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structional Program Design
대학교육개발센터협의회 수업컨설팅 직무연수 교수 프로그램의 설계
성찰적 수업 컨설팅
대학 강의의 특성을 고려했을 때, 대학 수업의 컨설팅은 교수가 스스로 성찰하고 부족한 점을 보완할 수 있도록 하는 성찰적 컨설팅을 기본으로 한다. 이를 위해 수업 컨설턴트는 교수의 유형과 수업의 특성을 면밀하게 분석하고 이를 정확하게 전달하여, 교수가 자신의 수업에 대해 스스로 성찰을 유도하는 컨설팅을 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이 과정에서 컨설턴트는 교수의 유형뿐만 아니라, 컨설턴트로서 자신의 유형을 파악하고, 컨설팅 실습 간 성찰일지를 통해 컨설턴트가 스스로를 성찰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원리 적용 기반 실습 & 컨설팅 상담 실습
본 프로그램은 어느정도 컨설팅 경험이 있는 CTL 직원을 대상으로 하여, 학습한 내용을 기반으로 원리를 적용하고 실습해 볼 수 있도록 프로그램을 설계하였다. 특히 강의형 수업과 학습자 참여형 수업의 여러 유형에 대하여 컨설팅 하는 실습을 진행하고, 특히 학습자 참여형 수업의 경우 직접 롤플레잉을 통한 상담 실습을 통해 컨설턴트와 교수의 역할을 이해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대학의 참여형 수업 트렌드 공유 및 실습
코로나19가 나타난 이후 실제 대학 현장에서 온라인 비대면 수업, 플립 러닝, 블렌디드 러닝 등 다양한 형태의 참여형 수업이 등장하고 있다. 수업 컨설팅을 진행하는 컨설턴트로서 수업의 다양한 형태에 대하여 배우고, 이에 대해 컨설팅을 진행할 수 있도록 실습 기회를 제공하였다. 학습자는 최근 나타난 수업 트렌드에 대해 학습 및 공유하는 시간을 갖고,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 참여형 수업 컨설팅을 진행한다. 실습 이후에는 학습자들이 자신의 컨설팅 경험을 공유하면서 상호 교육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다.
관련수업 : 교수체제설계
참여연구원: 박성경, 사운서, 박소미, 김민혁
본 연구는 다양한 학습 과정에서 나타나는 학습자의 정서와 그에 따른 반응이 학습활동참여, 지속, 몰입의 일련의 과정에 중요하다는 인식을 토대로 학습정서 지원의 관계 요소들을 개념화하기 위해 온라인 토론 학습의 맥락을 상정하여 모형을 개발하였다. 구체적으로, 온라인 토론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 토론 단계에 따라 발생하는 다양한 정서 데이터를 다중양식 기법으로 수집‧분석하여 학습자에게 맞춤형 정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개념모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온라인 토론 및 정서와 관계된 선행연구를 분석하였고, 정서 지원의 주요 요소들을 바탕으로 모형의 초안을 개발하였다. 두 번의 타당성 검증 단계에서 제시된 의견을 수렴하여 수정‧보완 후 모형의 최종안을 확정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온라인 토론 학습에서의 데이터 기반 맞춤형 정서지원 모형은 ‘다차원 정서데이터 측정‧수집 모형’, ‘정서 분석 및 진단 모형’, ‘정서 처방 및 지원 모형’, ‘온라인 토론 절차에 따른 지원전략 모형’의 하위 모형으로 구분된다. 본 모형은 설문, 면담, 관찰, 로그데이터 및 생리심리 데이터 등을 복합적으로 고려하여 다차원적으로 데이터를 측정‧수집하고, 온라인 토론의 맥락과 연계된 분석‧진단 결과에 따라 맞춤형으로 정서를 처방‧지원할 수 있도록 시각적으로 구조화한 것이 특징이다. 또한 정서의 지원의 핵심 요소를 정서인식(Emotional awareness), 정서표현(Emotional externalization), 정서조절(Emotional regulation)로 제시하였으며 세 가지 요소와 관련 있는 주요 실행전략들을 온라인 토론 절차와 연결하여 안내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정서지원의 중요성에 공감하여 선행문헌이 부족한 연구 분야를 탐색적으로 고찰하고 그 결과를 종합적으로 제시하였으며, 교사 및 교수설계자들이 학습자 중심의 온라인 토론을 운영하는 데에 도움을 줄 수 있다는 점에서 시사점이 있다. 추후 온라인 토론 학습 상황에서 발생한 정서를 분석하고 이를 처방 및 지원하는 체계적이고 실증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관련수업 : 학습자 중심 학습환경 설계(2022-1)
참여연구원 : 조수경, 사운서, 김민혁, 장진호
Mobile Application Prototype Design
'Your Nearby Career Mart' Application Development
The "Your Nearby Career Mart" program is a smartphone application designed to offer location-based career-related information for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fostering diverse communities. It aims to provide students, particularly those struggling to adapt to school or those who have withdrawn, with a range of career experiences across various domains. By doing so, it aids students in discovering their future directions and pathways. Developed with the intention of promoting autonomous community engagement, this program seeks to activate an independent community while serving as a valuable resource for students.
Our research team conducted the project following the five stages of Design Thinking: Empathize, Define, Ideate, Prototype, and Test (Byungik Jeong, 2019). Design Thinking is a creative strategy used by designers to concretize ideas and design solutions for practical problems. In the educational context, we explored and defined problem situations and proposed solutions using smart devices, aligning with the first three stages of the Design Thinking process mentioned earlier. Subsequently, we developed an initial prototype using Google Jamboard and gathered usability feedback through online Zoom interviews with high school students. Utilizing Figma, we then created the final prototype for the project.
Related Course: Educational Technology Creativity Development Lab
Participating researchers: Yunshu Xie, Hyungjo Kim, Hongkyu Lee
Online Course Desig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