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06.11.
제주대 캡스톤디자인 결과발표회 구멍갈파래 활용 세제 만들기 '파래퓨어 팀' 대상
제주대학교 3단계 산학연협력 선도대학(LINC3.0) 육성사업단에서 2024학년도 1학기 캡스톤디자인 결과발표회를 개최했습니다.
영예의 대상은 구멍갈파래를 활용해 세제를 만든 파래퓨어 팀(환경공학과)이 수상했습니다.
장소: 제주대학교 산학협력관
https://www.headlinejeju.co.kr/news/articleView.html?idxno=545737
https://www.jejudomin.co.kr/news/articleView.html?idxno=301659
2024.05.27.
제주도의회 제2회 미래환경특별위원회 정책포럼
미래환경특별위원회 소속 도의원과 제주녹색환경지원센터, 국내 지하수 정책 및 수자원관리 관련 전문가, 환경단체, 도 관련부서 공무원 및 도민 등 약 80여 명이 참여해 개인하수처리시설의 효율적인 관리방안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개진하고 토론하는 자리로 마련되었습니다.
https://www.cnbnews.com/news/article.html?no=661743
https://www.jejumaeil.net/news/articleView.html?idxno=337340
http://www.jibs.co.kr/news/replay/viewNewsReplayDetail/2024052719023437457?feed=na
2024.03.12.
제주 KBS 총선 의제 선정 패널 인터뷰
제주형 산업플랫폼의 구체화와 청년유출의 문제점 해결을 위해, 전공연계형 직업군 확대의 필요성을 제안했습니다.
2024.01.10.
KBS 집중진단 제주 [제주 공공하수슬러지 처리 대책은?]
공공하수슬러지 처리와 공정시험법 등에 관한 기본적인 지식을 말하고, 제주도 환경 연구의 중요성을 제언하였습니다.
2023.12.15.
제주 KBS 토양조사와 분석의 중요성 인터뷰
오염된 토양 분석의 중요성과 복토의 어려움을 언급하며, 환경 관리의 중요성을 언급하였습니다.
2023.12.01.
한국환경과학회 「2023년 다양한 환경문제 개선을 위한 전국 대학생 경연대회」 우수상
장소: 한화리조트 제주
주제: 제주 현무암을 이용한 하수구 모델링: 현무암 스틸 그레이팅 덮개를 활용한 도시 침수관리
www.jejunu.ac.kr/ara/scholnotice/notice.htm?page=15&act=view&seq=212710
2023.10.30.
제주 KBS 탐사K 토양조사기준 인터뷰
토양오염공정시험기준에 준하는 토양채취방법과 다매체 환경 모니터링의 중요성을 언급하였습니다.
https://news.kbs.co.kr/news/pc/view/view.do?ncd=7805912&ref=A
2023.10.26.
제16회 한/일 환경 심포지엄 참석
장소: 제주대학교
주제: Contamination characteristics of trace pollutants in multimedia environments (Current Understandings and Future Directions)
https://www.veritas-a.com/news/articleView.html?idxno=478548
https://www.lecturernews.com/news/articleView.html?idxno=138929
2023.10.05.
제주에너지공사 환경에너지사업 전문가 초청토론회 참석
2023.04.21.
국립환경과학원 자연환경연구과 외부전문가 세미나 발표
장소: 국립환경과학원 국가환경시료은행동 1층 회의실(인천 서구)
주제: 환경 중 잔류성유기오염물질 분석과 최신경향
2023.04.07.
제주대 호남제주권역 R-WeSET사업단 이공계 여대생 J-Leaders 멘토링 워크숍 참가
똑똑한 환경공학과 학생들 덕분에 참석했습니다. JESG팀(강보영, 이예빈, 강보석 학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