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술논문(Peer-Reviewed Journal Articles)
[18] Chung Choe, Dongwoo Kang, Heesun Lee, 2024, "The Impact of e-commerce on Local Retail Employment: Examining Heterogeneous Impacts by Employment and Regional Types", Global Economic Review, 53(2): 99–115.
[17] Orsa Kekezi, Sandy Dall’erba, Dongwoo Kang, 2022, "The role of interregional and inter-sectoral knowledge spillovers on regional knowledge creation across US metropolitan counties", Spatial Economic Analysis, 17(3): 291-310.
[16] Koangsung Choi, Chung Choe, Dongwoo Kang, 2021, "Impact of introducing one-stop employment service centres on local employment in South Korea", Applied Economics Letters, 28(4): 281-286.
[15] 이희선, 강동우, 최충, 2020, "조선업 위기가 지역상권 고용에 미친 영향: 거제시와 통영시 사례를 중심으로", 경제학연구, 68(2): 119-154.
[14] 강동우, 안주엽, 남수연, 2020, "지역 특성이 주민 행복도에 미치는 영향의 탐색", 국토연구, 104: 3-21.
「제19회 국토연구 우수논문상」 우수상, 국토연구원(2021. 3. 5)
media coverage: 홍사흠의 국토이야기 담(談) | Ep.7 [우수논문1] 당신은 행복하신가요? | 행복도가 높은 지역 BEST 3(국토연구원 국토TV, 2021. 9. 25)
[13] 최광성, 강동우, 최충, 2018, "지역이동이 대졸자의 임금 변화에 미치는 영향", 노동경제논집, 41(2): 61-88.
media coverage: 대졸자 비수도권→수도권 이직하면 연봉 223만원 뛴다(연합뉴스, 2018. 7. 12)
[12] Dongwoo Kang and Sandy Dall’erba, 2016, “An Examination of the Role of Local and Distant Knowledge Spillovers on the US Regional Knowledge Creation”, International Regional Science Review, 39(4): 355-385.
[11] Dongwoo Kang and Sandy Dall’erba, 2016, “Exploring the spatially varying innovation capacity of the US counties in the framework of Griliches' knowledge production function: a Mixed GWR approach”, Journal of Geographical Systems, 18(2): 125-157.
[10] 강동우, 이성우, 김현중, 2012, "수도권의 주택점유 특성 변화로 분석한 슈바베의 가설", LHI Journal(토지주택연구원 학술지), 3(1): 23-32.
[09] 김현중, 강동우, 조덕호, 이성우, 2010, "지역 간 상호연계에 기반 한 농촌과 도시 간 생활권 차이 -부산ㆍ울산 광역도시권을 중심으로-", 농촌계획,16(4): 61-75.
[08] Dongwoo Kang, Mi Young Kim, Deok Ho Cho, and Seong Woo Lee, 2010, “The Effects of Urban Development Pressure on Agricultural Land Price: Application of a Mixed GWR Model”, Journal of Rural Development(농촌경제), 33(4): 63-83.
[07] 진홍철, 강동우, 이성우, 2010, "수도권 자가점유 및 점유성향의 변화 특성, 1995-2005", 국토연구, 66: 73-91.
[06] 김현중, 강동우, 이성우, 2010, "최저주거기준으로 측정한 농촌지역 고령자의 주거수준 변화와 지역간 격차, 1995~2005", 농촌계획, 16(1): 49-62.
[05] 진홍철, 강동우, 이성우, 2010, "수도권 최저주거기준 및 주거밀도 변화요인 분석, 1995-2005", 주택연구, 18(1): 41-68.
[04] 임형백, 이성우, 강동우, 김미영, 2009, "한국농촌의 다문화사회의 특징", 농촌지도와 개발, 16(4): 743-773.
[03] 김정태, 강동우, 이성우, 2009, "농촌성과 도시성의 인식론적 이해", 농촌계획, 15(3): 47-60.
[02] 최상호, 강동우, 이성우, 2009, "농촌건강장수마을 사업의 경제적 효과", 농촌관광연구, 16(2): 107-130.
[01] Seong Woo Lee and Dongwoo Kang, 2008, “A Method of Estimating Longitudinal Housing Consumption: Application of Immigrants’ Housing Career in the US”, Journal of the Korean Regional Science Association(지역연구), 24(3): 87-125.
북 챕터(Book Chapters)
[02] Sandy Dall’erba, Dongwoo Kang, Fang Fang, 2017, “On deriving reduced-form spatial econometric models from theory and their Ws from observed flows: example based on the regional knowledge production function”, Regional Research Frontiers - Vol. 2, pp.127-139, Jackson R. and Schaeffer P. (Eds.), Advanced Spatial Science series, Springer International Publishing.
[01] 이성우, 강동우, 2011, “한국의 농촌 정책과 발전 방향”, 농촌사회변화의 인식론적 이해, 이성우∙최은영 편저, 서울대학교출판문화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