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 harness both genetic demultiplexing (SNP) and hashing strategies (Antibody or Lipid tagging) to maximize the throughput to understand human genetic variation in a population-scale for heathy and diseased states.
We developed SCITO-seq, which leverages Combinatorial indexing to enable further ultra-high throughput (>1M cells) profiling of RNA+protein in the same cell.
우리 연구실은 알려진 단일세포 및 벌크 유전체 기술을 여러 질환에 적용한 중개 연구를 large-scale로 확장하고, 이를 적용하여 다양한 질환 (암, 면역, 대사 질환 등) 을 연구합니다.
나아가, 이 질환을 연구할 수 있는 유전체의 원천기술, 특히 단일세포 멀티오믹스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개량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이런 데이터의 생산은 최근 대두되는 AI foundation model을 만드는데 있어 필수적입니다.
We deploy various combinatorial indexing startegies (sci-RNA-seq, XYZeq, Seq-Scope etc) to peform single-cell multiomics in various tissues and develop novel experimental and computational methods for spatial sequencing in an unprecedented scale.
우리 연구실은 알려진 공간전사체 기술들을 활용하여 다양한 임상 과학자와의 협업을 통해 질병 연구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공간 전사체 뿐만 아니라, 이를 공간 지놈 및 후성 유전체 분석도 가능한 원천기술을 개발하고 이를 적용할 수 있는 공간 멀티오믹스 플랫폼 (Dry+Wet lab) 을 만들고 있습니다.
CRISPR tools have revolutionized the biology and have been successfully applied to various aspects, especailly to therapeutic applications. This screening has been recently combined with scRNA-sequencing to enable big pharma companies to identify drug targets or reveal the mechanism of actions in primary human cellular material with single-cell resolution.
We use CRISPR a/i/KO system to edit the primary cells (e.g., human T cells) and Cancer cells utilizing the state-of-the-art editing technology with an emphasis on immunology and immuno-oncology.
Moving forward, combined with combinatorial indexing technology SCITO-seq, we also develop genome-scale single-cell CRISPR editing platform to push the limit of standard functional genomics.
단일세포 분석, 공간멀티 오믹스 등을 활용해 찾은 변이의 기능을 평가 하는 것은 궁극적인 치료제 개발을 위해 필요합니다. CRISPR 의 다양한 방법론 (prime editing, CRISPRa/i/KO 등)을 활용하여 변이를 만들고 이를 단일세포 수준에서 function을 읽어(유전자 발현, 후성유전체 분석 등) 기능을 평가하는 시스템을 만들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