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leted Projects
[HIRING!] 2024 Graduate Students & Undergraduate Interns (석박사 대학원생 및 학부인턴 모집)
Completed Projects
영화 아이언맨(IronMan)
출처: https://lrl.kr/nFRY
홀로그램 기술은 3차원 공간 상에 이미지를 재현하여 사용자에게 실감나는 시각적 경험을 제공한다.
대부분의 홀로그램은 일반 자연 이미지 대비 초고용량 데이터이기 때문에 홀로그램 상용화를 위해서는 압축 기술이 필수적이다.
기존의 자연 이미지 대비, 홀로그램 이미지의 신호특성이 상이하다. 하지만 전통적인 표준 압축 방식(e.g. JPEG)의 경우, 일반 자연 이미지 압축에 최적화되어 있어 홀로그램 압축에는 적합하지 않다. 이에 data-driven 기반의 딥러닝 압축 기술이 필요하다.
홀로그램은 홀로그램 도메인 자체의 품질도 중요하지만, 실제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수치복원 도메인의 품질도 함께 고려되어야 한다.
이를 고려한 압축 네트워크 및 손실함수를 설계하였고, 제안한 방식이 기존 방식에 비해 객관적인 코딩 효율성과 수치복원 도메인의 시각적 품질이 우수함을 보였다.
RD-curves for Piano16K
Subjective quality comparison
| Related Publication
J. Seo, J. Lee, J. Lee, and H. Ko, "Deep Compression Network for Enhancing Numerical Reconstruction Quality of Full-complex Holograms," Optics Express, Accepted. (IF: 3.833, JCR 27%) [paper]
서주연, 고현석, "디지털 홀로그램 압축으로 인한 수치 복원 영상의 화질 열화 분석", 한국통신학회 동계종합학술발표회, Feb., 2023. [paper]
서주연, 고현석, "완전 복소 홀로그램 압축 성능 분석", 전자공학회논문지, Feb., 2023. [pap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