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1] 한성민 외, 2025, “대한민국 인구전략 수립 연구: 대한민국 인구전략 편”,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5-10-02, 경제∙인문사회연구회.
[40] 이규용 외, 2025, “인구구조 변화 대응을 위한 이민정책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5-01-0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39] 오상봉, 강동우, 이정희, 안군원, 김철희, 2024, “산업전환에 따른 고용안정 지원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연구”, 한국고용정보원.
[38] 김영아, 강동우, 임유진, 2024, “이주배경 청년의 노동시장 이행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37] 이승렬, 강동우, 송민수, 2024, “청소년 근로자 고용 사업장 실태조사”, 고용노동부.
[36] 강동우, 구자현, 배진원, 2024, “집적경제와 지역고용”, 한국노동연구원.
[35] 이승렬, 강동우, 박종식, 박찬임, 이해춘, 노산하, 2024, “산재예방사업 성과진단 및 효율성 평가”, 산업안전보건연구원.
[34] 강동우, 정광민, 최충, 류광훈, 2023, “스마트관광 활성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33] 손연정, 강동우, 홍민기, 2023, “통근시간의 변화와 노동시장 영향”, 한국노동연구원.
[32] 강동우, 노세리, 진성진 외, 2023, “고용상태 영향조사”, 고용노동부. (화력발전 부문: 강동우, 이승렬, 한재각, 박선아)
[31] 김태완, 임완섭, 김기태 외, 2023, “한국사회 격차현상 진단과 대응전략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협동연구총서 23-56-01, 경제∙인문사회연구회.
[30] 강동우, 박창근, 박지영, 이용빈, 조동인, 2022, “탄소중립 시나리오에 따른 지역∙산업 고용영향 분석을 위한 모형 개발 기초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9] 강동우, 최충, 2021, “지역사랑상품권(지역화폐) 도입의 지역경제 영향과 정책 시사점: 지역고용 측면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8] 박종서, 이윤경, 김은지 외, 2020,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시안 마련 지원 연구”, 저출산고령사회위원회∙한국보건사회연구원∙한국여정정책연구원.
[27] 강동우, 윤미례, 2020, “조선업 노동이동 통계: 고용위기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6] 강동우, 고영우, 최충, 최동욱, 2020, “온라인 쇼핑 확대가 지역경제에 끼친 영향: 소매업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5] 이규용, 이철희, 강동우, 주수인, 박미화, 2020, “외국인 취업자 노동시장 영향분석 및 관리방안 연구”, 고용노동부.
[24] 이두희, 김지수, 신윤성 외, 2020, “미래예견적 국정관리지원: 지역산업부문 모델링 연구”, 경제∙인문사회연구회.
[23] 강동우, 김관수, 김의준, 이준영, 최동욱, 2019, “소비행태 변화가 고용에 미치는 영향”, 고용영향평가 연구시리즈,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22] 손연정, 강동우, 정성미, 2019 “소비 불평등의 현황과 원인”, 한국노동연구원.
[21] 안주엽, 강동우, 2019 “지역 및 산업 간 노동이동: 섬유산업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20] 강동우, 최충, 전은하, 2019 “산업구조 조정에 따른 지역고용 충격과 이에 대응하는 지역고용정책 방향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2019년 연구기관 평가 우수보고서, 한국노동연구원(2020. 12. 31)
[19] 강동우, 고영우, 우종원, 윤문희, 2018, “순천시 청년 노동시장 기초 분석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8] 성재민, 오상봉, 강동우, 2018, “자영업 분석 인프라 구축 및 자영업의 동태적 변화 분석”, 한국노동연구원.
[17] 김유빈, 강동우, 오선정, 유동훈, 이지은, 2018, “청년 삶의 질 제고방안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6] 윤윤규, 강동우, 유동훈, 2018, “고용위기지역 산업의 일자리 이동 지도 구축 기초연구”, 한국노동연구원.
media coverage: 통영 조선 노동자, 8년 새 절반 ‘실직’(경향신문, 2019. 4. 15) / 사라진 노동자들 어떻게 됐는지 모른다(경향신문, 2019. 4. 15)
[15] 강동우, 고영우, 김현지, 남수연, 전은하, 2018, “인구구조 변화 및 지방소멸에 대응하는 지역고용정책 사례 연구”, 한국노동연구원.
[14] 구형수, 배유진, 윤세진, 강동우, 조성호, 2018, “지방소멸 위기에 대한 국가적 대응전략”,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3] 성재민, 강동우, 오상봉, 이승렬, 이상호, 2018, “통계생산용 DB 구축대상 선정 연구(고용∙노동 분야)”, 통계청.
[12] 신윤정, 양미선, 최혜리 외 2018, “인구 변화 대응을 위한 포용적 다문화 정책 방안: 이주 배경 아동의 발생∙성장 환경 분석”, 경제∙인문사회연구회.
[11] 안주엽, 이경희, 오선정 외, 2017, “일과 행복(Ⅲ)”, 한국노동연구원.
[10] 윤윤규, 김유빈, 오선정, 강동우, 김세움, 2017, “청년 고용·노동시장의 현황, 문제점 및 정책과제”, 한국노동연구원.
[09] 강동우, 고영우, 최충, 2017, “대졸자 직장이동의 지리적 특성과 임금효과”, 한국노동연구원.
[08] 배규식, 강동우, 고영우 외, 2017, “관광·콘텐츠 분야 일자리 창출 Action Plan 수립 연구”, 부산광역시·고용노동부 부산지방고용노동청.
[07] 이규용, 강동우, 고영우 외, 2017, “제주특별자치도 고용정책 기본계획”, 제주특별자치도.
[06] 강동우, 최충, 이재용, 2016, “글로벌 스마트시티 실증단지 조성사업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영향평가 연구시리즈,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
[05] 이규용, 강동우, 고영우, 전인, 2016, “청년층 지역 노동시장 구조와 일자리 창출 방안: 대구지역을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04] 강동우, 2016, “지역일자리 지표 DB 개발 및 구축방안 연구: 청년고용 지표를 중심으로”, 한국노동연구원.
[03] 강동우, 2016, “지역 간 인구이동과 지역고용”, 한국노동연구원.
[02] 이승렬, 이해춘, 박찬임, 강병식, 강동우, 2016,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 사고성재해예방 사업 평가”, 고용노동부.
[01] 윤윤규, 강동우, 최충, 이덕재, 2015, “고용복지+센터의 일자리 창출효과 고용영향평가 연구”, 고용영향평가 연구시리즈, 고용노동부∙한국노동연구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