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정수와 유리수
느깐 점?:정수와 유리수 단원을 끝내니까 속이 시원하다.
(식의 값, 대입 배우기)
3. 문자와 식
곱셈기호의 생략
1.수와 문자의 곱에서는 곱셈 기호를 생략하고 수를 문자 앞에 쓴다.
2.문자와 문자의 곱에서는 곱셈 기호를 생략하고 보통 알파벳 순서로 쓴다.
3.같은 문자의 곱에서는 곱셈 기호를 생략하고 거듭제곱으로 나타낸다.
나눗셈 기호의 생략
나눗셈 기호를 생략할 때에는 분수의 꼴로 나타낸다.
-문자를 포함한 식에서 문자 대신 수를 넣는 것을 문제 수를 대입한다고 한다.
-또 문자에 수를 대입하여 계산한 결과를 식의 값이라고 한다.
일차식 (2023.6.1)
수 또는 문자의 곱->항
수만 이루어진 항->상수항
항에서 문자 앞에 곱해진 수->계수
두 개 이상의 항->다항식
한 개의 항->단항식
항에서 문자가 곱해진 개수->차수
차수가 1인 다항식->일차식
일차식 수의 곱셈(2023.6.2)
단항식과 수의 곱샘은 수끼리 곱하여 수를 문자 앞에 쓴다.
단항식을 수로 나눌 때에는 수의 나눗셈과 마찬가지로 나누는 수의 역수를 곱하여 계산.
일차식의 덧셈과 뺄셈(2023.6.8)
동류항-문자와 그 문자에 대한 차수가 같은 항
(상수항 끼리는 모두 동류항이다.)
일차식의 덧셈과 뺄셈 방법
숫자끼리 계산, 문자는 그대로 둔다.
동류항끼리 묶어서 계산한다.
괄호를 풀어서 계산한다.
등식의 성질(2023.6.15)
-양변의 같은 수를 더하거나 빼거나 곱하여도 등식은 성립한다.
-등식의 양변을 0이 아닌 같은 수로 나누어도 등식은 성립한다.
이항?
-등식의 성질을 이용하여 등식의 한 변에 있는 항을 그 부호를 바꾸어 다른 변으로 옮기는 것
(우변에는 상수항으로 몰아 넣으면서 방정식을 푼다)
일차방정식(2023.6.16)
일차 방정식이란?
방정식의 우변에 있는 모든 항을 좌변으로 이항하여 정리한 식이 (일차식)=0 의 꼴로 되는 방정식
일차 방정식은 어떻게 풀까?
1.미지수 X를 포함한 항은 좌변으로 상수항은 우변으로 이항하여 정리한다.
2.좌변을 X만 남기고 정리한다. 즉 (X=0)의 꼴로 바꾸어 정리한다.
느낀 점:일차방정식이 은근 어려웠다
수학 십오야 게임 하기(2023.6.20)
일차방정식을 토대로 문제 풀기
느낀 점: 진짜 열심히 했는데 2등을 해서 약간 아쉬웠다.
좌표 평면(2023.6.22)
좌표-수직선 위의 한 점에 대응하는 수
순서쌍-순서를 생각하여 두 수를 괄호 안에 짝 지어 나타낸 것
x축-두 수직선이 점 0에서 수직으로 만날 때, 가로 수직선
y축-두 수직선이 점 0에서 수직으로 만날 때, 세로 수직선
좌표축-x축과 y축을 통틀어 부르는 말
원점-두 좌표축이 만나는 점0
좌표평면- 좌표축이 그려진 평면
느낀 점:좌표라는 개념을 원래 정확히 몰랐는데 이제야 알게되었다. 신기했다.
정비례와 반비례(2023.6.27)
변수:x와 y처럼 변하는 양의 값을 나타내는 문자.
정비례:x가 2배 3배 배 로 변함에 따라 y가 2배 3배 4배로 변하는 관계
반비례:x가 변함에 따라 y가 1/2, 1/3, 1/4 로 변하는 관계
느낀 점:정비례와 반비례가 어려웠다. 그래도 이해를 할려고 노력해야 겠다.
알지오메스를 이용하여 y=ax의 그래프 그리기(2023.6.29)
a>0일 때
제 1, 3 사분면을 지난다.
a<0일 때
제 2, 4 사분면을지난다.
느낀 점: 알지오메스라는 프로그램이 신기했다.
순서쌍으로 그려보는 명화(2023.6.30~7.6)
좌표평면위에 명화를 그려보고 순서쌍으로 나타내는 수행평가를 했다.
나는 강아지를 그려서 순서쌍으로 나타내 보았다. 새로운 활동이라 신기했다.
각(23.8.23)
평각:180도
직각:90도
둔각:90~180도
예각:0~90도
교각:두 직선이 한 점에서 만날 때 생기는 네 개의 각을 두 직선의 교각이라고 한다.
맞꼭지각:서로 마주보는 두 각.
느낀 점:각을 초등학교 때 부터 많이 배웠는데 더 자세히 들여다 보았다. 은근 쉬워서 다행이었다.
직교와 수직이등분선, 수선의 발(23.8.30)
오늘은 새로운 것들을 배웠다.
기호들도 배우고 이런 게 있는 줄도 몰랐는데 신기하였다. 조금 어려운 느낌이 들었다.
공간에서 직선과 직선, 직선과 평면의 위치관계(23.9.1)
한 점에서 만난다
일치한다
평행하다
꼬인위치에 있다.
포함된다.
한 점에서 만난다.
평행하다.
느낀 점:꼬인위치 라는 게 신기했다.
동위각과 엇각의 성질을 이해한다.(23.9.6)
동위각-같은 위치에 있는 두 각
엇각-엇갈린 위치에 있는 두 각
두 직선이 평행하면 동위각과 엇각의 크기가 같다.
느낀 점:엇각이 조금 헷갈려서 어려웠다.
작도(23.9.7)
작도-눈금 없는 자와 컴퍼스만을 사용하여 도형을 그리는 것
각과 선분 작도 하기
느낀 점:작도 라는 뜻을 알아봐서 신기했다.
다면체 (10.10)
다면체-다각형인 면으로만 둘러싸인 입체도형
각뿔대-각뿔을 밑면에 평행한 평면으로 잘라서 생기는 두 다면체 중에서 각뿔이 아닌 쪽의 다면체
느낀 점:다면체라는 것을 처음 알아서 정말 신기했다.
정다면체(10.11)
정다면체-면이 모두 합동, 각 꼭짓점에 모인 면의 개수가 모두 같으 다면체
정다면체는 정사면체, 정육면체, 정팔면체, 정십이면체, 정이십면체 5개 뿐이다.
느낀 점:정 다면체가 5개 뿐이라는 게 정말 신기했고, 외우기가 쉬웠다.
입체도형의 겉넓이(23.10.18)
각기둥, 원기둥, 원뿔, 각뿔, 구의 겉넓이를 구해보기
느낀 점:매우 어려웠다. 그리고 구하는 게 귀찮았다.
AI마타 수학 하기(23.10.30)
다각형, 회전체 문제 풀어보기
느낀 점:많이 틀려서 당황스러웠다. 더 열심히 해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