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 화산대와 지진대
화산 활동이란?
마그마가 지각의 약한 틈을 뚫고 지표로 나올 때 용암, 화산 기체, 크고 작은 고체 물질 등이 분출되는데 이를 화산 활동이라고 한다.
지진이란?
지구 내부에 쌓인 에너지가 갑자기 방출되면서 땅이 흔들리는 현상.
(대부분의 지진은 지층이 끊어지면서 발생하며, 화산이 폭발 하거나 마그마가 이동하며 발생하기도 한다.)
지진의 세기
규모:지진의 세기를 나타내는 단위로 지진이 발생할 때 방출된 에너지의 양을 기준으로 나타낸다.
진도:사람이 느끼는 정도, 건물의 피해 정도를 기준을 나타내는 것.
소감:지진과 화산활동에 대해 배워서 이제는 뉴스를 볼때 조금 이해를 할 수 있을 것 같다.
AI 암석 도감 만들기
티처블 머신 으로 암석 도감을 만들어 직접 확인해 보니까 신기하고 재미있었다.
점판암, 각섬암으로 해보았다.
화산대 하고 지진대(2023.5.30)
화산대란?
화산 활동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
지진대란?
지진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
화산대와 지진대는 띠모양을 이루고 판의 경계와 일치한다
왜?
판의 경계에서는 판의 이동으로 지각의 움직임이 활발하여 화산 활동이나 지진이 자주 일어나기 때문이다.
느낀 점:화산대하고 지진대라는 것에 대해 정확히 알았고 판의 경계에 해당하는 부분이 지진과 화산 활동이 자주 일어난 다는 것을 알아서 신기했다.
커리어 넷을 이용해 미래 과학 직업 찾아보기(2023.5.31)
나는 환경 및, 해양 과학 연구원을 골랐다. 과학 직업이 신기한 게 많았고 다양했었다.
2023.6.7~6.13
<환경 및 해양 과학 연구원>
1.하는 일
-다양한 공학 원리를 활용하여 환경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시험, 분석, 결과, 평가, 연구 등의 업무를 수행한다.
-해양과학기술 및 해양정책에 관한 연구수행과 그 성과를 보급하며 해양자원개발과 해양환경보전을 위한 연구를 한다.
2.직업과 과학의 관련성
-물리학, 화학, 수학, 천문학, 지질학, 통계학 등 과학 지식을 알고 있어야 하는 직업이기 때문에 관련성이 있다.
3.직업에 필요한 역량
-창의력, 수리력, 논리력, 기술/논리적 분석 능력.
4.직업의 전망
-향후 5년간 환경 및 해양 과학 연구원은 다소 증가할 것으로 전망 된다. 환경산업은 지속적인 성장이 예상 되고 교육부의 기초과학 연구사업 예산을 늘리는 등 지원책을 펼치고 있어 향후 환경 및 해양과학연구원 관련 인력의 수요가 다소 증가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래 사회 하면 생각나는 단어를 모둠원과 생각해보기(2023.6.13)
1.자신이 생각한 미래사회 단어를 7~8개 생각하기
2.모둠원 끼리 의견을 나눠 미래 사회의 이슈가 될 것 같은 단어 2개를 골라서 발표하기
느낀 점:미래 사회에 중요하게 생각하는 걸 생각해보니 인공지능, 환경, 기후, 디지털 휴머니즘 등등 다양한게 나왔는데 발표까지 잘 한 것 같아서 재미있었다.
미래 직업 명함 만들기(2023.6.20)
미래의 변화될 사회를 이용하여 미래에 생길, 변화될 직업 명함 만들기
느낀 점: 나는 일러스트 레이터를 생각해서 일러스트 레이터가 미래의 어떻게 변하는지 생각해서 만들어 보았는데 이런 생각을 한번도 안하니까 이번 시간에 해봤어서 은근 재미있었다.
명함 만들기(2023.6.21)
나는 일러스트 확인사를 선택해서 명함을 만들어 보았다. 나중에는 대칭 비율 등을 확인해서 더 완벽한 그림을 그릴 수 있게 하는 일러스트 확인사가 나오지 않을까 생각을 해보았다. 엄청 마음에 들진 않지만, 그래도 그럭저럭 잘 된 것 같다.
중력과 탄성력(2023.7.4)
중력-지구가 물체를 당기는 힘
중력의 크기를 무게라고 하고 단위는 N뉴턴을 쓴다.
탄성-원래 모양으로 돌아갈려고 하는 성질
탄성력-원래 모양으로 돌아갈려고 하는 힘
마찰력-물체의 운동을 방해하는 힘(2023.7.5)
부력-액체나 기체가 물체를 밀어 올리는 힘.
느낀 점:중력과 탄성력은 익숙한데 부력과 마찰력이 신기했다.
힘에 대한 인공지능 시 짓기(23.8.21)
부력에 대한 시를 지었다.
챗 GPT로 시를 짓고 드림스튜디오로 인공지능 그림도 그려봤는데 인공지능으로 이런 것도 할 수 있는 거구나 라고 신기했다.
1기체의 압력(23.8.31)
압력-같은 크기의 힘이 작용하더라도 힘을 받는 넓이에 따라 그 효과가 다르기 때문에 일정한 넓이가 받는 힘의 크기
기체에서는 끊임 없이 운동하는 기체 입자들이 용기 벽에 충돌하면서 힘을 가하기 때문에 기체의 압력이 나타난다.
느낀 점:기체하고 압력은 익숙한데 기체의 압력이라 하니까 은근 새로웠다.
기체의 온도와 부피 관계(23.9.11)
기체의 온도가 높아지면 기체의 부피는 늘어난다.
기체의 온도가 낮아지면 기체의 부피는 줄어든다.
느낀 점:온도하고 부피의 관계가 신기했다.
상태 변화와 온도 변화(23.10.13)
상태변화가 일어날 때는 온도가 일정하게 유지된다.
느낀 점:새롭게 알게 된 것이라서 신기했다.
상태 변화와 온도 변화(10.16)
녹는 점, 어는 점:액체가 얼거나 고체가 녹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
끓는 점:액체가 끓어 기체로 상태 변화하는 동안 일정하게 유지되는 온도
느낀 점:끓는 점이 신기했다.
상태변화 과정에서 출입하는 열에너지의 이용 사례 조사(23.10.23)
우리 모둠은 열이 났을 때 물수건으로 몸을 닦는 이유를 흡수현상으로 조사하였다.
느낀 점:다양한 흡수, 방출 현상이 재미있었다.
물질의 상태가 변할 때 흡수하거나 방출하는 열에너지 사례(23.10.24)
여름철에 사용하는 에어컨, 겨울철에 사용하는 증기 난방기 등등
느낀 점:원리를 알아서 신기했다.
생물 다양성과 분류(23.10.31)
변이-같은 종의 생물에서 서로 나타는 특성
생물의 다양성-생물의 다양한 정도
생물에서 다른 특징이 나타나는 현상-변이
느낀 점:변이의 뜻을 제대로 알게 되어서 신기했다.
생물 다양성과 분류2(23.11.1)
생물 고유의 특징과 사람의 편의의 따라 기준을 세울 수 있다.
하지만 사람의 편의의 따라 기준을 세우면 사람마다 달라질 수 있으므로 생물 고유의 특징으로 기준을 세워야 한다.
느낀 점:분류를 할 수 있는 게 재미있었다.
위협받는 생물 다양성(23.11.13)
생물 다양성이 감소하는 이유는 남획, 서식지파괴, 외래종 유입, 환경 오염등이 있다.
느낀 점:인간들에 의해서 생물다양성이 감소한다는 사실이 놀라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