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5] 강동우, 2025, “일자리의 수도권 집중 완화를 위한 지역고용 정책 방향”, 월간 노동리뷰 2025년 7월호, 통권 제244호: 29-33, 한국노동연구원.
[14] 강동우, 2025, “글로벌 포커스: 인구 감소 시대의 지역고용 전략”, 국제노동브리프 2025년 3∙4월호(Vol. 23. No. 2): 3-5, 한국노동연구원.
[13] 강동우, 2024, “자녀가 있는 일하는 사람들의 통근 변화: 코로나19 영향과 성별 차이”, 월간 노동리뷰 2024년 7월호, 통권 제232호: 23-32, 한국노동연구원.
[12] 강동우, 2023, “일자리 분포의 지역격차 : 수도권과 비수도권 간 비교를 중심으로”, 월간 노동리뷰 2023년 11월호, 통권 제224호: 7-22, 한국노동연구원.
media coverage: 제조업 침체·IT산업 부상…수도권-비수도권 임금격차 키웠다(한겨레, 2023. 11. 23)
[11] 강동우, 2021, “온라인 쇼핑 확대와 소매업 구조 변화”, 월간 노동리뷰 2021년 2월호, 통권 제191호: 7-19, 한국노동연구원.
[10] 강동우, 2021, “노동 포커스: 온라인 쇼핑 확대와 소매업 구조 및 고용 변화”, 월간 노동리뷰 2021년 2월호, 통권 제191호: 3-4, 한국노동연구원.
[09] 강동우, 2020, “조선업 구조조정 이후 지역고용 변화와 지역 산업구조 간 관계 탐색”, 월간 노동리뷰 2020년 6월호, 통권 제183호: 87-98, 한국노동연구원.
[08] 강동우, 2020, “소비행태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KLI 고용영향평가브리프 2020년 제4호(통권 제12호), 한국노동연구원.
[07] 강동우, 2019, “지방소멸 위험과 지역고용의 상관관계 분석”, 월간 노동리뷰 2019년 5월호, 통권 제170호: 30-39, 한국노동연구원.
[06] 유동훈, 강동우, 2019, “고용보험DB를 통해 살펴본 통영∙군산 조선업 종사자의 일자리 이동”, 월간 노동리뷰 2019년 5월호, 통권 제170호: 7-19, 한국노동연구원.
[05] 강동우, 2019, “청년층 지역이동의 특징과 지역 특성의 영향”, 월간 노동리뷰 2019년 2월호, 통권 제167호: 47-60, 한국노동연구원.
[04] 강동우, 2018, “청년층 지역이동의 특징: 신규 대졸자를 중심으로”, 월간 노동리뷰 2018년 5월호, 통권 제158호: 7-18, 한국노동연구원.
[03] 강동우, 2017, “무엇이 행복한 지역을 만드는가?: 지역특성과 행복의 관계 탐색”, 월간 노동리뷰 2017년 12월호, 통권 제153호: 60-68, 한국노동연구원.
[02] 강동우, 2017, “지역 간 인구이동이 지역실업률에 끼친 영향과 정책적 시사점”, 지역 고용동항 브리프 2017여름: 6-18, 한국고용정보원.
[01] 강동우, 2017, “산업 및 인구구조 변화에 대응한 지역고용정책의 방향”, 월간 노동리뷰 2017년 3월호, 통권 제144호: 79-83, 한국노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