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search Objective
Research Objective
1. 최종연구 목표
▶본 연구는 자가면역반응이 파킨슨병 발병에 미치는 영향을 규명함으로써 발병원인 규명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공하고 이를 기반으로 파킨슨병 조기진단법 및 약물재생산을 통한 치료법 개발을 목표로 함
2. 년차별 연구 목표 및 연구 내용
▶1차년도 자가면역과 파킨슨병의 관계 규명을 통한 병인 규명 및 말초 장기 반응 상관성 규명
▶2차년도 자가면역 유발 파킨슨병 모델을 활용한 치료 및 조기진단 타깃 발굴
▶3차년도 신약 후보 물질 효능 규명 및 조기진단법 임상적용
▶1차년도: 자가면역반응과 파킨슨병의 관계 규명을 통한 병인 규명 및 말초 장기 반응 상관성 규명
[2021~2022 세부연구목표]
자가면역유도 모델에서 신경면역반응 분석과 이를 바탕으로 도파민 세포의 손상 가능성 분석
파킨슨병 모델을 기반으로 뇌 및 신체 장기의 면역세포 및 관련 인자들의 변화 규명
파킨슨병 모델 및 자가면역유도 모델에서 망막의 변화 규명
파킨슨병 모델 및 자가면역유도 모델에서 신경내분비 호르몬 변화 및 신경회로 손상 규명
▶2차년도: 자가면역 유발 파킨슨병 모델을 활용한 치료 및 조기진단 타깃 발굴
2022~2023 세부연구목표
자가면역유도 파킨슨병 모델에서 파킨슨병 제어 인자 발굴
자가면역유도 파킨슨병 모델에서 면역반응분석 및 대표적인 제어 타깃 발굴 및 치료약물선정
자가면역유도 파킨슨병 모델에서 눈의 기능 변화 분석 후 조기진단법 선정
자가면역유도 파킨슨병 모델에서신경내분비 호르몬 변화 분석 및 조기진단 타깃 선정
▶3차년도: 신약 후보 물질 효능 규명 및 조기진단법 임상적용
2023~2024 세부연구목표
자가면역유도 파킨슨병 모델에서 신약후보물질 파킨슨병 제어 효능 규명
자가면역유도 파킨슨병 모델에서 신약후보물질 면역반응 억제 효능 규명
OCT를 활용한 신약후보물질 효능 평가 및 조기진단법 임상적용
신약후보물질의 신경전달 회복 효능 평가 및 조기진단법 임상적용
3. 대표성과물 및 목표
1차년도 국외논문게재 SCI 2, JCR 상위 10% 이내의 논문 50%이상 유지
2차년도 국외논문게재 SCI 2, JCR 상위 10% 이내의 논문 50%이상 유지, 특허출원 국내 2 국외 1, 인력양성 석사 3
3차년도 국외논문게재 SCI 4, JCR 상위 10% 이내의 논문 30%이상 유지, 특허출원 국내 2, 특허등록 국내 2, 인력양성 석사 3
종료후 국외논문게재 SCI 2, JCR 상위 5% 이내의 논문, 특허등록 국내 2 국외 1, 인력양성 박사 2
(1) 대표성과물1: 파킨슨병 발병 원인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공
자가면역반응과 파킨슨병 관계 규명을 통해 표현형을 포함한 심층적인 발병 원인에 대한 접근법 제시.
다양한 동물 모델과 줄기세포를 활용한 사람세포에서의 규명을 통하여 새로운 발병원인 패러다임 제공.
(2) 대표성과물2: 파킨슨병 치료제 및 조기진단법 개발에 대한 새로운 타깃 제공
자가면역 및 파킨슨병 모델의 분석을 통하여 공통으로 조절이 가능한 치료 타깃 및 조기진단 타깃을 발굴.
(3) 대표성과물3: 자가면역 반응을 활용한 파킨슨병 신규 치료법 및 조기진단법 개발
신약후보물질 선정 및 면역관련 신약재창출을 통한 파킨슨병 치료제가 개발.
안과학적 및 내분비적 분석을 통한 통합적 조기진단기법이 개발.
4. 연구실의 장기 비전
▶본 연구실은 단기적으로는 자가면역 반응과 파킨슨병의 상호관계 분석을 통한 새로운 파킨슨병 발병 원인을 규명하고 이를 바탕으로 치료제 및 조기진단법 개발을 위해서 노력하고 있습니다. 장기적으로는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세계적인 파킨슨병 연구 단체인 MJF foundation과 미국의 Udall 센터와의 공동 연구를 통하여 국제적 연구실로의 도약 위해 노력하고 있습니다. 많은 관심과 지원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