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 가뭄을 견디지 못한 특정한 생물이 사라지면 생태계 평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인간이 댐을 건설하여 물의 흐름을 인위적으로 막으면 생태계 평형이 깨질 수 있습니다.
늑대가 사라진 뒤와 늑대를 다시 풀어놓은 뒤의 이야기를 보고 인간이 생태계에 개입했을때 어떤일이 벌어지는지에 대해 생각해 봅시다.
실험관찰 17쪽 생각1
예) 메뚜기의 수가 늘어나면서 메뚜기의 먹이가 되는 생산자의 수나 양이 줄어듭니다. 메뚜기를 먹는 2차 소비자의 수나 양은 먹이인 메뚜기의 증가 때문에 늘어납니다. 2차 소비자가 증가하면 3차 소비자의 수나 양도 증가합니다.
실험관찰 17쪽 생각2
예) 비버의 수는 더 줄어들었을 것입니다. 늑대를 국립 공원에 다시 풀어놓지 않았다면 사슴의 수는 줄지 않았을 것입니다. 사슴은 계속해서 강가의 풀과 나무를 먹어 치웠을 것입니다. 비버는 강가의 나무로 집을 만들고 나뭇가지 등을 먹는데 풀과 나무가 자라지 못하면 비버는 살아가기 어려울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