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과 공해
환경문제 해결에 관한 많은 지식을 가지고 있으면서 구체적으로 실천하는 경우가 매우 적은 것이 현실이다.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첫걸음을 환경교육을 통해 이해하게 되고, 우리 스스로 환경오염의 가해자인 동시에 피해자라는 인식을 갖게 된다. "환경과 공해"라는 교양 수업을 통해 환경의 정의부터 대기, 수질, 폐기물, 토양오염의 전반적인 내용을 이해한다.
『환경과 공해』는 크게 13개의 Chapter로 구성되어 있다. 지구환경시대와 지구의 위기부터 환경의 정의와 특성 및 인간과의 관계, 자연 환경 생태계, 환경 문제, 환경과 건강, 환경문제의 종합대책 등에 대한 자세한 내용을 살펴본다.
분석화학 및 실험
Analytical chemistry is an interdisciplinary science and often is called central science that contributes to every branch of science.
Analytical measurements are aimed at obtain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information about the composition and structure of various materials that have relevance to both fundamental understanding as well as applications towards improving the quality of life.
토양오염
토양오염은 토양 속에 다양한 오염물질이 함유되어 오염되는 현상으로, 오염물질이 토양 표면이나 지하에 버려지거나 대기 중의 오염물질이 침적되어 발생된다. “토양오염”이란 사업활동이나 그 밖의 사람의 활동에 의하여 토양이 오염되는 것으로서 사람의 건강ㆍ재산이나 환경에 피해를 주는 상태를 말한다.
환경부에서 토양환경보전법을 지속적으로 개정하고 시행하고 있다. 이 법은 토양오염으로 인한 국민건강 및 환경상의 위해를 예방하고, 오염된 토양을 정화하는 등 토양을 적정하게 관리와 보전함으로써 토양생태계를 보전하고, 자원으로서의 토양가치를 높이며,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삶을 누릴 수 있게 함을 목적으로 한다.
이를 기반으로, 본 수업을 통해 토양오염에 대한 이해와 관심을 갖게 되고, 추후 토양관련 자격증과 업무 수행에 필요한 기초 지식습득을 목표로 한다.
환경공학 캡스톤 디자인
- 환경공학 캡스톤디자인은 학부과정에서 배우는 전공분야 이론과 실무능력을 겸비한 총체적 인재양성을 위한 현장 적합성 프로젝트 교과과정
- 환경과 관련된 기관과 연구소뿐만 아니라, 주변 환경에 적용이 가능한 아이디어를 제안 및 발표를 함에 있어, 상품 개발, 특허, 프로그램 제작, 결과물 전시 등을 통해 취업에 도움되는 수업진행 예정
- 전공 교과과정에서 습득한 지식 및 기능을 종합적으로 활용하여 팀 단위로 프로젝트를 발굴하고 수행하여 산업현장에서 요구하는 실무능력을 갖춘 인재를 양성
환경화학
환경공학을 전공하는 학부생들을 위한 기초적인 환경화학 과목으로서 일반화학, 유기화학, 물리화학에 대한 전반적인 기초개념을 배우게 된다. 이러한 기초화학 지식을 바탕으로 환경공학적 오염문제에 관련된 화학반응적 이해 및 환경오염물질 처리에 관련된 기초지식을 배우게 된다.
환경계측학
- UV, AA, ICP, GC 등의 기기의 원리와 응용을 다루어 분석능력을 기르며, 기기의 한계를 이해하여 새로운 물질에 대한 정량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 Spectroscopy를 이용한 미량오염물질들의 정량방법에 대하여 다룬다.
- 환경오염물질의 측정과 분석을 위하여 각종 기기 분석 방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환경분석의 실무에 관한 이론과 기법을 습득하고, 각종 분광 광도법, 질량분석법, 액체 및 기체크로마토그래피분석, 전기분석법 등에 관한 내용을 검토한다
환경독물학
환경에 존재하는 각종 독성 물질들이 인간이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을 연구하는 학문입니다.
공기, 물, 토양 등 다양한 환경 매체를 통해 노출된 화학물질, 중금속, 생물학적 독소 등이 생물체에 어떠한 부정적인 효과를 일으키는지 연구하고, 이러한 물질들의 위험성을 평가하여 인간과 환경의 건강을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환경을 유지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제공합니다.
환경화학특론(대학원)
환경공학을 전공하는 대학원생을 위한 기초적인 환경화학 과목으로서 일반화학, 유기화학, 물리화학에 대한 전반적인 기초개념을 재고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이러한 기초화학 지식을 바탕으로 환경공학적 오염문제에 관련된 화학반응적 이해 및 환경오염물질 처리에 관련된 지식을 각 연구에 적용한다.
환경계측특론(대학원)
- UV, AA, ICP, GC 등의 기기의 원리와 응용을 다루어 분석능력을 기르며, 기기의 한계를 이해하여 새로운 물질에 대한 정량방법을 제시할 수 있도록 한다.
- Spectroscopy를 이용한 미량오염물질들의 정량방법에 대하여 다룬다.
- 환경오염물질의 측정과 분석을 위하여 각종 기기 분석 방법의 원리를 이해하고 환경분석의 실무에 관한 이론과 기법을 습득하고, 각종 분광 광도법, 질량분석법, 액체 및 기체크로마토그래피분석, 전기분석법 등에 관한 내용을 검토한다
지하수오염 및 정화 세미나(지하수협동과정)
대기오염분석 및 실험
석사논문 연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