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관심분야] Panel Data Analysis, Longitudinal Data, Multilevel Modeling
■ 학위논문
주영신 (2025). 교차연속설계 자료를 이용한 신경심리검사의 연령규준 추정과 측정동일성 분석: 비선형 분위수 회귀모형과 벌점화 구조방정식의 적용.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주영신 (2016). 소방공무원의 방해성 및 도전성 스트레서와 직무의미창조가 조직몰입,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직무열의 및 직무탈진의 매개효과. 한림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김태웅, 주영신, 이주일 (2025). 의미는 어떻게 작용하는가 : 소방관의 잡 크래프팅과 조직 몰입 간 관계에서 도전성 및 방해성 스트레서의 매개효과 검증. 한국산업및조직심리학회 하계학술대회 자료집.
Anseon J., Youngshin J., & Hyeji K. (2025). Geographic Disparties in Suicide Morality in South Korea (2012-2023): Identifying Hot/Cold Spots and Associated Socioeconomic Factors. 한국역학회 춘계학술대회.
주영신, 장승민 (2023). 정렬법을 이용한 범주형 자료의 근사 측정동일성 분석. 한국심리학회지:일반, 42(2),119-140.
Park, S., Oh, H., Ju, Y., Lee, S., & Chang, H. (2022). Bidirectional Processes between Interparental Conflict and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in Early Childhood: Predicting School-Age Problem Behavior.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1(4), 83-94.
주영신, 장승민 (2022). 정렬법을 이용한 범주형 자료의 측정동일성 검증.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구두발표]
Youngshin J., & Seungmin J. (2021).Testing approximate measurement invariance using maximum likelihood and Bayesian estimation. 2021 APS USA.
주영신, 장승민 (2020). 베이지안 CFA를 이용한 K-MMSE의 연령 집단에 따른 측정동일성 검증.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포스터발표 최우수상)
주영신 (2019). 패널자료를 이용한 이차 연령변화곡선의 추정: 다층모형, 정의변수 방법 및 공변인 모형의 비교.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Youngshin J., Taehwa K., & Eunyoung L. (2019). Using Alignment Optimization to Test the Measurement Invariance of K-MMSE (Korean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in Age Groups. 2019 ICPS France.
Youngshin J., & Juil R. (2018). Does “good” stressors make a psychologically healthy person? Differential hindrance-challenge stressor relationship with job crafting and psychological well-being of fire officer. 2018 ISSSM Japan.
주영신, 김태화 (2017). 노년기 우울과 주관적 기대감의 종단적 변화 관계 탐색.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 [관심분야] Psychological Test, Item Response Theory
■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유현종, 장승민 (2023). 점수 산출 방식에 따른 K-MMSE 검사점수의 유사성 및 분류 일치도. 한국심리학회지: 발달, 36(3), 113-136.
박경우, 유현종, 장혜인, 이상규, 이은지 (2022). 한국어판 음란물 사용동기 척도(K-PUMS)의 타당화 연구. 한국심리학회지: 건강, 27(5), 763-788.
유현종 (2022). 심리검사의 점수 부여 방식에 따른 검사점수와 분류 결과 비교.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포스터발표 장려상)
💡 [관심분야] Bayesian Modeling, Multilevel Modeling, Intensive Longitudinal Data Modeling
■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Oh, H. & Jahng, S.(2023). Incorporating Measurement Error in the Dynamic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Using a Single Indicator or Multiple Indicator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A Multidisciplinary Journal, 30(3), 501-514.
Park, S., Oh, H., Ju, Y., Lee, S., & Chang, H. (2022). Bidirectional Processes between Interparental Conflict and Children's Negative Emotionality in Early Childhood: Predicting School-Age Problem Behavior. Korean Journal of Clinical Psychology, 41(4), 83-94.
Hyungeun, O., Hyeonjong, Y., & Seungmin, J. (2021). A Simulation Study of the Performances of Multilevel Structural Equation Models with Small Samples:Frequentist vs Bayesian. APS 2021 USA.
오현근, 장승민 (2020). 역동 구조방정식 모형을 이용한 정서 불안정성의 개인차 분석.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포스터발표 우수상)
오현근 (2019). 소표본 자료의 다층모형 분석에서 빈도주의와 베이지안 추정의 비교: 시뮬레이션 연구.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관심분야] Bayesian Modeling, CFA
■ 학위논문
Kwon, S. (2020). Effects of factor scaling constraints on model estimation in Bayesian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권순범, 장승민 (2020). 베이지안 확인적 요인분석에서의 요인 척도화 방법이 모형 추정에 미치는 영향.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구두발표]
Sunbeom K., & Seungmin J. (2019). Autogressive Cross-lagged Model with Phantom Variables for Panel Data with a Missing Time Point. 2019 ICPS France.
권순범 (2017). 팬텀변수를 활용한 학업성적과 성취가치의 자기회귀 교차지연 효과 검증.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관심분야] Latent Growth Model, Non-Normal Variable
■ 학위논문
정성창 (2019). 국소 구조방정식과 비선형 조절 요인분석을 이용한 연령에 따른 K-MMSE 요인평균 및 분산의 추정.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정성창 (2018). 국소 구조방정식과 비선형 조절요인모형을 이용한 K-MMSE의 잠재평균변화곡선의 추정.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구두발표]
Seongchang J., & Changhoon H. (2018). The General Trajectory of Cognitive Function from Middle to Older Adults: An Application of Latent Growth Models. 2018 ISSSM Japan.
이가현, 정성창, 장승민 (2017). 노년기 부부의 관계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변화 사이의 관련성: 이자성장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의 적용. 조사연구, 18(4), 25-59.
정성창, 이가현, 원선영 (2017). 노년기의 남편과 아내가 느끼는 서로간 부부관계 만족도가 자신의 우울에 미치는 영향: 경제활동상태, 가구소득을 고려한 종단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정성창 (2016). 남자청소년의 성인용 매체 몰입과 학대, 학교생활 적응정도의 관계.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관심분야] Measurement invariance, Alignment, R programming
■ 학위논문
한창훈 (2019). 정렬법을 이용한 2차 요인 모형의 요인 평균 비교와 차별문항기능 분석: WISC-V 지능 요인의 연령에 따른 차이.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한창훈 (2017). 다차원성이 있는 요인구조의 모형설정 : 아동용 웩슬러 지능검사 5판에 이인자 모형과 2차요인 모형을 적용하여.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관심분야] Parallel analysis, R programming, Classification(ML)
■ 학위논문
Lim, S. (2017). The Effects of Factor Correlation and a Minor Factor on the Accuracy of Parallel Analysis, Revised Parallel Analysis, and Comparison Data Method (Master’s thesis, Sungkyunkwan University, Seoul).
■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Lim, S., & Jahng, S. (2019). Determining the number of factors using parallel analysis and its recent variants. Psychological methods, 24(4), 452-467.
임상돈, 장승민 (2017). 요인 개수 결정을 위한 평행분석의 정확성 평가.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6(4), 441-475.
임상돈 (2017). 고유값 감쇠에 따른 평행분석 및 대안적 요인수 추정 알고리즘의 정확도.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춘계학술대회 자료집. [구두발표]
Sangdon L., Seongchang J., & Changhoon H. (2017). The Performance of Two Parallel Analyses Methods Comparison Data Method in Estimating the Number of Factors. 2017 ICEASS Singapore.
임상돈 (2016). 요인상관과 소요인 유무에 따른 평행분석을 이용한 요인 수 추정의 정확성. 한국심리측정평가학회 추계학술대회 자료집.
💡 [관심분야] Norm, Sample Size
■ 학위논문
정유리 (2017). 가상실험을 이용한 전통적 규준 추정 방법과 모형 기반 규준 추정 방법의 비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Yuri J., Taehwa K., & Seungmin J. (2017). Bias and Standard Errors in Traditional Norming and Model-Based Norming. 2017 ICEASS Singapore.
💡 [관심분야] Latent Growth Model, Forced-Choice Test
■ 학위논문
박송이 (2017). 다지표 잠재성장모형에서 요인척도화와 측정동일성의 문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박송이, 장승민 (2018). 다지표 잠재성장모형에서 요인동일성과 요인척도 설정의 문제. 한국심리학회지: 일반, 37(1), 153-183.
💡 [관심분야] Test development, Factor analysis, Deep learning, Self organizing map, R programming
■ 학위논문
김현서 (2016). 척도개발의 세 가지 접근법과 두 가지 채점방식에 따른 척도의 변별 수행 비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관심분야] Single Item, Experience Sampling Method, Multilevel Modeling, Mixture Model, R Programming
■ 학위논문
이가현 (2016). 경험표집법에서 단일문항을 이용한 상태 정서와 상태 자존감 측정의 타당성.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학술논문 및 학술대회 발표
이가현, 정성창, 장승민 (2017). 노년기 부부의 관계만족도와 우울의 종단적 변화 사이의 관련성: 이자성장 행위자-상대방 상호의존 모형의 적용. 조사연구, 18(4), 25-59.
💡 [관심분야] Item response theory,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Multi-group invariance, Measurement invariance, Scale/test development
■ 학위논문
이민형 (2015). 구조방정식 모형에서 MTMM 자료의 평균구조를 JID로 만드는 세 가지 전략의 효과성 비교.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석사학위논문.