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ho, Sang‐Wook, and Hansoo Choi, "Unlocking the Impact of US Free Trade Agreements on Industries with a Synthetic Control Approach ", Canadian Journal of Economics 58, 2 (2025) : 716-746. https://doi.org/10.1111/caje.70002
최한수, 한희준, Pinshan Pan 2025. 서울 아파트 시장 모형 분석: 시차 가변 계수 공적분 모형과 내생적 국면전환을 반영한 오차수정모형의 적용. 한국경제포럼, 18 (1), 1-25
이창민, 최한수 2025. 재벌총수의 사법처리가 대규모 기업집단 계열사들의 경영에 미치는 영향. 한국경제포럼, 17 (4), 31-58
이창민, 최한수 2024. 재벌총수의 사법처리는 기업집단 가치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 법경제학연구, 21(3), 239-260.
이창민, 최한수 2024. 재벌 총수의 사법처리가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 법경제학연구, 21(2), 109-127
최한수. 2021. 한국의 기본소득 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법경제학연구,18(3),261-281.
최한수.2021.사법부 전관예우 분석: 경제학의 관점에서.법경제학연구,18(2),155-191.
서현수, 최한수. 2020. 보편적 복지국가에서 보편적 기본소득으로? 핀란드 기본소득 정책 실험의 최종 결과와 함의. 스칸디나비아 연구, 26(0), 1-45.
이창민, 최한수. 2020. 상장기업 임원 보수 결정요인 및 특성에 대한 연구: 2014-2018년 자료를 이용한 분석. 법경제학연구 17(2) : 475-495.
최한수, 2019. 기본소득 모의실험: 근로연령대를 중심으로, 예산정책연구 8(2): 194-225. (2019.11). 국민일보 (2020.3.11) 논문의 모태가 된 조세제쟁연구원 원보고서
최한수. 2019. 법원은 여전히 재벌(범죄)에 관대한가? , 법경제학연구 16(1): 89-110 (2019.4). 한겨레 (2018.4.24) 법률신문 (2018.4.23) 월간조선 (2019.2)
최한수 홍우형. 2018. 공공기관 경영평가에 대한 경제학적 검토: 계약이론의 관점에서, 법경제학연구 15(1): 53-79 (2018.4). 조세재정브리프 (2017.5) 논문의 모태가 된 조세재정연구원 보고서
최한수 홍우형. 2017. 원전 주변지역 지원제도의 경제효과 분석, 재정학 연구 10(4):71-104 (2017.11). 연합뉴스 (2017.5)
최한수 이창민. 2017. 정부의 암묵적 보증이 공기업 신용등급에 미치는 효과-도덕적 해이의 관점에서, 재무관리연구 34(2) : 1-31 (2017.6). 조세재정브리프 (2015.12) 남곡학술상 수상. 논문의 모태가 된 조세재정연구원 보고서 (경제인문사회 연구회 우수연구상, 2015)
최한수 이창민. 2017. 국내 상장기업 임원진 보수 결정요인 분석, 법경제학연구 14(1) :1-53(2017.4).
최한수. 2016. 경제학자의 관점에서 본 김영란법의 문제점, 법경제학연구 13(3): 465-484. (2016.12). 뉴스 1 (2016.9) , 머니투데이 (2016.9)
이창민, 최한수. 2016. 형사성공보수 무효 약정 판결에 대한 법경제학적 분석, 법경제학연구 13(1): 165-186. (2016.4). 한국경제신문 (2015.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