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섹션의 작업들은 일반적으로 아카데미아에서는 별로 인정을 받지 못하는 연구들입니다. 하지만 한국의 경제학자는 여러가지 이유로 이러한 작업을 해야 합니다. 이 작업의 일부는 전 직장인 한국조세재정연구원에서, 또 다른 일부는 연구자문을 하고 있는 경제개혁연구소의 일로 진행한 작업들입니다.
최한수, 2025.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 전개와 평가, 미발표 원고
최한수, 2025. "‘서울 아파트 불패 신화’, 주거 안정 제도가 가격 안정 막았다" 한겨레. 2025.7.30
최한수, 2025. "부동산 시험대’ 오른 이재명 정부, 진보정권 트라우마 극복할까" 한겨레. 2025.6.19
최한수. 2025. 재벌 문제 새롭게 들여다보기: 총수의 리더십, 시장은 어떻게 볼까? 한국사회과학회 3월 발표자료
최한수. 2024. 배당소득 감세 ‘하위 99%’ 연 5700원…복장 터지는 밸류업. 한겨레신문. 2024. 7.10
최한수. 2023. " 법경제학적 관점에서 본 법관임용제도" . 2023.12 (한국법사회학회 하반기 학술대회 "법원 인사행정제도의 변화 현황과 성찰의 방법")
최한수. 2018. 법경제학회 하계 토론회 "판사의 커리어 – 승진 및 인사제도 토론문"
최한수.2025. 주주환원과 과세형평... '2025 세제개편안'의 두 얼굴. 오마이뉴스. 2025. 8.1
최한수. 2025. 이번 추경은 ‘적극 재정’ 시대의 신호탄이다. 한겨레. 2025.6.25.
최한수. 2025. 녹록지 않은 새 정부 경제, 두루뭉술 실용주의로는 안 된다. 한겨레. 2025. 4.30
최한수. 2024. ‘1% 황제개미’ 과세 더 미룰텐가…금투세, 이재명 결단만 남아. 한겨레. 2024. 10.3
최한수. 2024. 사회 정의와 효율성 사이…이재명의 ‘먹사니즘’ 균형 찾을까. 한겨레. 2024.8.27
최한수, 2024. 국민연금 소득보장안, 늙음이 형벌 되지 않도록 만들 수 있나. 한겨레. 2024. 6.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