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cademic community/Lab News
일시(Date/Time) : 2024.11.11
협약명(Title) : 홍수관리 디지털트윈 플랫폼 고도화를 위한 AI-Surrogate 기술 실용화 (Commercialization of AI-Surrogate Technology for the Advancement of the Flood Management Digital Twin Platform)
체결기관(Partner Institute) : 한국수자원공사(K-water)
내용(Agreements) : △상호 간 연구개발·정책 개발·인력육성을 위한 협력 △과학기술 성과실용화를 위한 콘퍼런스·포럼·교육 프로그램 운영 △기관 간 인적 및 물적 자원의 상호 교류
일정(Periods) : 2024.9.29~10.3
장소(Venue) : Bharat Mandapam, New Delhi, India
발표(Presentation) : APG(Asia-Pacific Group) 세션에서 Country Report 발표
특기사항(Special Note) : 2027년 연차회의 대전(대한민국) 유치 결정 (Decision to host the 2027 Annual Meeting in Daejeon, South Korea, made at the General Assembly).
성명(Name) : Devita Mayasari
국적(Nationality) : Indonesia
과정(Academic Program) : Ph.D
초청자격 및 기관(Scholarship and Invitation Institute) : 2024 Global Korea Scholarship Program / National Institute for International Education(NIIED) under the Ministry of Education, Republic of Korea
기간(Period) : '24.9.1 ~ '28.8.31
일시(Date/Time) : 2024.6.3-7
주제(Theme) : Sustainable Development and Management of Dams and Reservoirs for Future Generations
발표(Presentation) : AI-driven digital twin technology for flood control in the multi-purpose dam operations (B.S. Kang, J.Y. Sung, T.H. Kim)
주관부처 : 환경부
Organizing department : Ministry of Environment
기간 : '23.5.12 ~ '25.5.11
Period : '23.5.12 ~ '25.5.11
기간(Period) : '23.5.21~25
장소(Venue) : Green Valley Ranch Resort & Spa, Henderson, Nevada, USA
발표(Presentation) :
KANG, Boosik & Eunji KIM : Application of CRE hypothesis in Yongdam Dam basin using flux evapotranspiration measurements
SUNG, Jiyoung & Boosik KANG : Dams inflow frequency analysis by non-exceedance percentiles using bivariate Copula model
기간 : '23.5.17 ~ '25.5.16
Period : '23.5.17 ~ '25.5.16
Presentation at the session 'Hydro-Climatic Prediction for Effective Management of Water Resources'
Presentation at the session 'Hydroclimotology of Droughts : Past, Present and Future'
Green Valley Ranch Conference main hall
Hoover Dam
주관부처 : 경기도
Organizing department : Gyeonggi-do
기간 : '23.5.17 ~ '25.5.16
Period : '23.5.17 ~ '25.5.16
주관부처 : 환경부
Organizing department : Ministry of Environment
기간 : '23.4.17 ~ '25.4.16
Period : '23.4.17 ~ '25.4.16
목적 : 학부 강의(Hydrology) 및 학술교류
Purposes : lecture (Hydrology) and academic exchange
피초청자 : 강부식교수
Invited guest : prof. KANG Boosik
초청기관 : 인도 Vellore공대
Hosting institute : Vellore Institute of Technology, Tamil Nadu, India
Invited by prof. Elango Lakshimanan (Anna University, Chennai),
prof. Parimala S Langanayaki (Vellore Institute of Technology)
기간(Period) : 2022.6.28 ~ 8.31
사업명 : 기후위기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개발사업
Title : Innovative technology development project for flood defense capability in response to climate crisis
주관 : 환경부/환경산업기술원
Organized by the Ministry of Environment/KEITI(Korea Environmental Industry & Technology Institute)
과제명 :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홍수방어시설 초연결 최적운영 기술개발
Title : Development of hyper-connected optimal operation technology for flood defense infrastructures against extreme floods
컨소구성 : 단국대(주관), K-Water(위탁), 성균관대(공동), 국민대(공동), 매그파이소프트(공동), 코아텍(공동), 지안(공동)
Consortium : Dankook univ(Main), K-water, Sungyunkwan univ, Kookmin univ, Magpiesoft, Coretech, Zian
연구비 : 약59억
Budget : 5.9B KWN(5M USD)
연구기간 : '22~'26(5년)
Period : '22~'26(5years)
연구목적 : 고밀도 고정밀 하천계측정보를 바탕으로 홍수모니터링, 홍수량 분석, 피해 예측, 시설운영 의사결정에 이르는 지능형 통합원스톱 홍수관리 플랫폼 요소기술 개발하고, 이를 하천합류부, 하류제약 취약구간, 극한홍수사상 등 다양한 조건 및 테스트베드 상에서 실증 및 적용성 평가
Objectives : Based on high-density and high-precision river measurement information, we develop elemental technologies for an intelligent integrated one-stop flood management platform ranging from flood monitoring, flood analysis, damage prediction, and facility operation decision-making / test and applicability evaluation over various extreme conditions
일시/장소 : 2022.5.20/부산BPEX
주제 : 대전환시대 글로벌 물관리 스탠더드 선점을 위한 정책 및 기술 발전방안
발표
[제도] 기후스트레스 시나리오에 따른 댐운영방안 (우동국교수, 계명대)
[인프라] 국민물안심을 위한 통합물관리 미래과제 (이명주부장, K-Water)
[디지털] Towards the next generation of water systems (전창현교수, 중앙대)
[물산업] 우리나라 물산업의 해외진출전략 (류문현수석/K-Water)
일시 : 2022.5.6(금)
견학장소 : 소양강 다목적댐 (발전실, 보조여수로 터널점검구, 댐정상 등)
대상 : 학과 학술동아리(하이드로) 회원 약30여명
일시 : 2022.2.21
박민정, 박하응, 성원아, 채동규(4학년)
일시 : 2021.11.24
주관 : 환경부/K-Water
발표제목 : 미래 극한가뭄 시 수자원시설 적응능력 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
원서명 : Stormwater Management for Sustainable Urban Environments
원저자 : Scott Slaney
출판사 : 한티미디어
목차
도시물순환 관리기법과 계획
서론 : 도시물순환 관리기법
"스폰지 시티"의 BMP
신규개발 및 재개발사업의 BMP인증을 위한 일반적 컴플라이언스 절차
도시물순환 BMP 요소 선정과 설계기법
도시물순환 관리 BMP 설계서
서론 : "자가순환형" 공간배치계획 방안
식생여과대와 보존지구로 흐르는 얕은 지표면
불투수면 분리
식생체류지
투수성 포장재
식생 수로
침투
빗물 저류시설
식생 지붕
여과
빗물 습지
발주기관 : 행정안전부
수행기관 : 무한지식공작소(주관), 단국대(공동), 인하대(공동)
과업기간 : '21.6.~'21.12.(6개월)
일시 : 2021.6.18(금)
발주기관 : K-Water
수행기관 : 단국대(책임), 계명대(공동)
과업기간 : '21.6.~'22.3.(10개월)
일시 : 2021.6.15(화)
일시 : 2021.6.8(화)
기획세션 주제 : 한강유역 주요 물문제 및 개선방안
발표 :
- 한강수계 물관리 이슈 및 개선방안, 강부식교수, 단국대학교
- '20년 한강유역 홍수관리 현황 및 개선방안, 유제호부장, Kwater 한강권역본부 유역관리처
일시 : 2021.6.3(목)
제목 : "기상특보, 지역방재 취약성 고려해야"
일본, 토양우량지수까지 생각
일시 : 2021.5.28(금)
제목 : [경인 WIDE]"경안천 팔당취수장, 상류 이전을"… '국가적 차원' 논의 목소리
일시 : 2021.5.17(월)
기사링크 : http://www.kyeongin.com/main/view.php?key=20210516010002947
김은지(사진: 수공학연구실 석박통합과정), 토목직, 본사 미래전략실 발령
조한준(15학번), 토목직, 김천부항댐 발령
정성욱(15학번), 토목직, 수도권지역협력단 가평현대화사업팀 발령
윤효주(15학번), 토목직, 낙동강 수도지원센터 발령
일시 : 2021.5.4(화)
장소 : 1공학관 215호
초청세미나 : 홍석현부사장 (경동엔지니어링 회사 및 주요프로젝트 소개)
참석학생 : 고준연(3학년), 양도균(3학년), 김예은(3학년), 김정우(2학년), 노올바름(2학년), 윤민석(1학년)
일시 : 2021.4.28(수)
장소 : 여의도 전경련회관 컨퍼런스센터 3층 에메랄드홀
주최 : 김용민 국회의원(경기 남양주시병)
주관 : 남양주시
발주기관 : K-Water
수행기관 : 한국수자원학회(단국대(책임), 금오공대(공동))
과업기간 : '21.4.~'22.1.(10개월)
일시 : 2021.4.16(금)
분과명 : 스마트 댐안전 및 운영 분과위원회
주제 : 댐 스마트 안전관리를 위한 디지털트윈 구축기술 세미나
일시 : 2021.3.24(수) 15:30~17:30
발제
- 발제#1 : 디지털트윈과 3D가시화기술 (코아텍 김성모대표)
- 발제#2 : 수공시설물 운영관리 통합플랫폼 (매그파이소프트 김형기대표)
- 발제#3 : 유지관리정보를 고려한 SOC시설물의 디지털화 (IDM 김용한대표)
- 발제#4 : 디지털트윈과 실시간 계측시스템 연계방안 (티엠이앤씨 장정환대표)
일시 : 2020.12.23(수)
주요내용
- 2025년 발사 예정인 수자원위성의 활용방안 모색
일시 : 2020.12.21(월)
발표제목 : 물순환건전화와 극한홍수대응을 위한 지속가능한 하천관리방향(강부식/단국대)
일시 : 2020.12.5(토)
Certificate ID : 26128514
일시 : 2020.11.25(수)
주관 : K-water
주요내용
- 국민 중심의 물관리 실현을 위한 ‘물산업 디지털 전환 대국민 심포지엄’
- 산·학·연이 연계한 연구개발 성과의 공유와 확산을 위한 ‘테크컨퍼런스’
- Kwater 혁신R&D 우수과제(미래 극한가뭄시 생공용수 공급시설 적응능력 평가 및 대응전략 연구) 발표(김은지)
일시/장소 : 2020.11.17(화)/경인아라뱃길
주요내용
- 서해와 한강을 잇는 경인아라뱃길의 건설배경 및 역사 등을 살피고, 순시선에 직접 탑승하여 김포-인천 구간 견학
- 토목환경공학과 강부식 교수님 및 대학원생, 1~4학년 재학생 등 총 23명 참석
일시 : 2020.11.11(수), 제주 신화월드
주요내용
- 특별세션(주관:녹색기술센터) 주제 : 신기후체제 대응 및 그린뉴딜 이행을 위한 과학기술 발전 전략 : 수자원 및 수처리 분야
일시 : 2020.11.4(수), 제주 오리엔탈호텔
주요내용
- 발표 : 기후변동성과 홍수위험증가에 따른 NBS기반의 대응전략
연수주제 : Crossing theory for the radar application in the hydrologic engineering
연수기간 : 2020년 9월 28일 ~ 2020년 10월 24일 (26박 27일)
연수 주관기관 및 호스트 교수 : University of Brescia, Italy / Prof. Roberto Ranzi
주요내용
- 수공학 분야에서의 레이더 활용을 위한 교차이론을 주제로 레이더 강우 자료 기반 면적우량환산계수(ARF) 산정 관련 내용으로 연수를 진행함
- 또한 브레시아 대학교 내 수공학 분야 대학원생들을 대상으로 'Space-time properties of rainfall fields observed in Korea' 발표 진행
인터뷰영상
주관 : 한국수자원학회
일시/장소 : 2020.7.16(금)/건설회관
주요내용
- 노후 되고 있는 물 인프라의 효율적인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에 활용할 4차산업혁명기술 기반의 핵심 스마트기술들을 소개하고 적용방안을 논의
- (발표) 물인프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스마트서비스 플랫폼 구축방안(강부식)
일시 : 2020.5.19(화)
주요내용
- 801억원 상당 '2D/3D 공학설계 및 해석용 소프트웨어 패키지' 50copy 기증
- '벤틀리 런(LEARN) 서버'를 이용한 온라인 교육 실행
Research objectives
The DKU Hydro-intelligence lab aims the following topics.
Interactions among hydrological components in various spatial and temporal scales
Variability and changes of hydrological components and water balances under climate change contexts
- Impacts of actual and potential evapotranspiration on the surface runoff in the low flow regime
- Drought frequency analysis using multivariate Copula models
- Two-component flood frequency analysis using hydrological high resolution radar observations
- Design criteria for flood countermeasures considering uncertainties of climate change
Distributed rainfall-runoff modeling in gauged and ungauged basins
Optimal water resources allocation under complex water sources and water rights
Application of hydrological radars and satellites in water resources managements
- ARF(Areal Reduction Factors) using high resolution radar observations
- Reconstruction of hydrological components in ungauged basins using radars and satellites
Data Science and Machine Learning in hydrologic applications
- Rainfall-runoff prediction using LSTM(Long and Short Term Model)
- CNN/GAN for satellite image denoising
- Downscaling of satellite image using SRCNN
- Image data labeling using Image segmentation/detection with Transfer Learning
- Satellite image synthesis using STGAN
- Multi-crosssectional nonuniform flow analysis using hydo-geometric information retrieved from satellite imagery
- CNN for crack detection of concrete structures
Design of hydrological circulation system in urban water management and disaster prevention
Safety monitoring of dam structures using smart tech (UAV, AI, AR/VR/MR, Digital twin, etc)
Media articles
[2023.5.26 문화일보] [문화논단] '물산업 전문가' 수자원공 사장 절실하다
[2022.6.13 머니투데이] 단국대 강부식 교수팀, '지능형 홍수관리시스템' 개발 사업 선정
[2022.2.4 머니투데이] 국민이 체감할 수 있는 하천관리 일원화를 위해
[2022.1.10 경향신문] 정부 통합물관리정책, ‘북한’ 숙제 안고 출발
[2021.9.9 세계일보] [열린마당] 실효성 있는 치수정책으로 기후위기 대응을
[2021.5.17 경인일보] [경인 WIDE]"경안천 팔당취수장, 상류 이전을"… '국가적 차원' 논의 목소리
[2021.4.28 뉴시스] "성난 민심, 정부 성토... 상수원보호구역 제도개선 토론회"
[2020.12.23 뉴스핌] "수자원위성활용위한전문가토론회개최"
[2020.12.17 KEI보도자료] "KEI, 물관리 전문가포럼 “통합물관리, 과제와 방향은?” 개최"
[2020.11.13 대한뉴스] "서울시의회 김평남 의원, '빗물관리시설의 실효성 향상 연구용역 최종보고회' 참석
[2020.10.19 경기일보] (오피니언) "기후변화시대의 치수정책"
[2020.9.30 대한토목학회지 9월호] "그린 뉴딜, 위기를 기회로"
[2020.8.12 동아일보] (인터뷰) "정부 ‘4대강 합동조사단’ 구성… 둑 터진 낙동강부터 점검한다"
[2020.7.17 이미디어] "4차 산업기술 도입 위한 ‘물인프라 스마트기술 워크숍’ 개최"
[2020.5.30 한국수자원학회지 "물과 미래" 5월호 특집] "물인프라 안전진단 및 유지관리 스마트서비스 플랫폼 구축방안"
[2020.5.30 대한토목학회지 5월호 특집(통합물관리시대, 우리나라 물관리방향)기사] "국내하천의 통합관리이슈와 바람직한 해결방안"
[2020.5.20 헤럴드경제] "단국대, 벤틀리시스템즈와 MOU체결"
[2019.10.31 경안일보] "4차 산업혁명 속 미래 ‘스마트 하천관리’ 머리 맞대"
[2019.7.22 서울신문] "한강관리를 위한 공유하천 공동관리기구 구성 제안"
[2019.4.4 환경부와 친해지구] "통합물관리 정책세미나에서 살펴 본 기후변화대응 수자원 정책 방향"
[2018.8.27 시사코리아뉴스] "낙동강 물문제 해결위해 민관학 한자리에"
[2017.12.14 충남일보] "‘명품 장재천 살리기 정책토론회’ 열린다 "
[2017.10.24 경향신문] "댐관리 일원화, 필요한건 정부의 의지"
[2017.7.25 대한토목학회지 7월호] "도시침수관리체계 일원화를 위한 제언"
[2016.5.3 파이낸셜뉴스] "댐운영, 새 패러다임 논의할 때"
[2016.3.22 뉴스핌] "'2016 토목의 날' 개최..주한 이란대사 국제협력상 수상"
[2015.12.7 국제뉴스] "한국수자원학회, 가뭄심포지엄 8일 개최"
[2015.10.28 국민일보] (학계전문가 진단과 대책) "물관리 주체 너무 분산... 문제있어도 조율 어렵다"
[2015.6.23 기호일보] "K-water 수도권지역본부, 가뭄극복 위한 대책 토론회 개최 "
[2015.3.25 국토매일] "K-water, 통일 물 연구회 발족"
[2016.2.4 워터저널] "기상청·K-water·농어촌공사 물관리 협업"
[2013.7.25 동아일보] "자연재난 대비에 '과잉'은 없다"
[2013.4.24 한국경제] "물안보와 정치논리"
[2012.9.12 국제신문] "세계 물 전문가-기업 부산 집결, 수자원관리-신기술 갈증 푼다"
[2012.8.27 아주경제] "평화의댐 치수능력확보 위한 안전판 필요"
[2009.6.25 한국경제] "10년새 집중호우 빈도 78% 늘어"
[2009.5.22 연합뉴스] "낙동강.섬진강.동해안 연간 강수량 증가"
[2008.12.18 KBS뉴스] "35년간 폭우 빈도 2배 증가…COD 증가로 수질 위협"
[2007.4.24 뉴시스] "서울시, 한강르네상스 전문가 워크숍 개최"
[2007.3.21 서울경제] (시론)"물관리는 영원한 과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