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사 및 석사과정
💡 [관심분야] Multilevel Modeling, Mediation & Moderation Model, Simulation Study, R
■ 석사학위논문
이슬 (2014). 제 3변인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동시에 갖는 모형에서 설명변인들의 분포 특성이 매개효과의 표준오차 추정에 미치는 영향.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술논문
이슬, 장승민 (2017). 정적 정서, 부적 정서, 자존감의 전반적 수준 및 불안정성과 우울 및 신경증 성향의 관계: 경험표집법과 다층모형을 이용한 분석. 한국심리학회지: 사회 및 성격, 31(4), 183-202.
이슬, 장승민 (2014). 제3변인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동시에 갖는 모형에서 제3변인의 왜도가 매개효과와 표준오차 추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3(2), 307-322.
■ 학술대회 발표
Seul L., & Seungmin J. (2018). Difference in Between-Person and Within-Person Structure of PANAS and Self-Esteem. 2018 APS USA.
Seul L., & Seungmin J. (2018). Self-Esteem Development of Adolescent with Multiple Indicator Latent Growth Model: The Role of Peer Relationship. 2018 ISSSM Japan.
이슬 (2017). 가중치를 고려한 청소년 비행 성장 궤적의 잠재계층분류.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Seul L., Songyi P., & Seungmin J. (2017). Daily Emotional Experience and Self-Esteem, and Their Relations to Depression and Neuroticism in College Students. 2017 ICEASS Singapore.
이슬 (2016). 다층요인분석을 사용한 Rosenberg 자아존중감 척도의 개인-내, 개인-간 요인구조의 비교.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구두발표]
이슬, 장승민 (2014). 제 3 변인이 매개효과와 조절효과를 동시에 갖는 모형의 설명변인 분포특성이 매개효과 표준오차 추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학회 연차학술대회 자료집.
💡 [관심분야] Scale Development, Factor Analysis, Longitudinal Analysis, R Programming
■ 학술대회 발표
Taehwa K., Minju, K., & Seungmin J. (2021). Reliability, Validity and Factor Structure of K-IPIP-NEO for Assessing Personality Traits. 2021 APS USA.
Taehwa K., & Youngshin J.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Korean Version IPIP-NEO Short Form. 2018 APS USA.
Taehwa K., & Sunbeom K. (2018).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Korean Version of International Personality Item Pool (IPIP-NEO): Based Measure of the Five-Factor Model. 2018 ISSSM Japan.
김태화 (2016). 모의 우울, 양육스트레스가 초기 아동의 부정적 정서성에 미치는 영향: 종단자료를 사용한 모의 양육행동을 통한 매개효과 검증.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관심분야] Text Analysis
■ 학술대회 발표
Eunyoung L. (2019). Sentiment Analysis based on Discrete Emotional Structure Using Convolutional Neural Network. 2019 ICPS France.
💡 [관심분야]
■ 학술논문
■ 학술대회 발표
강채린, 장승민 (2024). 이분산성에 따른 베이지안 t 검정 방법의 수행.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포스터발표 우수상)
강채린 외 6명 (2023). 일상의 부정적 생활사건과 우울의 관계: 경험회피와 반추의 순차적 매개효과.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관심분야]
■ 학술논문
■ 학술대회 발표
💡 [관심분야]
■ 학술논문
■ 학술대회 발표
💡 [관심분야]
■ 학술논문
■ 학술대회 발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