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earch this site
Embedded Files
Skip to main content
Skip to navigation
S. P. Jung
Main
S.P.Jung
Sokhee+
The 1st EP
Bonus Track
e-Mug™
Merch
Order Now
Sokhee and ChatGPT
People
Group
Individual
Video
EFET Center
1st Symposium
2nd Symposium
3rd Symposium
Publications
Journals (ENG)
Journals (KOR)
Books
Book Chapters
Patents
Technical Reports
Recommended Articles
Lectures
Energy System Design
ESD Publications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Media
환경미디어
일반미디어
교육
종교 미디어
언론이 만난 정석희
Writings
Education
Philemon I
Philemon II
YouTube
Research
Expeiment
Personal
Join
How to Join
How to Arrive
Enjoy Korea
S. P. Jung
Main
S.P.Jung
Sokhee+
The 1st EP
Bonus Track
e-Mug™
Merch
Order Now
Sokhee and ChatGPT
People
Group
Individual
Video
EFET Center
1st Symposium
2nd Symposium
3rd Symposium
Publications
Journals (ENG)
Journals (KOR)
Books
Book Chapters
Patents
Technical Reports
Recommended Articles
Lectures
Energy System Design
ESD Publications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Media
환경미디어
일반미디어
교육
종교 미디어
언론이 만난 정석희
Writings
Education
Philemon I
Philemon II
YouTube
Research
Expeiment
Personal
Join
How to Join
How to Arrive
Enjoy Korea
More
Main
S.P.Jung
Sokhee+
The 1st EP
Bonus Track
e-Mug™
Merch
Order Now
Sokhee and ChatGPT
People
Group
Individual
Video
EFET Center
1st Symposium
2nd Symposium
3rd Symposium
Publications
Journals (ENG)
Journals (KOR)
Books
Book Chapters
Patents
Technical Reports
Recommended Articles
Lectures
Energy System Design
ESD Publications
2024
2023
2022
2021
2020
2019
2018
2017
Media
환경미디어
일반미디어
교육
종교 미디어
언론이 만난 정석희
Writings
Education
Philemon I
Philemon II
YouTube
Research
Expeiment
Personal
Join
How to Join
How to Arrive
Enjoy Korea
3rd
Poster
Leaflet
Media Coverage (Before)
Media Coverage (After)
Videos
Photos I
Photos II
Photos III
Download the 3rd EFET Symposium photos
Poster
Leaflet
Media Coverage (
Before)
[칼럼]이재명 대통령 시대, 대한민국의 지속 가능한 미래를 기대한다
글. 정석희 교수(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스탠퍼드대 선정 세계 상위 2% 과학자)
[칼럼]미생물 전기화학 시스템: 자연을 모방한 생물전기의 예술
정석희 교수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공학과 / 스탠퍼드대 선정 세계 상위 2% 과학자)
청색기술, 대한민국의 미래를 설계하다- 정석희 전남대 환경에너지공학과 교수
2025년 대한민국은 새로운 대통령을 선출하는 역사적 변곡점 앞에 서 있다. 정치의 본질은 생존의 문제를 다루는 것이다. 지금 우리의 생존을 위협하는 가장 거대한 문제는 단연 기후위기다. 화석연료 기반의 산업문명은 지난 200여 년간 인류에 전례 없는 번영을 가져왔지만, 동시에 지구의 ...
전남대, 기후테크 '제3회 EFET 심포지엄' 개최
기후위기 극복과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청색기술 혁신의 장이 열린다. 전남대학교는 6월 25일 오후 1시 30분 전남대 공과대학 4호관 코스모스홀에서 '제3회 EFET 심포지엄-청색기술 혁신포럼: 기후위기 NET-ZERO를 향해'를 개최한다고 18일 밝혔다. 이번 행사는
전남대, 기후테크 청색기술 조명하는 ‘제3회 EFET 심포지엄’ 개최
-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위한 혁신기술 공유의 장- NET-ZERO를 향한 실천 해법 모색”
Media Coverage (After)
'제3회 EFET 심포지엄' 성황리에 개최…청색기술 통한 탄소중립 모색
25일 전남대학교 공과대학 코스모스홀에서 '제3회 EFET 심포지엄-청색기술 혁신포럼: 기후위기 NET-ZERO를 향해'가 성황리에 열렸다. 이번 행사는 전남대 환경에너지융합센터(EFET), 1.5℃ 포럼, 대한상하수도학회(KSWW), 광주녹색환경지원센터(GJGEC),
"하폐수 처리장이 에너지 생산기지로"···청색기술 혁신 속도
전남대학교 환경에너지융합센터(EFET)와 1.5℃ 포럼은 25일 전남대 코스모스홀에서 '제3회 EFET 심포지엄–청색기술 혁신포럼: 기후위기 NET-ZERO를 향해'를 개최했다고 이날 밝혔다.이번 심포지엄에는 대한상하수도학회, 광주녹색환경지원센터, 광주광역시의회가 공동 참여했으며, 청색기술을 통한 탄소중립 실현 방안을 집중 논의했다.정석희 전남대 교수(EFET센터장)는 개회사에서 "기후위기 대응의 한계선인 '1.5℃'가 실험실 숫자가 아닌 현실의 위협으로 다가왔다"며 "청색기술이 탄소중립과 지역 균형 발전의 핵심 기술로 자리 잡기
제3회 EFET 심포지엄 성료… 청색기술로 탄소중립 실현 전략 모색
전남대학교, 기후위기 대응과 지역 균형 발전 위한 청색기술 협력 플랫폼 구축
전남대, 제3회 EFET 심포지엄 성황리에 개최
2025년 6월 25일, 전남대학교 코스모스홀에서는 ‘제3회 EFET 심포지엄–청색기술 혁신포럼: 기후위기 NET-ZERO를 향해’가 성황리에 개최되었다. 이번 행사는 전남대 환경에너지융합센터(EFET)와 1.5℃ 포럼이 주최하고, 대한상하수도학회(KSWW), 광주녹색환경지원센터(GJGEC), 광주광역시의회가 공동으로 참여했다.개회사를 맡은 정석희 전남대 교수(EFET센터장)는 "기후위기 대응의 한계선인 '1.5°C'가 실험실 숫자가 아닌 현실의 위협으로 다가왔다"며, "청색기술
Videos
Photos I
Photos II
Photos III
Google Sites
Report abuse
Page details
Page updated
Google Sites
Report abu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