고 2일 밝혔다.
‘Allergy’ 저널은 저널 인용 보고서인 JCR(Journal Citation Reports) 저널 임팩트 팩터(Journal Impact Factor) 14.710으로, 알레르기 분야 학술지 중 1위(상위 1%), 면역학 분야 학술지 중 9위(상위 5%)에 해당하는 세계적인 학술지다.
이번 논문 제목은 ‘Effects of the Immunoglobulin/Histamine Complex in Chronic Spontaneous Urticaria Focusing on Remission Induction(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질환 완해에 대한 항체-히스타민 복합체의 효과)’다.
이번 논문에서 공동연구팀은 ‘항체-히스타민 복합체’ 치료를 받은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71.4%에서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질환 완해(사실상의 완치) 효과를 확인, 학계에 보고하는 성과를 거뒀다.
Immunoglobulin/histamine complex의 처치에 의해 대표적 자가면역질환인 건선(psoriasis)의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반복 투여를 통해 염증반응 억제 기전을 확인하였고 새로운 적응증에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노건웅 제주한라병원 임상면역 센터장님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Kim, H.S., Noh, G. Immunotherapy Using Histobulin In Psoriasis: A Case Report. Clinical Case Reports. 2022 May 12;10:e05831. doi: 10.1002/ccr3.5831.
- 일시: 2022. 05. 11. 수요일 오후 4:00 - 6: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정미소 박사과정 (암유전체학 연구실)
- 발표주제: Identification of Metastatic Biomarkers in Chemoresistant Bladder Cancer Cells
- 연자: 강민성 석사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The effects of ultrafine particles on IgE-mediated mast cell activation and allergic responses
- 연자: 박수환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The mechanistic studies of metformin on the regulation of immune checkpoint proteins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종양미세환경(tumor microenvironment) 구성에 포함되는 기질세포(stromal cells)는 종양세포의 발달과 억제 등 다양한 종양면역 기전에 참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러한 기질세포는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며 서로 상호작용하는 면역세포와의 종양미세환경 특이적 기전에 따라 pro-tumorigenic 또는 anti-tumorigenic한 기능을 나타냅니다. Cancer-associated fibroblasts, Tumor-endothelial cells, Cancer-associated adipocytes, Mesenchymal stem cells를 중심으로 주변 면역세포와의 양면적 상호작용에 대한 연구입니다. 본 연구는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Frontiers in Immunology 온라인판에 게재되었습니다.
Mun, J-Y., Leem, S-H., Lee, J.H., Kim, H.S. Dual relationship between stromal cells and immune cells in the tumor microenvironment. Frontiers in Immunology. 2022 Apr 6;13: 864739.
염증성 관절염 질환에서 NLRP3 inflammasome은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잘 알려져 있으며, 이를 표적으로 하는 천연 추출물 신규 치료전략에 대한 연구입니다. 본 연구는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Frontiers in Pharmacology 온라인판에 게재되었습니다. 해당 연구는 우석대학교 한의과대학 양갑식, 이준호 교수님과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Lee, J.H.*, Kim, H.S., Yang, G.*, Kim, H. J.* Natural Products as a Novel Therapeutic Strategy for NLRP3 Inflammasome-Mediated Gout. Prontiers in Pharmacology. 2022 Mar 16; 13: 861399.
- 일시: 2022. 02. 23.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류경진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A blocking of CTHRC1 attenuates liver fibrosis by inhibiting the activation of Hepatic stellate cells
- 연자: 전제석 학사과정 (DNA 손상회복 연구실)
- 발표주제: The senomorphics effect of SIRT1 activators on the nucleotide excision repair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2. 01. 26.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현승연 석사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The application study for cell therapy in autoimmune diseases
- 연자: 류혜림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Detection of PAUF with sandwich ELISA for pancreatic cancer diagnosi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12th 2022 Korean Society for Biochemistry and Molecular Biology Winter Workshop
- 일시: 2022. 01. 12. (Wed) - 01. 14. (Fri)
- 장소: Vivaldi Park, Hongcheon, Korea
NK(자연살해)세포는 고전적으로 세포독성을 유발하는 대표적인 선천성 면역세포로 알려져 있지만 신체의 면역관용을 유도하는 면역조절 표현형에 대해서는 그 연구가 전무하였습니다. 본 연구를 통하여 아토피성 피부염과 같은 과민성 염증질환 환자에서 TGF-beta+ NK세포가 결핍되어 있었고 이러한 TGF-beta를 분비하는 면역조절 NK세포는 마우스에서 CD1dhiPD-L1hiCD27+한 NK세포에서 주로 발현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면역조절 NK세포를 분리하여 동종 면역질환군에 입양면역 세포치료시 주요 염증성 면역세포의 활성이 감소되고 질환 개선이 나타나는 것을 확인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민근영 (박사과정) 학생과 구지모 (현 (주)CELLID) 석사의 주도로 수행되었습니다.
Min, K.Y.*, Koo, J.*, Noh, G., Lee, G., Jo, M.G., Lee, J., Kang, M., Hyun, S.Y., Choi,W.S.*, Kim, H.S.* CD1dhiPD-L1hiCD27+ regulatory natural killer subset suppresses atopic dermatitis. Frontiers in Immunology. 2022 Jan 5;12: 752888.
- 일시: 2021. 12. 29.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양기은 박사과정 (암유전체학 연구실)
- 발표주제: CD73 is Associated with Chemo resistance in Bladder Cancer Cell Line
- 연자: 홍다은 석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Verification of PSC activation by PAUF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만성 두드러기(CU) 환자에서 정신과적 동반 질환이 보고되고 있으며, immunoglobulin /histamine complex의 처치에 의해 만성 자발성 두드러기 환자의 정신과적 증상 (우울증 및 불안 등)의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습니다. 이러한 억제 기전을 통해 알러지와 정신질환의 상관성을 예상할 수 있으며, 히스타민 매개 기전을 통해 알레르기성 정신질환 또는 히스타민 매개 정신질환 등의 연관성을 확인할 수 있으며, 기초연구를 통해 세부 기전을 규명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 해당 연구는 노건웅 제주한라병원 임상면역 센터장님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Kim, H.S., Noh, G. Effects of Histobulin (Immunoglobulin/Histamine Complex) on Depression and Anxiety in Chronic Urticaria: Psychiatric Manifestations or Psychiatric Comorbidities of Chronic Urticaria: A case report. Journal of Clinical and Experimental Immunology. 2021 Nov 27;6(6): 373-379.
- 일시: 2021. 11. 25. 목요일 오후 3: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임제선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The Mechanistic Studies of Mutual Regulation between Phosphofrucokinase 1 Platelet Isoform and VEGF in the Glioblastoma Growth
- 연자: 전소미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The role of Phosphofructokinase 1 Platelet Isoform in the Wnt3A-induced Tumor Development
- 연자: 강민성 석사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Ultra Fine Particles influence to IgE-mediated mast cell activation and allergic responses
- 연자: 박수환 학석사연계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Metformin suppresses glioblastoma immune evasion via downregulation of PD-L1 expression in glioblastoma cells and PD-1 expression in T cells and NK cell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Immunoglobulin /histamine complex (HistobulinTM)의 반복 처치에 따라 만성 두드러기 환자의 증상 개선 효과를 확인한 논문을 게재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난치성 피부질환인 만성 두드러기의 임상 치료 접근에 새로운 치료법으로 적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됩니다. 일시적 그리고 완화적 처치에 제한된 피부질환 극복에 완치의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한 후속 기전 연구를 활성화하고 있습니다. 해당 연구는 노건웅 제주한라병원 임상면역 센터장님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Kim, H.S., Noh, G. Induction of remission in chronic urticaria by immunotherapy using immunoglobulin /histamine complex (HistobulinTM): A case report . Allergy, Asthma & Clinical Immunology. 2021 Nov 12;17(1):116.
- 8th Federation of Immunological Societies of Asia-Oceania (FIMSA) Congress, Immunology for Humanity
- 일시: 2021. 10. 31. (Sun) - 11. 03. (Wed)
- 장소: BEXCO, Busan, Korea
HDAC 억제제인 Entinostat (MS-275)에 의해 항염증 효과를 나타내는 대표적 면역조절세포인 조절 B 세포 (Breg)의 활성 증가와 이를 통한 접촉성 과민증 피부질환의 염증 억제 효과를 확인한 논문을 개제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기존 항암치료제 개발에 집중되었던 HDAC 억제제의 적응증을 높이고 면역조절 기능을 제어할 수 있는 새로운 후성유전학적 기전을 제공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민근영 (박사과정) 학생과 이민범 (pilot study) 박사의 주도로 수행되었습니다.
Min, K.Y., Lee, M.B., Hong, S.H., Lee, D., Jo, M.G., Lee, J., Choi, M.Y., You, J.S., Kim, Y.M., Park, Y.M., Kim, H.S.*, Choi, W.S.* Entinostat, a histone deacetylase inhibitor, increases the population of IL-10+ regulatory B cells to suppress contact hypersensitivity. BMB Reports. 2021 Oct 31;54(10): 534-539.
- 일시: 2021. 10. 27.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최형록 박사과정 (재생의학 연구실)
- 발표주제: The study on skin regeneration and differentiation by the lizard tail regeneration factor ENPL
- 연자: 서형대 석사과정 (DNA 손상회복 연구실)
- 발표주제: srGAP2 facilitates DNA replication by regulating CHK1 activation in response to replication stres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아토피성 피부염 및 만성 두드러기 질환 치료에 대해 중간엽 줄기세포를 이용한 세포치료제 도입의 고려사항 및 임상적용에 대한 면역병리적 해석의 중요성을 제공하였습니다. 해당 연구는 노건웅 제주한라병원 임상면역 센터장님과 (주)미래셀바이오와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Kim, E-Y.*, Kim, H.S.*, Hong, K-S., Chung, H-M., Park, S-P.*, Noh, G.* Mesenchymal stem/stromal cell therapy in atopic dermatitis and chronic urticaria: immunological and clinical viewpoints. Stem Cell Research & Therapy. 2021 Oct 11;12(1):539.
- 일시: 2021. 09. 28. 화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윤소은 박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Identification of the receptor for PAUF in pancreatic cancer
- 연자: 박수환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Effect of particulate matter on metabolism of human bronchial epithelial cell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1. 08. 25.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강민경 박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The role of CTHRC1 in pancreatic stellate cell and desmoplasia
- 연자: 전소미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PFK Activation Is Essential for the Odontogenic Differentiation and Blockade of PD-L1/PD-1 Signaling Promotes the Odontogenic Differentiation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염증인자인 RANKL에 의한 파골세포 분화 과정에 따라 O-GlcNAcylation에 관여하는 유전자의 변화를 분석하였고 이를 타겟하는 억제제 매개 파골세포의 분화 기전 제어 효과를 규명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골관절 질환의 악화에서 O-GlcNAcylation을 표적하는 치료적 접근을 제안하여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에 게재되었습니다. 해당 연구는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생화학교실 유정수 교수님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Kim, M.J.*, Kim, H.S.*, Lee, S. Min, K.Y., Choi, W.S., You, J.S. Hexosamine Biosynthetic Pathway-Derived O-GlcNAcylation Is Critical for RANKL-Mediated Osteoclast Differentiation. International Journal of Molecular Sciences. 2021 Aug; 22(16): 8888.
- 일시: 2021. 06. 30.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정미소 박사과정 (암유전체학 연구실)
- 발표주제: Characterization of the molecular evolution for gemcitabine resistance in bladder cancer cell lines
- 연자: 임제선 석사과정 (암대사학 연구실)
- 발표주제: Mutual Regulation between Phosphofructokinase 1 platelet isoform and VEGF Promotes Glioblastoma Tumor Growth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1. 05. 18. 화요일 오후 3: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문정연 박사과정 (암유전체학 연구실)
- 발표주제: Characterization of secretory STC1 during molecular evolution for drug resistance in bladder cancer cells
- 연자: 김혜령 석사과정 (재생의학 연구실)
- 발표주제: Differentiation of tonsil-derived mesenchymal stem cells into chondrocytes by lizard tail extract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일시: 2021. 05. 13. 목요일 오후 4:00 - 6:00
- 장소: 생명자원과학대학(s09) 2층 회의실
- 연자: 강태흥 교수님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 발표주제: Control of innate immune-checkpoint for cancer therapy
항암치료에 적용할 수 있는 면역관문 인자에 대한 소개와 신규 선천성 면역관문 인자에 대한 연구 및 이를 활용한 치료법 개발의 결과를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강태흥 교수님께서 강연해 주셨습니다.
- 일시: 2021. 05. 13. 목요일 오후 4:00 - 6:00
- 장소: 생명자원과학대학(s09) 2층 회의실
- 연자: 한희동 교수님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 발표주제: Nanoparticle-based approach for cancer therapy
항암치료에 활용 가능한 나노소재 기반 치료제 개발 연구 동향과 연구 결과에 대해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 한희동 교수님께서 강연해 주셨습니다.
- 일시: 2021. 04. 28.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김연정 박사과정 (종양복잡계 연구실)
- 발표주제: PAUF differentiates monocyte into a tumor associated macrophage to induce immune evasion mechanisms
- 연자: 강민성 석사과정 (면역조절 연구실)
- 발표주제: Introduction of Lab. Immune Regulation and Study on ultrafine particles in mast cell mediated allergic disease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대표적인 글루타민 대사체인 aKG의 체내 새로운 기능을 발굴하였습니다. aKG가 ROS를 조절하여 골관절염 질환을 악화하는 파골세포의 활성을 제어하는 연구결과를 저명한 국제학술지인 Bone에 게재되었습니다. 해당 연구는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생화학교실 유정수 교수팀과의 공동연구로 수행되었습니다.
새로운 연구분야를 확장하는데 많은 노력을 한 이상용 박사과정생 고생하셨고 축하드립니다.
Lee, S.Y.*, Kim, H.S.*, Kim, M.J., Min, K.Y., Choi, W.S., You, J.S. Glutamine metabolite α-ketoglutarate acts as an epigenetic co-factor to interfere with osteoclast differentiation. Bone. 2021 Apr;145:115836.
- 일시: 2021. 03. 31. 수요일 오후 4:00 - 5:00
- 장소: 자연과학대학(s11) 2층 협력형 강의실
- 연자: 이태희 박사 (DNA 손상회복 연구실)
- 발표주제: Isoquercetin enhances nucleotide excision repair by promoting recruitment of XPA to UV-induced DNA damage
- 연자: 조아라 박사 수료생 (재생의학 연구실)
- 발표주제: The Study on the Biological Applications of New Substances
*바이오메디컬학과 대학원생/학부 연구생들의 많은 참여 바랍니다.
- 생명과학과 이종호·김혁순 교수, 화학과 박명기 교수 등 ‘젊은 교수 3인방’ 눈길
- 역량 있는 우수 신진 과학자 지원 사업, 3명 합쳐 연구비 16억 여 원 지원받게 돼
동아대학교(총장 이해우)는 자연과학대학 이종호·김혁순(생명과학과, 2021학년도부터 바이오메디컬학과) 교수와 박명기(화학과) 교수가 국가 연구비 지원 사업에 잇따라 선정됐다고 18일 밝혔습니다. 30대 후반에서 40대 초반인 ‘젊은 교수 3인방’은 올해 한국연구재단의 ‘신진 연구자 지원사업’에 이어 ‘최초혁신실험실’ 사업에도 선정되는 겹경사를 맞았습니다. 이로써 이들 교수 3명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연구재단으로부터 모두 16억180만 원의 연구비를 지원받게 되었습니다.
현 "지아이바이옴"에서 근무하고 있는 "김아람 박사"와 공동 진행한 조절 B 세포의 우유 알러지 억제 기전 논문 (Sci Rep 2016 6:19685)이 BRIC (생물학연구정보센터) 주관 최근 한국을 빛낸 사람들 (이하 한빛사) 추천논문으로 선정 되었습니다. 김아람 박사님과 함께한 조절 B 세포 연구가 나름의 인정을 받는 것 같습니다.
Faculty of 1000 Biology 선정 논문
추천사유: Hogan S: Faculty Opinions Recommendation of [Kim AR et al., Sci Rep 2016 6:19685]. In Faculty Opinions, 22 Jul 2020; 10.3410/f.726087144.793576842
건국대학교 의과대학 면역학교실 이다정, 박영환 박사의 논문이 Biomolecules & Therapeutics에 온라인판으로 출판되었습니다.
항원에 의한 비만세포 FceRI 기전에서 Dasatinib에 의한 Src kinase family의 활성 억제를 통해 비만세포의 탈과립 반응과 염증성 사이토카인 분비를 억제하고 allergic anaphylaxis shock 질환동물모델에서 질환 억제 효과가 있음을 보여주는 연구결과 입니다.
Lee, D.*, Park, Y.H.*, Lee, J.E., Kim, H.S., Min, K.Y., Jo, M.G., Kim, H.S., Choi, W.S., Kim, Y.M. Dasatinib Inhibits Lyn and Fyn Src-Family Kinases in Mast Cells to Suppress Type I Hypersensitivity in Mice. Biomolecules & Therapeutics. 2020 Sep 1;28(5):456-464.
2013년부터 2020년까지 7년간 근무한 서울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의학과에서의 근무를 마무리하고 부산 동아대학교 자연과학대학 바이오메디컬학과로 연구실이 이전되었습니다.
2019년 12월 23일 송년을 기념하여 건국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면역학교실 최완수 교수님 주관하에 서울 건대입구에서 졸업생 및 재학생 송년 모임을 가졌습니다.
졸업생 참석
김지완 박사님, 이준호 박사님, 박상웅 박사님(생리학교실), 김혁순 박사님, 이욱 박사님(울산의대), 신경철 박사님(생리학교실), 구지모 석사님
재학생 참석
이다정 박사과정, 이민범 박사과정, 민근영 박사과정, 조민근 석사과정, 이지언 석사과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