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ef _ https://commotionwireless.net/docs/cck/networking/learn-networking-basics/
직접적인 데이타를 네트워크를 통하여 보내기 위해서는 컴퓨터는 목적지와 출발지를 식별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럴 때 사용하는 주소지는 바로 IP - internet Protocol이다
1부터 254까지의 수로 구성되어있으며 .(dot)으로 분리된다 ex) 173.194.43.7
이 집들의 각 address는 192.168.1.20, 192.168.1.21, 192.168.1.22등으로 되어질 수 있으며
각각 다 다른 식별자와 다른 타입의 ip address를 가지고 있다.
네트워크는 공개(public)와 비공개(private)로 되어질 수 있으며
Public ip address는 인터넷의 어디든 접근가능하며
Private ip address는 아니다.
공개 아이피로 되어있는 두 빌딩이 있다.
우리는 이 빌딩들이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알 수 있으며 메시지를 보낼 수도 있다.
자 공개 아이피와 비공개 아이피가 어떻게 보통 사용 되어지는지 보자
공개와 비공개 아이피를 둘 다 가지고 있는 빌딩이 있다.(분홍색)
그리고 비공개 아이피에 접근하지 못하게 울타리를 가지고 있다.
분홍색 건물은 거리에서 떠난 메세지를 추적할 수 있고 그 메세지를 다시 알맞은 주소로 리턴 시켜주기도 하는 거 같다.
거리에서는 192.168.1의 ip를 가지고 있지만 인터넷에서는 74.10.10.50을 가지고 있는 것이니까
출처: https://engkimbs.tistory.com/622 [새로비]
서브넷은 말 그대로 부분 망 이라는 뜻이다.
IP 주소에서 네트워크 영역을 부분적으로 나눈 부분망, 부분 네트워크를 뜻한다.
IP 클래스에 의해 분리되는 Network Prefix와 나머지 Host Number로 분리된다.
<출처: http://korean-daeddo.blogspot.com/2016/01/blog-post_26.html>
서브넷 마스크는 IP주소와 AND연산하여 Network부분의 정보를 걸러내려는 것이다.
A클래스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1111111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0.0.0.0. ~ 127.255.255.255, 서브넷마스크 : 255.0.0.0
B클래스
10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10111111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128.0.0.0. ~ 191.255.255.255, 서브넷마스크 : 255.255.0.0
C클래스
110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11011111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192.0.0.0. ~ 223.255.255.255, 서브넷마스크 : 255.255.255.0
D클래스
1110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11101111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224.0.0.0. ~ 239.255.255.255
E클래스
11110000 . 00000000 . 00000000 . 00000000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 11111111
240.0.0.0. ~ 255.255.255.255
116.81.97.8 => 01110100.01010001.01100001.00001000
255.128.0.0 =>11111111.10000000.00000000.00000000
---------------------------------------------------------------
01110100.00000000.00000000.00000000
각 Network ID에서 첫번째 주소는 Network Address, 마지막 주소는 Broadcast로 사용됨으로 호스트에 할당 할 수 없다. 모든 네트워크에 동일하게 적용
<출처: http://korean-daeddo.blogspot.com/2016/01/blog-post_26.html>
네트워크 안의 서브넷 나누기 역할은 물리적으로 라우터가 담당한다.
공인IP주소를 할당받은 장치로서 서브넷 안의 호스트들이 외부망인 인터넷에 데이터를 송수신 할 경우,
호스트가 가상IP를 쓸 경우 NAT(네트워크 주소 변환)을 통해 서브넷 가상IP로 바꾸어주어 외부 서버와 호스트와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호스트가 공인 IP를 사용하고 있으면 NAT처리를 하지 않겠지만 인터넷 환경에서 그러한 경우는 거의 없다.
나누어진 서브넷에서 다른 망에있는 호스트끼리 통신을 해야 할 때는 라우터를 통해서만 가능하다는 얘기다.
같은 네트워크에 있다 라는 의미는 라우터를 통하지 않고도 통신할 수 있는 같은 Network ID를 가지는 망에 있다는 것이다.
<출처: http://egloos.zum.com/Yupp2/v/1916132>
출처: https://engkimbs.tistory.com/622 [새로비]
edit ++ 7 / 21 / 2020 )
10.1.1.0/24
00001010 00000001 00000001 00000000
------------------------------------- ------------
네트워크 부 호스트 부 ( 호스트 254까지 할당 가능하다는 말 )
11111111 11111111 11111111 11 (서브넷마스크)
00001010 00000001 00000001 00 000000
00001010 00000001 00000001 01 000000
00001010 00000001 00000001 10 000000
00001010 00000001 00000001 11 000000
(각 서브 네트워크 안에서 62대까지 할당 가능)
서브넷 마스크의 한계는 미리 정해진 네트워크 부의 길이는 늘릴 수 있지만 줄이지를 못한다.
c클래스 경우 호스트 길이가 짧은데 남은 8비트내에서 서브넷 부와 호스트 부로 나누면 실제로 할당 가능 한 호스트 대수가 급격히 줄어드므로 클래스C는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 그래서 서브넷을 도입하는 경우는 호스트 부가 긴 클래스 A나 B의 어드레스를 세분화해야 할 때 사용한다
Private network = https://en.wikipedia.org/wiki/Private_network
가정이나 사무실에서 자유롭게 사용하는 private ip address
주소가 충돌나지만 않는다면 다른 네트워크에서 사용중인 어드레스를 사용한다 해도
private ip address로 사용 가능한 범위
Class A 10.0.0.0 ~ 10.255.255.255
Class B 172.16.0.0 ~ 172.31.255.255
Class C 192.168.0.0 ~ 192.168.255.2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