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경국대학교 (국립안동대학교) 식물생태학 연구실에 오신 여러분을 환영합니다.
Welcome to the Plant Ecology lab at Gyeongkuk National University (Andong National University).
이 웹싸이트는 2025년 8월 24일에 업데이트 되었습니다.
This website was updated on 24-August-2025.
News & Notice
2025.07. 27. 저희 연구실 석사 졸업생인 정다희 학생이 국립생태원 외래생물팀에 연구원으로 취업하였습니다.
2025.07. 27. Ms. Dahui Jeong, a Master's graduate from our lab, has been employed as a researcher in the Invasive Species Team at the National Institute of Ecology.
2025.07. 14. 저희가 연구했던 가시박 야외 실험과 양미역취 야외 실험에 대한 논문 두편이 환경과학분야 최상위 SCIE 학술지인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CIE, IF:8.4, JCR top 8.29%)에 동시에 출간되었습니다.
2025.07. 14. Our two papers about the field experiments on Sicyos angulatus and Solidago altissima were published in a top tier SCIE journal in Environmental Sciences,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SCIE, IF: 8.4, JCR top 8.29%) at the same time.
2025.6. 22. 변채호 교수의 60개의 논문들의 총 피인용 횟수가 Google Scholar 기준으로 5,300회를 넘었습니다.
The total number of citations for 60 published papers of Prof. Chaeho Byun has just exceeded 5,300 times, according to Google Scholar.
2025.4.10. 변채호 교수가 새로운 특허를 발명, 출원하였습니다. 씨앗 발아 촉진, 안정적인 식물 정착 및 생장을 위한 종자 혼합 코팅 다층 구조 복합체인 시드 플랫과 이를 활용한 생태 복원 기술", 특허출원번호: 10-2025-0046655, 대한민국특허청
Prof. Chaeho Byun invented a new Patent . "Seed Flat, a multi-layered seed mixture coating complex for enhanced germination, stable seedling establishment and growth, and its application in ecological restoration technology", Patent Application Number: 10-2025-0046655, Korean Intellectual Property Office
2025.3. 21. 저희 연구실에서 한국생태학회 학술발표대회에 참여하여 변채호 교수와 Kripal 박사가 작년 온실 실험 연구를 구두 발표하였습니다. 특히 Kripal 박사는 미래 생태학자 상을 수상하였습니다.
Our lab participated in the annual conference of the Ecological Society of Korea, where Professor Byun and Dr. Kripal presented talks about last year's greenhouse experiments. Notably, Dr. Kripal received the Future Ecologist Award.
2025.1. 6. 주연 학생이 군 제대 이후 복학하여 학부 인턴으로 돌아왔습니다. 따뜻하게 환영합니다.
Yeon Ju has returned to the lab as an undergraduate intern after completing his military service. We warmly welcome him back.
2025.5. 1. 김민성 학생이 학부 인턴으로 참여하게 되었습니다. 따뜻하게 환영합니다.
Minseong Kim joined our lab as an undergraduate student intern. We warmly welcome him.
2025.2. 28. 정다희 학생이 석사과정을 마치고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축하합니다.
Dahui Jeong has completed her master's degree. Congratulations!
2024.12. 10. 이장호 석사졸업생의 석사학위논문이 생물종다양성 보전 분야의 최상위 저널인 Journal of Applied Ecology (SCIE, IF: 5.0, JCR top 8.0%)에서 온라인 게재되었습니다..
또한 이장호 석사졸업생이 © 에코캠프라는 환경생태회사에 정규직 연구원으로 취업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Jangho Lee's master's thesis research paper was published online in the Journal of Applied Ecology (SCIE, Impact Factor: 5.0, JCR Top 8.0%), a top-tier journal in biodiversity conservation.
Additionally, Jangho Lee has been hired as a full-time researcher at EcoCamp, an environmental ecology company. Congratulations!
2024.11. 29. 변채호 교수가 2024년 국립공원 자생식물 증식복원 워크샵에서 '국내에서 자생식물과 외래식물 경쟁'이란 주제로 발표하였습니다.
Professor Chaeho Byun presented on the topic "Competition between Native and Exotic Plants in Korea" at the 2024 National Park Native Plant Proliferation and Restoration Workshop.
2024.11. 03. 국립안동대학교에서 학교 소식 (솔뫼인)에 이번 KBS 인터뷰 기사를 소개하였습니다.
Andong National University introduced the interview with KBS in the university news.
https://www.andong.ac.kr/main/board/view.do?menu_idx=67&manage_idx=1&board_idx=222920
2024.10.27 KBS 유튜브 방송 크랩 (KLAB) 과의 인터뷰:
KBS에서 운영하는 유튜브방송인 크랩 (KLAB, 구독자: 61만명)이란 곳에서 변채호 교수를 인터뷰 했습니다. 이 인터뷰는 변교수가 연구했던 지난 핑크뮬리 온실실험에 관해서 입니다. 17여종의 자생식들과의 1:1 경쟁 실험 결과 핑크뮬리가 자생식물들의 정착과 성장에 별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았기 때문에 우리나라의 자연생태계에 위해한 생태계교란종이 될 수 없다는 결론이였습니다. 따라서 앞으로는 핑크뮬리를 과학적 근거없는 걱정 대신 안심하고 즐길 수 있는 날이 곧 오게 될 것 같습니다. 이와 같은 최종 결론은 연구 논문이 미국생태학회에서 발간하는 생태학 분야 최상위 국제 SCIE 학술지인 Ecosphere에 게재되었기때문에 더욱 신뢰할 수 있습니다.
2024.10.27. Interview with KBS's KLAB
Interview with KBS YouTube Channel KLAB
Professor Chaeho Byun was interviewed by KLAB (Korean Laboratory), a YouTube channel with 614,000 subscribers. The interview focused on his recent greenhouse experiment involving Pink Muhly (Muhlenbergia capillaris).
In a one-on-one competition test between Pink Muhly and 17 native plant species, the key finding was that Pink Muhly does not pose a threat as an invasive alien species in Korean natural ecosystems. The study showed no significant competitive effects on the establishment and growth of native plants.
Consequently, we can look forward to enjoying Pink Muhly without unwarranted concerns. This conclusion is further substantiated by the research paper's publication in Ecosphere, a leading international SCIE journal issued by the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ESA).
Reference: Byun, C. (2023). Competition between pink muhly grass and native plant species: Is it really a harmful invasive species? Ecosphere, 14(7), Article e4561
29-Oct-2024
1. 저희 연구실 정다희 학생이 성공적으로 석사학위청구 논문발표를 하였습니다.
Ms. Dahui Jeong, our lab's master's student, successfully defended her master's thesis.
01-August-2024
최근 저희 연구실 두 논문이 생태학 분야 최상위 SCIE 학술지 (Ecological Indicators, IF: 7.0, NeoBiota, IF: 3.8)에 출간 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Recently, two articles from our lab were published in top-tier ecology journals: Ecological Indicators (Impact Factor: 7.0) and NeoBiota (Impact Factor: 3.8) Congratulations!
25-July-2024
변채호 교수가 미국생태학회 에서 발간하는 Ecosphere 저널의 주제별 편집위원 (Subject-matter Editor)로 선정이 되어 활동중입니다.
Professor Byun was appointed as a Subject-matter Editor for Ecosphere, the journal published by the Ecological Society of America.
Ecosphere Editorial Board (https://esajournals.onlinelibrary.wiley.com/hub/journal/21508925/editorial-board/editorial-board)
27-June-2024
1. 이장호 학생이 석사과정을 마치고 석사학위를 받았습니다. 축하합니다.
Jangho Lee received his master's degree. Congratulations!
11-May-2024
1. 저희 연구실원들 5명(변채호 교수, Prof. Jane Molofsky, Dr. Kripal Singh, 이장호, 정다희) 모두 성공적으로 2024년 학국생태학회 정기학술대회에서 발표를 하였습니다. 특히 이장호 학생은 우수구두발표상을 받았습니다.
Our lab members (Professor Chaeho Byun, Professor Jane Molofsky, Dr. Kripal Singh, Jangho Lee, and Dahui Jeong) successfully delivered five talks at the annual meeting of the Ecological Society of Korea in Gongju. Jangho Lee received the award for Best Oral Presenter.
09-May-2024
1. 저희 연구실 이장호 학생이 성공적으로 석사학위청구 논문발표를 하였습니다.
Mr. Jangho Lee successfully defended his master's thesis.
13-April-2024
1. 저희 연구진이 국제생태복원학회 (SER)와 마이크로소프트 사의 주관으로 새로운 연구펀딩을 (약 1억2천만원) 성공적으로 획득하였습니다. 연구 프로젝트 제목은 "관악산 생물종다양성 증진 및 침입외래식물 관리를 위한 최적의 제거 및 자생식물 복원의 적용"입니다.
We successfully secured a new research funding of approximately 120 million won from the Society of Ecological Restoration (SER) in partnership with Microsoft. The project, titled "Application of Optimal Eradication and Native Plant Restoration Methods to Control Invasive Plants and Improve Native Biodiversity in Gwanaksan Mountain, Republic of Korea," will run from May 1, 2024, to April 31, 2027.
01-April-2024
1. 변채호 지도교수가 국립안동대학교 생명과학과 부교수로 승진하였습니다.
Professor Byun was promoted to Associate Professor at Andong National University.
26-March-2024
1. 방문교수로 있는 Jane 교수가 학과 세미나를 개최하였습니다.
Visiting Professor Jane presented her research on "How Evolutionary Processes Shape Invasive Plants and Their Functional Traits" in the department seminar.
29-Febraury-2023
침입외래식물인 서양금혼초에 대한 새로운 화분 실험을 시작하기 위해서 씨앗을 파종하였습니다.
We sowed seed mixtures to initiate a new pot experiment on the invasive species Hypochaeris radicata.
27-Febraury-2023
미국 버몬트대 교수인, Prof. Jane Molofsky 가 방문 교수로 저희 랩에 참여하였습니다. 환영합니다.
Professor Jane Molofsky from the Department of Plant Biology at the University of Vermont (USA) joined our lab as a Fulbright visiting professor. We warmly welcome her.
10-Jan-2024
1. 한국생태학회 뉴스레터 25호에 저희 국립안동대학교 식물생태학 연구실이 소개되었습니다.
The 25th Newsletter from the Ecological Society of Korea introduced our lab on its main pages.
09-November-2023
단풍잎돼지풀 야외 실험을 성공적으로 마쳤습니다. 관련 논문을 거의 완성하여 Neobiota 저널에 투고할 예정입니다.
We successfully completed the outdoor experiment on Ambrosia trifida and are preparing to submit the related paper to the Neobiota journal.
04-October-2023
호주 다윈도시에서 열린 국제생태복원학회 (SER)에서 변채호 교수와 크리팔 박사후연구원이 성공적으로 연구 주제를 발표하였습니다.
Professor Byun and Dr. Kripal Singh successfully delivered a talk at the Society of Ecological Restoration (SER) conference in Darwin, Australia, receiving significant attention and questions.
02-March-2023
1. 정다희 학생이 저희 연구실 석사 과정으로 들어왔습니다. 환영합니다.
Dahui Jeong joined our lab as a master's student. Welcome!
19-Dec-2022
1. 변채호 교수가 영국생태학회에서 단풍잎돼지풀 실험에 대한 발표를 하였습니다.
Professor Byun presented a talk about the Ambrosia trifida experiment at the British Ecological Society conference annual meeting.
25-Oct-2022
1. 변채호 교수의 과거 박사 논문 한편이 BRIC 한빛사 (한국을 빛낸 사람들)에서 상위피인용 논문으로 소개되었습니다.
Professor Byun's doctoral thesis was introduced as a highly cited paper on the BRIC website, a Korean biological community platform.
https://www.ibric.org/myboard/read.php?id=79673&Board=hbs_treatise&idauthorid=38680&ttype=1
21-Oct-2022
1. 변채호 교수가 한국생태환경과학협회의 학술발표대회에서 핑크뮬리 실험에 대한 발표를 하였습니다.
Professor Byun presented a talk about the Pink Muhly experiment at the Korean Ecological Society conference.
04-August-2022
1. 가시박에 대한 야외 실험 설치 (안동시 임하면)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실험은 내후년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Our field experiment on Sicyos angulatus was successfully installed in Andong and will be monitored until 2024.
27-July-2022
1. 양미역취와 단풍잎돼지풀에 대한 야외 실험 설치 (부산 대저생태공원)가 성공적으로 완료되었습니다. 실험은 2024년까지 진행될 예정입니다.
Field experiments on Solidago altissima and Ambrosia trifida were successfully installed in Busan and will be monitored until 2024.
19-April-2022
1. 가시박에 대한 실험 논문이 Oecologia 저널에 최종 Accept 되었습니다. 축하드립니다.
Our experimental paper on Sicyos angulatus was accepted by the Oecologia journal. Congratulations!
31-March-2022
1. Dr. Kripal Singhj 박사가 저희 연구실 박사후연구원(포닥)으로 곧 들어올 예정입니다. 환영합니다!
Dr. Kripal Singh will join our lab as a postdoctoral researcher. Welcome!
19-March-2022
1. 우리 연구실의 2022년도 첫 온실 실험인, 단풍잎돼지풀에 대한 선점효과 실험 설치가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
Our first 2022 greenhouse experiment on priority effects for Ambrosia trifida was successfully installed
2. 이장호 학생이 저희 연구실 학부 인턴 과정으로 들어왔습니다. 환영합니다.
Jangho Lee joined our lab as an undergraduate intern. Welcome!
23-Feb-2022
1. 우리 연구실의 첫 실험 논문인, 미국쑥부쟁이에 관한 논문이 Plant Ecology 저널에 Accept 되었습니다. 축하합니다.
Our first experimental paper on Aster pilosus was accepted by the Plant Ecology journal, titled "Canopy cover size and establishment rate determine biotic resistance to Aster pilosus invasion: a priority effect". Congratulations!
2. 한국연구재단 중견연구과제에 선정되어 (과제명: 생태계 교란 식물 관리와 생물종다양성 보전을 위한 씨앗 기반 자생식물복원 연구) 향후 5년간 연간 1억2천만원의 연구 펀딩을 확보하였습니다. 축하합니다.
We secured a research project funding from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for "Seed mixtures-based restoration of native plants for invasive plant management and biodiversity conservation". The funding is approximately 100,000 USD per year for five years. Congratulations!
02-October-2021
1. 가시박을 대상으로 하는 또 다른 온실 실험이 잘 마무리 되었습니다.
최종조사결과, 흥미로운 실험 결과를 얻었고, 생태학 분야 상위 SCI 학술지인 Oecologia에 논문을 투고 중입니다.
An experiment on Sicyos angulatus was successfully completed. We found interesting results and submitted the paper to Oecologia, a high-level SCI journal in ecology.
19-August-2021
미국쑥부쟁이를 대상으로 한 온실 실험이 성공적으로 마무리 되었습니다.
최종조사결과, 흥미로운 실험 결과를 얻었고, 생태학 분야 SCI 학술지인 Plant Ecology에 논문을 투고 중 입니다.
The greenhouse experiment on Aster pilosus was successfully completed. We found interesting results and submitted the paper to Plant Ecology, a SCI journal in ecology.
22-May-2021
1. 강화도 갯벌에서 침입외래종인 영국갯끈풀을 조절하기 위한 야외 실험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A new field experiment was set up to manage Spartina anglica, an invasive plant in the tidal mudflats of Ganghwa Island.
24-Mar-2021
1. 새로운 세가지 화분 실험이 온실에 설치가 완료되었습니다. 물이 자동으로 화분에 공급될 것입니다.
Three new pot experiments were set up in two greenhouse facilities, with automatic water supply to all pots.
14-Dec-2020
1. 신원협 학생 (서울대, 박사과정)이 저희 연구프로젝트에 공동 참여연구원으로 들어왔습니다. 환영합니다.
Wonhyeop Shin, a PhD student from Seoul National University, joined our research project as a collaborative researcher. Welcome!
2. 핑크뮬리라는 식물을 대상으로 이들의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이 2021-22년에 진행될 예정입니다.
A new experiment on the effects of Muhlenbergia capillaris (Pink Muhly Grass) on native plant communities will be conducted in 2021-2021.
02-Dec-2020
1. 실험을 위한 식물생태학 연구실 전용 온실 건축이 완료되었습니다.
A new greenhouse for plant ecology experiments was successfully built.
2025.07. 01. 제 4, 5차 전국 자연환경조사 식생조사표를 바탕으로 다양성-침입 역설에 대한 논문과 한국 식물 다양성에 대한 논문을 각각 Nature Sustainability (SCIE, IF: 27.1, Rank: 0.8%)와 Environmental Science and Ecotechnology (SCIE, IF: 14.3, Rank: 2.94)에 투고하였습니다.
The total number of citations for 57 published papers of Prof. Chaeho Byun has just exceeded 5,000 times, according to Google Schola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