참고사이트 _ https://gmlwjd9405.github.io/2018/10/27/webserver-vs-was.html
웬 서비스를 제공할 때 사용하는 프로토콜은 HTTP이다. 클라이언트 / 서버형 프로토콜
구조는 단순, 웹 서버에 액세스 할 때 메서드와 URL의 일부를 포함시켜 보낸다
파일을 받고싶으면 GET 보내고싶으면 POST
http는 스킴명이라고 하며 웹 브라우저는 이 부분을 보고 프로토콜을 결정한다.
www.example.kr /app/index.html
호스트명 / 도메인명 / 파일 경로 / 파일
웹 서버는
정적 웹 콘텐츠 처리, 동적 웹 콘텐츠 처리로 나누어지며 이 부분에서 web server, (WAS)web application server를 구별짓곤 한다.
was는 클라이언트에게 받은 데이터를 바탕으로 데이터를 생성하며 보내준다.
구현 관련해서 질문을 해보았다
3:15 PM 보초 안녕하세요 혹시 웹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한 서버에서 모두 이루어지게 하려면
3:16 PM 보초 웹서버를 굳이 다운받을 필요 없이
3:16 PM 보초 사용하면 될까요..?
3:20 PM DJ 앙고 정적파일은 웹서버로 서빙하는게 좋습니당
3:21 PM DJ 앙고 그래서 애플리케이션 앞단에서 서버가 먼저 처리하도록 구성해요
3:21 PM DJ 앙고 html, css, js, media 등등이요
3:21 PM 보초 그럼 서버를 두 개 파는것이 맞는건가요?.?
3:22 PM DJ 앙고 따로 두셔도되고 하나에 둘다 두셔도 되고요
3:22 PM DJ 앙고 물리적 서버를 말씀하시는거죠?
3:22 PM 보초 넵넵 맞습니다!! 현재 ec2인스턴스 하나 생성해서 작업중에 있습니다
3:23 PM 보초 제가 아직 흐름을 잘 몰라서 배워가고있습니다
3:23 PM DJ 앙고 넵 하나에 웹서버 웹앱서버 두셔도 문제없습니다
3:23 PM 김한병 음 모바일과의 데이터의 전송을 위해서는
pip install djangorestframework를 설치한 뒤에
Json으로 데이터를 주고 받고 이건 Rest API를 활용한 데이터 전송이라고 하잖아요
그럼 웹과의 데이터 전송을 위해서
pip install django를 설치하고,
데이터를 주고 받는거는 뭐라고 말해야 할 지 잘 모르겠습니다 ㅠㅠ
3:23 PM DJ 앙고 규모에따라 분리할수도있고요
3:23 PM 보초 정말정말 감사드립니다 ㅠ.ㅠ 좋은 하루 보내세요
3:24 PM DJ 앙고 장고 자체는 서버사이드렌더링으로 데이터뿐만아니라
3:24 PM DJ 앙고 html 전체를 렌더링해주죠
3:26 PM Jake 렌더링 방식의 차이라고 하면
말씀하신 것처럼 서버사이드 렌더링 방식 이라고 말하면 되고요
프로토콜 차이라고 하면
SOAP 형태라고 하면 될것 같습니다.
3:26 PM 보초 도커 컨테이너를 사용하여 웹서버와 어플리케이션 서버를 따로 파는건
3:26 PM 보초 의미가 있나요?
3:26 PM Jake 리소스 사용의 효율성 차이가 있을듯합니다.
3:27 PM Jake 예를 들어 앱 서버가 리소스 소모로 죽는다고 해도 도커로 분리해둔 상태면 웹 서버는 도니까 failover 할 수 있을거고
3:27 PM 김한병 아하 JAKE님 DJ앙고님 감사합니다!! 뭐라고 구글링 해야할 지 몰라서 자소서에 쓰는데 한참 고민했네용..
3:27 PM Jake 도커를 안 쓴다고 하면 둘다 같이 죽을 수도 있겠지요
3:28 PM 보초 우와 그렇네요!! 진짜 많이 배우고갑니다 정말 감사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