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aduate students (part-time Ph.D course)
Grade
석ㆍ박통합 19학기
Research Projects
- [K-water] 댐 이수안전도 표준화(개선) 방안 마련, 2021
- [K-water] 개방형 혁신 R&D '미래 극한가뭄시 수자원시설 적응능력 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 2019-2021
- [K-water] '물 인프라 유지관리분야 4차산업 기술도입 로드맵 수립 연구용역', 2019
- [국립환경과학원] '중장기 물순환 관리목표 설정 연구(한강 및 기타수계)', 2019
- [환경부/산업통상자원부] '수자원시설 관리체계 개선을 위한 기존 댐 최적관리방안 연구', 2019
- [한국개발연구원(KDI)] '나진포천 하천환경 조성사업 타당성재조사의 수요추정 및 편익 경제성 분석', 2018-2019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물관리연구사업 '극한사상에 대한 유역의 탄력적 대응 및 복원기술 개발', 2016-2019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물관리연구사업 'SRA를 이용한 미계축유역 수문 및 수자원 변동 계측 기술 개발', 2015-2019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지능형 하천재생기술개발사업 공동기획연구', 2018-2019
-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KISTEP)] '지능형 하천재생기술개발사업 사전기획연구', 2018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국토교통연구기획사업 '복합수재해 대응 하천관리 기술개발 사업 기획', 2017-2018
- [환경부] '가뭄이 물환경에 미치는 영향 조사 및 평가방안 마련 연구', 2017
- [국토교통과학기술진흥원] 물관리연구사업 '설계강우의 ARF 및 공간분포산정방법 개발', 2015-2017
- [K-water] '기후변화 시나리오(AR5 RCP)를 활용한 수문환경전망', 2015-2017
Papers
- 김진겸, 김은지, 강부식 (2021), Sentinel김진겸, 김은지, 강부식 (2021), Sentinel-2 광학 위성영상을 이용한 황강댐 미계측유입량 산정,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54권, 4호, pp. 265-277
- Jung, K., Kim, E., & Kang, B. (2019). Estimation of Low-Flow in South Korean River Basins Using a Canonical Correlation Analysis and Neural Network (CCA-NN) Based Regional Frequency Analysis. Atmosphere, 10(11), 695.
- Kang, B., Kim, E., Kim, J. G., & Moon, S. (2019). Comparative study on spatiotemporal characteristics of fixed-area and storm-centered ARFs. Journal of Hydrologic Engineering, 24(10), 04019044.
Conference papers
- 김은지, 강부식 (2023) 관측자료 기반의 용담댐 유역 증발산 보완관계 검증. 2023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5/25~26, 강원도 고성델피노)
- Eunji KIM, Boosik KANG (2023) Application of CRE hypothesis in Yongdam Dam basin using evapotranspiration flux measurements. 2023 World Environmental & Water Resources Congress(May 21 - 24, Henderson, Nevada)
- Eunji KIM, Boosik KANG (2021) Low Flow Projection Considering Actual Evapotranspiration by Climate Change. AOGS 2021 Virtual 18th Annual Meeting (August 1-6, Virtual meeting)
- Jiyoung SUNG, Eunji KIM, Boosik KANG (2021) Copula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for dam inflow and duration under variable threshold options. AOGS 2021 Virtual 18th Annual Meeting (August 1-6, Virtual meeting)
- 김은지, 강부식 (2021) 플럭스타워 기반 실제증발산량을 활용한 용담댐의 증발산 보완관계 검증. 2021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6/3~4,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 김은지, 강부식 (2020) FAO Penman-Monteith 기준증발산을 활용한 소양강댐 유역 팬 증발량 보정. 대한토목학회 2020 학술대회 (10/21-23, 제주 신화월드)
- 성지영, 강부식, 김은지 (2020) 소양강댐 유입량의 t-Test와 Rank test간 수문시계열 경향성분석 비교. 대한토목학회 2020 학술대회 (10/21-23, 제주 신화월드)
- 김은지, 강부식, 손호영 (2020) 기후변화에 따른 실제증발산을 고려한 갈수량 전망. 2020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6/25-26, 제주국제컨벤션센터)
- Kim, E. & Kang, B. (2019) Indirect estimation of actual evapotranspiration based on asymmetric complementary relationships. AGU 2019 Fall Meeting (Dec 9-13, San Francisco, California)
- 김은지, 강부식 (2019) 기후변화에 따른 실제증발산을 고려한 소양강댐의 유황전망. 대한토목학회 2019 학술대회 (10/16-18,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 김은지, 강부식 (2019) 강우형태에 따른 호우중심형 ARF의 스케일 특성 비교. 대한토목학회 2019 학술대회 (10/16-18,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 김진겸, 강부식, 김은지 (2019) 인공위성 영상을 활용한 북한 황강댐 운영률 추정. 대한토목학회 2019 학술대회 (10/16-18,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 김진겸, 강부식, 김은지 (2019) 원격탐사 자료를 활용한 임진강 접경지역 홍수예측. 대한토목학회 2019 학술대회 (10/16-18, 평창 알펜시아 리조트)
- Sun, H., Moon, S., Kim, E. & Kang, B. (2019) The assessment of CMIP5 models in the context of complementary relationship of areal evapotranspiration. 38th IAHR World Congress (Sep 1-6, Panama city, Panama)
- Kim, E. & Kang, B. (2019) A comparative study of scaling characteristics of areal reduction factors by storm types. 38th IAHR World Congress (Sep 1-6, Panama city, Panama)
- Kim, E. & Kang, B. (2018) Scaling characteristics of storm-centered ARF using radar rainfall. 13th International Hydroinformatics Conference (HIC 2018) (Jul 1-6, Palermo, Italy)
- Kim, E. & Kang, B. (2018) Storm-centered ARF characteristics in the context of return periods and spatio-temporal scales of storm events. AOGS 15th Annual Meeting (Jun 03-08, Honolulu, Hawaii)
- 김은지, 강부식 (2018) 강우 사상의 시·공간적 규모 특성을 반영한 호우중심형 ARF 산정. 2018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5/24-25, 경주화백컨벤션센터)
- 김은지, 최지영, 강부식, 조영현, 서애숙 (2017) 미래 시나리오 자료를 활용한 낙동강 유역의 강수량 전망. 2017 한국기후변화학회 하반기학술대회(11/30-12/1, 울산과학기술원)
- Kim, E. & Kang, B. (2017) Estimation storm-centered ARF using radar rainfall for different durations and return periods. 2017 AWRA Annual Conference (Nov 5-9, Portland, Oregon)
- 김은지, 강부식 (2017) 지속기간 및 재현기간에 따른 레이더 강우 호우중심형 ARF의 산정. 2017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5/25-26, 창원컨벤션센터)
- Kim, E. & Kang, B. (2017) Estimation of storm-centered ARF using radar rainfall by duration and return periods. 2nd International Conference on Modelling Simulation and Applied Mathematics (MSAM2017) (Mar 26-27, Bangkok, Thailand)
- 김은지, 현석훈, 강부식 (2016) 레이더 및 지상 합성강우장에 대한 지속시간-재현기간별 호우중심형 ARF. 2016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5/26-27, 한국수자원공사 K-water연구원·교육원(대전)).
- 김지훈, 김은지, 문수진, 류경식, 강부식 (2016) 베이지안모델평균 기법을 이용한 RCP 시나리오기반 기후변화 전망의 불확실성 개선. 한국스마트워터그리드학회 2016년도 춘계학술대회(5/11, 리베라호텔 유성(대전))
Extra Curricular Activities
- Tensorflow Developer Certificate 인증(ID : 26128514, Dec 5 2020 ~ Dec 5 2023)
- [WISET] 2020년 글로벌 학술활동 지원사업(해외기관연수) 'Crossing theory for the radar application in the hydrologic engineering', University of Brescia, Italy (Sep 28 - Oct 24)
e-mail : eunjikim@dankook.ac.kr
Graduate students (full-time Ph.D course)
Grade
석ㆍ박통합 11학기
Projects
- [NIA] '디지털트윈 기반 도시침수 스마트 대응시스템 고도화 구축', 2024
- [안동시] '기후위기를 고려한 안동시 스마트 맑은 물 관리체계 구축사업', 2024
- [한국연구재단] 한-중국 협력기반조성사업 ‘기후변화적응을 위한 지능형 수자원최적운영방안 수립연구’, 2021~2024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기후위기 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홍수방어시설 초연결 최적운영기술 개발’, 2022~2026
- [K-water]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기반 댐 취약성 평가’, 2021-2022
- [K-water] ‘금강수계 기후변화에 대응한 안정적 물공급방안', 2021-2022
- [행정안전부] ‘AI·빅데이터 기반 고정밀 풍수해 위험도 예측 및 평가 기획연구’, 2021
- [K-water] '댐 이수안전도 표준화(개선) 방안 마련', 2021
- [K-water] 개방형 혁신 R&D '미래 극한가뭄시 수자원시설 적응능력 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 2019-2021
- [K-water] '물 인프라 유지관리분야 4차산업 기술도입 로드맵 수립 연구용역', 2019
Papers
- 성지영, 강부식, 김보미, 노성진(2022), 댐 용수공급능력 안정성 평가를 위한 통합지표 개발 및 적용, 한국수자원학회 논문집, 제 55권, 9호, pp.687-700, https://doi.org/10.3741/jkwra.2022.55.9.687
- Sung, J.; Kang, B. Comparative Study of Low Flow Frequency Analysis Using Bivariate Copula Model at Soyanggang Dam and Chungju Dam. Hydrology 2024, 11, 79. https://doi.org/10.3390/hydrology11060079
Conference papers
- 성지영, 임윤지, 지영은, 김동균, 강부식(2025). 다목적댐 상·하류 홍수관리를 위한 AI 기반 Data-driven 및 Surrogate 모델 개발 및 적용, 2025 한국방재학회 학술발표대회(02.19-21, 제주 신화월드)
- 성지영, 김태형, 강부식(2024). 교차검증 데이터세트 구성에 따른 댐 홍수 유입량 예측 성능, KSCE 2024 CONVENTION CONFERENCE&CIVIL EXPO(10.16-18, 제주 ICC)
- 성지영, 강부식(2024). LSTM 재귀모형을 이용한 섬진강댐 홍수유입량 예측, KSCE 2024 CONVENTION CONFERENCE&CIVIL EXPO(10.16-18, 제주 ICC)
- Sung, J & Kang, B(2024). Frequency Analysis and Comparison of Dam Inflow in the Han River Basin Using the Bi-variable Copula Model: Based on Soyanggangdamand Chungjudam. AOGS 2024 21thAnnual Meeting(06.23-28, Pyeongchang, Korea)
- Boosik Kang, Jiyoung SUNG, Taehyung KIM (2024). AI-driven digital twin technology for flood control in the multi-purpose dam operations. East Asian area Dam Conference(06.04-05, Nagoya, Japen)
- 성지영, 강부식, 임윤지(2024). 증강기법을 통한 강우-유출 AIS 모델 성능 비교. 2024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05.10, 제주 신화월드)
- Sung, J & Kang, B(2023). Univariate and multivariate Copula drought frequency analysis for multi-purpose dam inflow. STAHY 2023 – 13th International Workshop on Statistical Hydrology(11.08-10, Boston, Massaschuetts (USA))
- 성지영, 김태형, 강부식 (2023). 이상홍수대응 최적댐운영을 위한 AIS모델 프레임워크, 2023년 한국스마트워터그리드학회 통합학술대회(2023.11.07, 인천 송도컨벤시아)
- 성지영, 강부식(2023). Copula 모형을 활용한 다목적댐 유입량의 단변량/다변량 가뭄빈도해석 및 비교, KSCE 2023 CONVENTION CONFERENCE&CIVIL EXPO(10.19-20, 여수엑스포)
- Taehyung KIM, Jiyoung SUNG, Boosik Kang (2023). Evaluation of the water security indicesof multi-purpose dams in Korea based on climate stress scenarios .The 18th World Water Conference(09.11-15, Beijing, China)
- Sung, J & Kang, B(2023). Dams inflow frequency analysis by non-exceedance percentiles using bivariate copula model. 2023 World Environmental & Water Resources Congress(05.21-25, Hederson, Nevada)
- 성지영, 강부식(2022). 이수안전도 평가를 위한 통합지표 개발 및 등급화 적용. 토목학회 2022 학술대회(10.19-21,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
- 성지영, 강부식(2022). 댐 이수안전도 표준화 방안 개선. 2022년 한국 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05.19-20,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
- Sung, J.,Kim, E .& Kang, B(2021), Copula bivariate drought frequency analysis for dam inflow and duration under variable threshold options. AOGS2021 VIRTUAL 18TH ANNUAL MEETING(08.01-06, Online)
- 성지영, 김은지, 강부식 (2021). 이변량 Copula 모형을 활용한 다목적댐 유입량 가뭄빈도해석. 2021년 한국 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06.03.-04, 광주 김대중컨벤션센터)
- 성지영, 강부식, 김은지 (2020). 소양강댐 유입량의 t-Test와 Rank test간 수문시계열 경향성분석 비교. 대한토목학회 2020 학술대회(10.21-23, 제주 신화월드)
e-mail : jysung@dankook.ac.kr
Grade
박사과정 5학기
Projects
- [NIA] '디지털트윈 기반 도시침수 스마트 대응시스템 고도화 구축', 2024
- [안동시] '기후위기를 고려한 안동시 스마트 맑은 물 관리체계 구축사업', 2024
- [한국연구재단] 한-중국 협력기반조성사업 ‘기후변화적응을 위한 지능형 수자원최적운영방안 수립연구’, 2021~2024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기후위기 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홍수방어시설 초연결 최적운영기술 개발’, 2022~
- [K-water]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 기반 댐 취약성 평가’, 2021-2022
- [K-water] ‘금강수계 기후변화에 대응한 안정적 물공급방안', 2021-2022
- [행정안전부] ‘AI·빅데이터 기반 고정밀 풍수해 위험도 예측 및 평가 기획연구’, 2021
- [K-water] 개방형 혁신 R&D '미래 극한가뭄시 수자원시설 적응능력 평가 및 대응방안 연구', 2019-2021
Thesis (MSc)
- 의사결정 스케일링 기반 다목적댐 유입량 전망 및 불확실성 분석 (Decision scaling based dam inflow prediction and its uncertainty analysis)
Papers
- Kim, T., & Kang, B. (2023). Climate stress impacts on the reservoir inflows: a decision-scaling and IHACRES modeling approach in South Korean basins. Journal of Water and Climate Change, 14(9), 3071-3085.
Conference papers
- 성지영, 김태형, 강부식 (2024). 교차검증 데이터세트 구성에 따른 댐 홍수 유입량 예측 성능. KSCE 2024 CONVENTION CONFERENCE&CIVIL EXPO (10.16-18, 제주 ICC)
- Kim, T & Kang, B (2024). Prediction and Evaluation of Flood Inflow Based on Stress Scenarios. AOGS 2024 21st Annual meeting (06.24-28, Pyeongchang, Korea)
- Boosik Kang, Jiyoung SUNG, Taehyung KIM (2024). AI-driven digital twin technology for flood control in the multi-purpose dam operations. East Asian area Dam Conference (06.04-05, Nagoya, Japen)
- 김태형, 지영은, 강부식 (2024). 남강댐 유역 홍수량 예측을 위한 AI-Surrogate 모형 개발. 2024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05.08-10, 제주 신화월드)
- 김태형, 강부식 (2023). Framework of decision scaling for predicting dam inflows under climate stress scenarios. STAHY 2023 -13th International Workshop on Statistical Hydrology Programme (11.08-10, Boston, Massaschuetts, USA)
- 성지영, 김태형, 강부식 (2023).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홍수방어시설 초연결 최적 운영기술 개발. 2023 스마트워터그리드 학술발표회 (11.08, 송도 컨벤시아)
- 김태형, 강부식 (2023). 국내 다목적댐 유입량의 계절별 기후 스트레스 분석. 2023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10.18-20, 여수엑스포컨벤션센터)
- 김태형, 강부식 (2023). Evaluation of the water security indices of multi-purpose dams in Korea based on climate stress scenarios. 2023 XVII World water congress (09.11-15, Beijing, China)
- 김태형, 강부식 (2023).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를 위한 AI-Surrogate 모형 개발. 2023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05.25-26, 강원도 고성 델피노)
- 김태형, 강부식 (2022). Decision-Scaling 방법 기반 국내 다목적댐 유입량의 민감도 분석. 2022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 (10.19-21,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
- 김태형, 강부식, 우동국 (2022). 기후 스트레스 테스트기반 댐 취약성 평가. 2022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05.19-20, 부산항 국제전시컨벤션센터)
e-mail : thkims@dankook.ac.kr
Grade
박사과정 1학기
Thesis (MSc)
- Regional Frequency Analysis of Extreme Rainfall at Mount Merapi Area Using Partial Moment Method
e-mail : devitamaya39@gmail.com
Graduate students (MSc course)
Grade
석사과정 3학기
Projects
- [안동시] '기후위기를 고려한 안동시 스마트 맑은 물 관리체계 구축사업', 2024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기후위기 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홍수방어시설 초연결 최적운영기술 개발’, 2023~
Conference papers
- 임윤지, 지영은, 김동균, 강부식(2024). 가상센서의 학습데이터 구성에 따른 LSTM 수위 예측 성능 비교. 2024년 대한토목학회 학술발표회(10.16-18, ICC JEJU)
- 성지영, 강부식, 임윤지(2024). 증강기법을 통한 강우-유출 AIS 모델 성능 비교. 2024년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05.10, 제주 신화월드)
e-mail : lyj_89@dankook.ac.kr
Grade
석사과정 3학기
Projects
- [안동시] '기후위기를 고려한 안동시 스마트 맑은 물 관리체계 구축사업', 2024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기후위기 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홍수방어시설 초연결 최적운영기술 개발’, 2023~
Conference papers
- 지영은, 임윤지, 김동균, 강부식(2024). 하천 합류구간 수위예측을 위한 재귀적 AI모형 기반 가상센서 개발. 대한토목학회 2024 학술발표회(10.16-18, ICC JEJU)
- 김태형, 지영은, 강부식 (2024). 남강댐 유역 홍수량 예측을 위한 AI-Surrogate 모형 개발. 2024 한국수자원학회 학술발표회 (05.08-10, 제주 신화월드)
e-mail : jye0173@dankook.ac.kr
Grade
석사과정 1학기
Projects
- [안동시] '기후위기를 고려한 안동시 스마트 맑은 물 관리체계 구축사업', 2024
- [한국환경산업기술원] 기후위기 대응 홍수방어능력 혁신기술 개발사업 ‘이상홍수 대응을 위한 홍수방어시설 초연결 최적운영기술 개발’, 2024~
Conference papers
- 김동균, 지영은, 임윤지, 강부식(2024). AI 딥러닝 모델에 따른 단순하도구간의 수위예측성능 비교. 대한토목학회 2024 학술발표회(10.16-18, ICC JEJU)
e-mail : dgkim@dankook.ac.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