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독사 예방
취약계층 노인 고독사 예방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프로그램에 투표해주세요!
고독사 예방
취약계층 노인 고독사 예방을 위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 프로그램에 투표해주세요!
2. 할미꽃 필 무렵: 65세~75세 독거노인들의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한 원예기반 통합예술 프로그램
핵심내용
이 프로그램은 독거노인의 우울증을 예방하기 위한 목적으로 기획되었으며 총 8회기 동안 65~75세 독거노인 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할 예정이다. 본 프로그램은 원예활동을 기반으로하여 ‘꽃’이라는 키워드를 접목한 다차원적인 통합적 예술 프로그램으로 양성의 공감대를 고려하여, 과거의 명곡과 트로트를 활용한 음악활동과 추억의 놀이활동을 통해 상호간의 친밀도를 높여 소외감을 예방할 것이다.
여기에 매 회기 활동별로 ‘꽃말’을 연계한 ‘노화’에 대한 긍정적인 의미부여 활동을 진행하며 ‘나이가 든다’라는 부정적인 인식을 전환해 긍정적인 수용을 이끌어낼 것이다.
이러한 활동들을 통해 독거노인들이 자립감을 고취하고 자아통합감을 지니면서 궁극적으로는 성공적인 노후생활을 장려할 것이다.
사업목적
통합예술프로그램을 통해 65세~75세 독거노인의 자아통합감을 증진하여 우울감을 예방한다.
사업대상
경기도 부천시 65세~75세 독거노인 12명
사업내용
토피어리 퀴즈
: 서로 알아가는 시간 갖기
토피어리 키트와 부자재를 활용해 독거노인 각자 자신의 특징을 표현한 토피어리를 제작하기
토피어리를 무작위로 골라서 토피어리의 특징과 닮은 독거노인을 찾으며 알아가기
만화 속 인생 4컷
: 인생관을 돌아보고 현재 상태
파악하기
제일 행복했던 순간, 제일 슬펐던 순간, 현재의 모습, 마지막은 빈칸으로 남겨놓기
각 그림에 대해 발표하고 이야기 나누기
마지막 칸에 릴레이로 돌아가며 해당하는 사람을 그리고 칭찬하기
참여자들 그림을 모아 1권의 미니북으로 만들기
수花 음악교실
: 노래를 통한 유대관계(친밀감) 형성하기
단한 수화를 학습하고, 트로트나 가요에서 꽃이 들어간 노래의 핵심 내용을 수화로 표현하며 다 같이 춤추며 노래하기
배운 수화를 이용하여 방과 방사이 미니 게임 진행
자기 자신을 수화로 표현해보고 맞추기
꽃들의 놀이
: 놀이를 통한 소속감과 결속력 강화하기
과거 놀이 활동을 2팀으로 제비뽑기 활동을 통해 나누기
게임에서 이긴 팀은 꽃 뱃지를 팀 인원수당 획득하기
다음 회기에 진행할 때 뱃지 개수를 이용하여 추후 요리활동을 진행하기
꽃 피는 요리교실
: 요리 활동을 통해 자신감 향상 하기
팀을 나누어 식용 꽃을 활용한 화전 등의 음식을 요리하기
진행자의 심사 이후 우승팀에게 다육이 우선 선택권을 부여하기
달래간장, 봄나물 무침 등의 반찬을 인원수에 맞게 만들어 가져가기
디저트 타임 때, 꽃차를 마시면서 찻잎으로 노년기의 의미를 비유해보기
시간의 정원
: 나이에 관한 인식을 제고하기
1인당 3~4개의 종이꽃을 접고 가운데에 1~10의 나이적기
꽃들을 바닥에 뿌리고 막대기에 테이프를 붙여 꽃을 건져 올리기
건져 올린 시간의 합산에 해당하는 연령대의 추억을 간략히 발표하기
꽃(시간)들처럼 아름다운 것들이 인생에 쌓여왔음의 메시지를 전달하여 ‘나이 먹음’의 관념을 다시 한번 생각해보는 시간을 갖기
꿈꾸는 숲 속 노인
: 자신의 긍정적인 미래상을 표현하기
편백나무를 활용한 베개 만들기
본인의 미래에 대한 소망 및 희망, 버킷리스트를 베갯잇에 적기
본인의 탄생화 꽃 스티커 붙이고 주변 독거노인들에게 베개 소개하기
영花같은 내인생
: 노화에 대한 인식변화 표현하기
‘나이’와 ‘본인의 인생’을 주제로 시를 작성하기
작성한 시를 액자로 만들고 종이꽃을 만들어 액자 꾸미기
각자 자신의 시를 발표하고 소감을 공유하며 프로그램을 종결하기
기대효과
통합 예술 프로그램을 통해 독거노인 간의 친밀감을 향상시켜 소외감을 예방할 수 있다.
독거노인이 자신의 노화에 대해 긍정적으로 인식을 변환하고 노후 생활에 대한 자립감을 고취시키는 효과성을 지닐 수 있다.
참여한 독거노인이 예비 독거노인과 노년기 우울감을 겪는 노인에게 멘토가 되어 노년기의 인식 전환에 일조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주변의 노인들에게 정서적 지지를 제공할 수 있으며 건강한 사회적 관계와 대인관계 역량을 강화시키는 데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지역사회 내의 노인은 지역사회 구성원으로서의 질 높은 삶을 추구할 수 있으며 지역사회의 발전에 많은 관심을 표출하고 결속력을 가지며 조직적인 활동을 할 수 있다.
예 산
프로그램 진행비 700,340원
문구비용 122,150원
식재료비 283,650원
평가회비 53,400원
*합계 : 1,159,54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