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윤정, 정규연, 박소영, 엄문영. (2025). 학생맞춤통합지원 연수 프로그램의 효과와 참여 경험에 관한 혼합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42(2), 329-358. 링크
이승현, 신다희, 엄문영. (2025). 초등교사의 교직 태도 변화 탐색: 서이초 사건을 전후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2(2), 1-29. 링크
임유나, 엄문영. (2025). 국가교육위원회의 교육과정 의사결정 범위에 관한 논의: 국가교육과정 기준과 내용을 중심으로. 교육문제연구, 38(2), 33-64. 링크
오성영, 엄문영. (2025). 초등 교사 리더십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학급운영, 생활지도, 학부모 관계 영역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43(1), 209-237. 링크
강지영, 엄문영. (2025). 교직 지속 의도 영향 요인에 관한 구조적 관계 분석: 교사행위자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2(1), 105-133. 링크
최유림, 엄문영. (2025). 중등 신규 음악 교사의 학교 적응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교사 간 관계와 음악 교과의 특수성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2(1), 165-194. 링크
이승현, 김무영, 엄문영. (2024). 학부모 교육열의 종단적 변화 유형 탐색. 학부모연구, 11(4), 53-76. 링크
김리나, 김샤론, 박가은, 엄문영. (2024). 수준별 이동수업이 학생에게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42(4), 243-270. 링크
황정훈, 권수진, 오성영, 엄문영. (2024). 알파세대 등장에 따른 초등교육 3주체의 상호작용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42(4), 387-426. 링크
강지영, 엄문영. (2024). 초·중학교 기초학력 보장정책이 교사의 수업 활동에 미치는 영향: 정책 집행에서의 학교 민주성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1(3), 463-488. 링크
김리나, 엄문영. (2024). 대학수학능력시험 EBS 연계의 법적 쟁점 분석: 헌법재판소의 결정을 중심으로. 교육법학연구, 36(2), 175-203. 링크
이승현, 최연우, 엄문영. (2024). 부장 교사 여부가 교직 태도에 미치는 영향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42(3), 179-200. 링크
엄문영, 황정훈, 손은애. (2024). 공립유치원에 대한 선호요인 및 요구 분석. 지방교육경영, 27(2), 247-273. 링크
황정훈, 엄문영. (2024). 교육거버넌스 관점에서의 시·도교육청 위원회 운영 관련 자치법규 분석. 교육법학연구, 36(1), 97-124. 링크
김지연, 엄문영. (2024). 초등교원의 교권에 대한 판례 분석. 교육법학연구, 36(1), 27-52. 링크
이승현, 최연우, 엄문영. (2024). 교사의 전입과 교사효능감의 구조적 관계 탐색: 의사결정 참여와 교사협력의 이중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42(1), 477-501. 링크
최연우, 이승현, 엄문영. (2024). 교사갈등 잠재프로파일 분석: 예측요인 탐색 및 교직태도 차이 검증. 한국교원교육연구, 41(1), 131-157. 링크
최연우, 이승현, 박소영, 엄문영. (2024). 희망 전공으로의 진학이 대학 생활에 미치는 영향 및 대학의 노력 방향 탐색. 아시아교육연구, 25(1), 59-82. 링크
김리나, 엄문영. (2024). 자유학기제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단기・장기효과 분석. 교육학연구, 62(1), 31-61. 링크
최연우, 엄문영. (2023). 목적사업비와 합리적 학교회계 운용 간의 관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32(4), 139-162. 링크
유지성, 곽연륜, 엄문영. (2023). 교사열의와 학교풍토가 교육성과에 미치는 영향 분석: 코로나19를 전후하여. 교육행정학연구, 41(5), 85-112. 링크
김훈호, 엄문영, 이호준. (2023). 학교규모의 효과 및 적정규모 학교에 관한 탐색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41(5), 137-159. 링크
최연우, 김리나, 이승현, 엄문영. (2023). 교사 전보 영향요인 및 교사 자원 배분과의 관계 분석. 아시아교육연구, 24(4), 727-751. 링크
황정훈, 엄문영. (2023).Exploring the implications of the educational governance of CEECES in the U.S. for Korea. 비교교육연구, 33(5), 213-254. 링크
황정훈, 엄문영, 권수진. (2023). 교사행정업무량과 교사·학생 간의 관계 분석 : 경기도 중학교 교원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40(3), 61-86. 링크
이승현, 엄문영. (2023). 교사 인적 구성의 다양성과 교사학습공동체 참여 간의 관계 분석: 학교장 리더십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41(3), 33-60. 링크
김리나, 엄문영. (2023). 9시 등교제가 고등학생 학습에 미치는 효과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41(3), 253-280. 링크
최연우, 이승현, 권수진, 엄문영. (2023). 불편한 학부모는 어떤 교사를 더 힘들게 할까?. 교육행정학연구, 41(3), 1-32. 링크
최연우, 이승현, 엄문영. (2023). 고등학생의 대학 희망 전공과 선택 전공 일치 영향요인 탐색. 교육학연구, 61(4), 67-100. 링크
이진권, 엄문영. (2023). 유보통합 재정소요 추계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32(2), 1-29. 링크
우한솔, 서지희, 엄문영, 이수지. (2023). 학교장 리더십, 학교풍토, 교사 협력, 교사 의사결정 권한 사이의 구조적 관계 분석. 교육행정학연구, 41(2), 173-198. 링크
이보미, 엄문영. (2023). 혁신적 학교풍토 및 교육성과 변화에 관한 사례연구- 특성화고 혁신지원사업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41(1), 143-168. 링크
유현경, 엄문영, 이승호. (2023). 중등 교감의 리더십에 관한 질적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41(1), 413-437. 링크
문지영, 이수지, 서지희, 엄문영. (2023). 학교풍토가 중학생의 정의적 역량에 미치는 영향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41(1), 169-191. 링크
최연우, 엄문영. (2023). 교육재정 운용 과정의 형평을 위한 추가 비용 산출 연구: 사회경제적수준의 격차를 고려하여. 교육재정경제연구, 32(1), 59-85. 링크
엄문영, 이정연, 손은애. (2023). Has Low-Income Students’ Access to Selective Institutions Change? A Longitudinal Study of College Access from 2008 to 2016.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43(1), 165-180. 링크
최연우, 엄문영. (2022). 교장공모제와 학교회계 운용 간의 관계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31(4), 71-97. 링크
황정훈, 엄문영, 손은애. (2022). 유치원・어린이집 관리자의 경험을 통한 유아 및 보육교사 양성체제 분석. 홀리스틱융합교육연구, 26(4), 143-172. 링크
이평구, 엄문영, 채지원. (2022). 미국 교육 실습제도 관련 연구에 대한 체계적 문헌 고찰. 비교교육연구, 32(6), 139-161. 링크
문지영, 서지희, 김지윤, 엄문영. (2022). 핀란드와 한국의 초등 예비교사 다문화교육 프로그램에 관한 비교사례연구. 다문화교육연구, 15(4), 1-25. 링크
김수진, 엄문영. (2022). 코로나19와 교사의 성장 경험에 관한 질적 사례연구: Y-성장모델의 적용. 한국교원교육연구, 39(3), 243-272. 링크
박승종, 엄문영, 임주현. (2022). 한국과 일본의 교직경력별 연수체계 비교 연구: 서울시와 도쿄도(東京都)를 중심으로. 비교교육연구, 32(4), 78-108. 링크
이정연, 엄문영, 성유저, 이평구. (2022). 교육행정학과 교육정치학 관점에서의 한국 교육정책 연구동향 비교 분석. 교육정치학연구, 29(3), 113-137. 링크
황정훈, 엄문영. (2022). Likert 관리체제이론을 통해서 본 학교거버넌스 개선 방안 탐색. 지방교육경영, 25(2), 59-89. 링크
엄문영, 황정훈. (2022). 초등돌봄교실의 운영에 대한 학부모 요구 분석 : 강원도 지역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육연구, 35(3), 159-182. 링크
우한솔, 엄문영, 이수지. (2022).온라인 교사공동체에 관한 체계적 문헌고찰. 교육행정학연구, 40(2), 167-190. 링크
최연우, 이승현, 엄문영. (2022). 학교장의 갈등 경험 및 관리 양상 탐색. 교육행정학연구, 40(2), 251-274. 링크
이범수, 엄문영. (2022). 학점은행제의 현황과 향후 과제. 지방교육경영, 25(1), 137-159. 링크
김리나, 엄문영. (2022). 저경력 중학교 교사의 성장 경험에 대한 사례연구. 교육행정학연구, 40(1), 35-63. 링크
엄문영, 이호준. (2022). 초・중등 무상교육 지원 대상 및 재정 추계에 대한 재검토. 교육재정경제연구, 31(1), 55-77. 링크
엄문영, 오범호, 유지성. (2022). 학부모 학교참여 영향요인 분석. 학부모연구, 9(1), 61-81. 링크
엄문영, 정성수, 손은애. (2021). A Study on the Effects of Parental Involvement on Academic Achievement.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41, 83-101. 링크
유지성, 엄문영. (2021). Examining the Impact of Consequence Components of Teacher Evaluation Systems on Student Achievement in the U.S.: Insights and Implications for Korea. 비교교육연구, 31(5), 145-178. 링크
문영빛, 엄문영, 정현주. (2021). 학교풍토로서 심리적 안정감 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적 연구. 지방교육경영, 24(3), 217-240. 링크
이평구, 강문정, Zhao XiaoShuai, 황정훈, 엄문영. (2021). 초등교사의 전문성과 양성체제 및 과정의 관계 탐색: 체계적 문헌 분석을 활용하여. 초등교육연구, 34(4), 83-106. 링크
엄문영, 최수연. (2021). 학교장을 위한 사례 토론 리더십 프로그램 개발 연구. 교육행정학연구, 39(4), 237-263. 링크
이평구, 조지혜, 서지현, 정영현, 황정훈, 엄문영. (2021). 교육리더십 개념 탐색을 위한 체계적 문헌분석 : Walker & Avant 개념분석 방법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9(4), 265-293. 링크
엄문영, 이진권. (2021). 지방교육재정 분석 지표 변화에 대한 연구. 교육재정경제연구, 30(3), 73-100. 링크
이은혜, 이승연, 한지예, 진현정, 엄문영. (2021). 리더십 이론의 다양성에 대한 비판적 검토: 사회과학 및 교육학 분야를 대상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9(2), 1-42. 링크
문희원, 김시은, 김옥결, 이승민, 임주현, 엄문영. (2021). 심리적 안정감이 높은 학교의 특성: 교장 리더십을 중심으로. 한국교원교육연구, 38(2), 1-27. 링크
엄문영, 최예슬. (2021). 공교육의 관점에서 본 한국 유아교육체제 분석. 교원교육, 37(2), 389-415. 링크
이수지, 김새론, 전주현, 한지예, 황정훈, 엄문영. (2021). 한국 교육복지정책의 전개 및 향후 과제에 대한 고찰: 이돈희의 『교육정의론』을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9(1), 305-332. 링크
이재진, 전제상, 서영석, 엄문영. (2020). 포스트코로나 시대의 원격교육연수 재개념화 및 쟁점 분석. 한국교원교육연구, 37(4), 227-255. 링크
엄문영, 길혜지, 이재열, 황정훈, 서재영. (2020). 통합연구방법을 활용한 개방적 학교풍토 형성 요인에 관한 연구: 부산 다행복학교를 중심으로. 교육행정학연구, 38(5), 197-225. 링크
문찬주, 김옥결, 최선, 엄문영, 오순영. (2020). Theory borrowing 개념에 근거한 한국 교육재정경제학의 연구 동향 분석. 교육재정경제연구, 29(3), 199-224. 링크
엄문영. (2020). 현장 기반 유치원 교사 직무역량 분석 연구.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441-463. 링크
문희원, 서지현, 김시은, 엄문영. (2020). 한국교원교육학술지 연구 동향 분석 - 정권별 의미연결망 분석을 중심으로 -. 한국교원교육연구, 37(1), 419-440. 링크
백순근, 엄문영, 정상근. (2020). 정신전력 개념 발전 및 측정도구 개발. 정신전력연구, 60, 3-48. 링크
Choi , S. Y., Eom, M., & Kwag, Y., (2025). The Impact of E-SPLOST in Reshaping State Educational Capital Outlay: Evidence from Georgia, 1993-2017. KEDI Journal of Educational Policy, 22(1), 155 - 181. LInk
Moon, J., & Eom, M. (2025). Navigating the tightrope: Resource challenges and legitimacy pressures in South Korea’s small school system. Policy Futures in Education, 14782103251321639. LInk
Chung, I. H., Shon, J., & Eom, M. (2024). Collective bargaining agreements and teacher sorting: evidence from New York. Asia Pacific Education Review, 25(1), 5-18. LInk
Choi, Y., & Eom, M. (2023). Analysis of the effects of the free semester system on academic achievement and career maturity. Policy Futures in Education, 21(8). LInk
Yoo, J., & Eom, M. (2022). Merit payment for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 teachers: Analysis of its effects on student academic achievement. International Review of Public Administration, 27(2), 73-90. LInk
Eom, M., Yoo, H., & Yoo, J. (2022). Efficiency and productivity of local educational administration in Korea using the Malmquist Productivity Index. Mathematics, 10(9), 1449. LIn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